• 제목/요약/키워드: Pectin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5초

흰 쥐에 있어서 식이내 상이한 수준의 팩틴이 비타민 B$_{12}$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Levels of Pectin on the Absorption of Vitamin B$_{12}$ in Rats)

  • Kim, Jung-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27-433
    • /
    • 1990
  • 식이내 상이한 수준의 펙틴이 비타민 B$_{12}$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섬유식이를 섭취해온 흰쥐를 비타민 B$_{12}$흡수 정도를 측정하려는 전날, 무섬유, 2% 펙틴, 5% 펙틴, 그리고 10% 펙틴 식이군으로 나누었다. 다음날, 동물이 각기 배정된 식이를 섭취하는 동안, 57-Co-비타민 B$_{12}$를 구강으로 섭취시켜 그 흡수 정도를 측정하였다. 무섬유 식이와 비교하여 볼 때, 5%와 10% 펙틴 식이는 비타민 B$_{12}$의 흡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펙틴의 섭취량은 비타민 B$_{12}$의 흡수와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고지방식이와 식이섬유가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Fat Diet and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한정순;한용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0-540
    • /
    • 1994
  • 이유기를 지난 웅성흰쥐를 대조식이 (C), 고지방식이 (HF) 및 고지방 고에너지식이 (HFHE) 로 4 주간 사양하고 일부를 희생시킨 후 , HF 군과 HFHE 군 일부에식이섬유 pectin 과 cellulose를 각각 첨가한 HF-P , HF-C, HFHE-P , HFHE-C 식이를 C, HF ,HFHE 식이와 함께 4 주간 더 사양한 후 희생시켜 체중증가량, 총 에너지섭취량, 총식이섭 취량, 식이효율, 간장과 비장의 무게, 혈중 지질의 성상 및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관 찰한 결과 체중증가는 C 군, HF 군, HFHE 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식이섬유 첨가 시 모두 체중이 감소되었다. 총에너지 섭취량은 C 군이 가장 많았고, 식이효율은 HF-HE군 이 가장 높았으며, 식이섬유 첨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간장의 무게는 C군 , HF 군, HFHE 군 모두 식이의 영향이 없었고, pectin 과 celulose 첨가에 의한 변화도 나타내지 않았다. 비장의 무게는 C군 보다 HF 군과 HFHE 군이 감소하였으나, pectin 과 cellulose 첨가에 의해서는 변화가 없었다. 혈중 총 지질,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의 함량은 각 실험군모두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특히 HFHE 군의 유의성있게 증가 하였고 pectin 과 cellulose를 첨가하였을때는 감소하였으며 pectin이 cellulose 보다 감소효 과가있다.

Alginate와 pectin 첨가에 의한 콩묵의 텍스쳐 특성 (Textural Properties of Soygel with Added Alginate and Pectin)

  • 최희숙;박혜진;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6-341
    • /
    • 1995
  • Alginate, pectin과 Ca염이 콩묵의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콩묵은 전지대두분(300 mesh) 분산액에 sodium alginate나 pectin 및 Ca염을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Sodium alginate나 pectin을 전지대두분 분산액에 첨가했을 때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장 균일한 콩묵은 전지 대두분의 $12{\sim}15%$의 sodium alginate 또는 pectin을 첨가했을 때 얻어진 반면 sodium alginate와 pectin의 혼합 첨가는 텍스쳐 특성을 감소시켰다. 순위법에 의한 콩묵의 관능적 특성은 12% sodium alginate를 첨가하고 전지대두분 1g당 0.125g의 $CaSO_4$로 제조한 콩묵이 탄력성, 균일성, 부드러움성,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묵의 최적 제조조건은 전지대두분의 10배의 수분을 첨가한 분산액에 대두분의 12% sodium alginate를 혼합한 후 대두분의 12.5% $CaSO_{4}$ 또는 Ca $gluconate-CaSO_4$(50 : 50)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냉각시킨 것이다.

  • PDF

Carrageenan과 Pectin을 첨가한 오미자 젤리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arrageenan and Pecti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ia Extract Jelly)

  • 심영자;백재은;주나미;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43-445
    • /
    • 1995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cs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Omija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and pectin. The viscosity and the turbidi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Omija jelly with pect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mija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 PDF

Carrageenan과 Pectin을 첨가한 오미자 젤리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arrageenan and Pecti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 심영자;백재은;주나미;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2-364
    • /
    • 1995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ics$.$and physiochemical propertics of Omija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and pectin. The viscosity and the turbidi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Omija jelly with pect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mija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 PDF

차전자피, 펙틴 및 셀룰로스 함유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농도 및 임상생화학적 지표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syllium Husk, Pectin and Cellulose on the Lipid Concentrations and Hemobiochemical Enzymes in Rats)

  • 홍상식;차재영;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08-813
    • /
    • 2002
  • 식이섬유소원인 셀룰로스, 차전자피 및 펙틴의 단독 또는 혼합 급여에 의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의 지질 농도 및 임상생화학적 지표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식이군은 식이 섬유소원에 따라 셀룰로스 투여군, 차전자피 투여군, 펙틴 투여군 및 차전자피와 펙틴 혼합 투여군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식이 섬유소원은반합성 식이에 10%(w/w) 수준으로 첨가하여 6주간 자유급여 시켰다.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각 조직의 상대적 중량은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차전자피 투여군 및 펙틴 투여군에서 혈청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셀룰로스 투여군 및 차전자피와 펙틴 혼합 투여군보다 통계상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차전자피와 펙틴 혼합 투여군이 다른 식이 투여군보다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간장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혈청 지질 농도와는 반대로 차전자피 투여군 및 펙틴 투여군보다 셀룰로스 투여군 및 차전자피와 펙틴 혼합 투여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차전자피 투여군의 혈청 임상생 화학적 지표 효소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lkaline phosphatase, lactate do hydrogenase 활성과 총단백질, albumin, blood urea nitrogen은 다른 식이 투여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이 섬유소인 차전자피 급여는 혈청 임상생화학적 지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중성지질 농도를 낮추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By-product in Citrus Processing)

  • 박용곤;강윤한;차환수;김흥만;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9-664
    • /
    • 1996
  •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고형물(ASS)의 함량은 albedo층이 18.1%로 가장 높고, pulp가 5.7%로 가장 낮았다. AIS 구성 다당류 중 펙틴은 pulp와 albedo층이 각각 40.5% 및 35.2%로 구성되어 있어 펙틴 추출용으로서 좋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펙틴 함량은 부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체로 AIS에 대해 30% 내외 이었으나, 가용성 펙틴 중 염산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flavedo층이 14.0%로 가장 높고, pulp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염류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pulp부위가 15%임 에 비해 과피는 7% 정도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0.05N-HCI을 사용하여 $85^{\circ}C의$ 열탕에서 펙틴을 추출한 결과 60분의 가열처리로 90%이상의 펙틴이 용출되었으며, microwave의 경우 5분간 2회 조사시킴에 의해 90% 정도 추출되었으나 부위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들 펙틴의 에스테르화도에 있어서는 microwave 처리구의 것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펙틴의 중성 당 조성을 조사한 결과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로 구성되고 있고, 이중 galactose가 60~78% 정도를 차지한 반면 xylose는 5% 이하이었다.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Sepharose CL-4B를 이용,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조사한 결과 부위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ulp의 경우 분리 피크가 2개로 나타나 pulp를 구성하는 펙틴은 분자량이 높은 것과 이보다 낮은 두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Cellulose, Pectin and Starch on Standardized Ileal and Apparent Total Tract Amino Acid Digestibilities and Bacterial Contribution of Amino Acids in Feces of Growing Pigs

  • Ma, Q.G.;Metzler, B.U.;Eklund, M.;Ji, C.;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873-882
    • /
    • 2008
  • Eight ileally cannulated pigs (BW $35.9{\pm}0.9kg$) were randomly allotted according to a $4{\times}3$ Latin square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ellulose, pectin and starch on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as well as on the bacterial AA contribution in feces. The pigs were fed the control diet (20.2% CP, % dry matter (DM)) or one of the three experimental diets in which 25% of the control diet was substituted by cellulose, starch or pectin. Due to this substitution, dietary CP levels were lower in the cellulose (15.5% CP, % DM), pectin (15.4% CP, % DM) and starch diet (15.2% CP, % DM). Following a 15-d adaptation period, feces were collected for 5 d and ileal digesta for a total of 24 h. Starch increased SID of CP, while cellulose and pect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gestibility of CP. Overall, starch supplementation resulted in higher (p<0.05) SID values of histidine, isoleucine, threonine, alanine, aspartic acid, cysteine, glycine and serine compared with cellulose, while pectin decreased (p<0.05) SID of valine and proline compared with the starch and control diet. Both cellulose and pectin reduced (p<0.05) the ATTD of CP and AA, while starch decreased (p<0.05) ATTD of phenylalanine, alanine, proline and serine compared with the control. With regard to bacterial AA composition of the fecal mixed bacterial mass (MBM), cellulose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5) its content of N and almost all AA, except for valine, while pectin caused higher contents of arginine, histidine and proline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bacterial contribution of arginine in feces was higher (p<0.05) in the cellulose treatment, while pectin reduced (p<0.05) the bacterial contribution of leucine, alanine, glutamic acid and proline in fece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cellulose, starch and pectin on SID were rather small. Bacterial activity in the large intestine can only explain the reduced ATTD values for arginine in the cellulose treatment, but not for the other AA in the cellulose and pectin treatments, suggesting higher endogenous losses of these AA in the large intestine.

펙틴분해물의 항균특성과 식품보존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Pectin hydrolysate and its Preservative Effect)

  • 박미연;최승태;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9-105
    • /
    • 1998
  • Citrus 펙틴을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펙틴 분해물이 35%가 되면서부터 항균력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75%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완전분해(100)%)된 펙틴 분해물을 배지에 2.0% 첨가하면 $35^{\circ}C$에서 24시간까지 Escherichia coli ATCC 11229의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펙틴분해물의 항균력은 pH 4.9~5.5 범위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종별로는 젖산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젖산균과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약하였으며 효모에 대하여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대부분의 세균은 펙틴 분해물을 2.0~3.0% 첨가하므로써 $35^{\circ}C$에서 48시간까지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Lactococcus Lactis ATCC 19435, Lactobacillus Bulgaricus, Pen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은 대조구에 비하여 30~40% 만이 억제되었으며 Saccharomyces formosens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glycine, ethanol, sodium ascorbate, sodium chloride 또는 sodium acetate 등의 화학보존료를 병용하면 펙틴 분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항균력이 상승하였다. 김치에 펙틴 분해물을 1.0% 첨가하여 $4^{\circ}C$에 저장하면 섭취하기에 알맞은 김치를 pH를 유지하는 기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어도 15일 이상 연장되었다. 또한 빵속에 펙틴분해물을 1.5% 첨가하면 $25^{\circ}C$에서 저장 4일째 대조구에 비하여 4 log cycles 그리고 저장 10일까지도 2 log cylces 정도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펙틴 분해물은 천연식품보존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젖산균이나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이 미약하거나 없으므로 젖산균이나 효모를 이용하는 발효식품의 품질보존제로서 아주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화학 보존료와 병용하므로써 화학 보존료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미역줄기를 이용한 잼의 제조조건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 안창범;신태선;남택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3-430
    • /
    • 2000
  • 건조미역 또는 염장미역의 제조부산물로 얻어지는 미역 줄기를 이용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미역줄기잼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잼의 주원료인 미역줄기 페이스트는 자숙, 염장한 미역줄기를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homogenizer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30{\~}50\;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줄기잼은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HM pectin (또는 LM pectin) 및 유기산 (또는 유기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인공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sucrose, pectin,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65{\%}$ (w/w), HM pectin $1.0{\%}$ (w/w) 및 citric acid $0.3{\%}$ (w/w) 또는 sucrose $65{\%}$ (w/w), LM pectin $1.0{\%}$ (w/w) 및 calcium lactate $0.08{\%}$ (w/w)를 첨가하여 $62 {\cdot}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시판 과일잼 (딸기 및 사과잼)과 유사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인공 딸기향을 사용한 결과 $0.06{\%}$ (v/w) 이상 첨가하여 만든 제품이 시판 과일잼과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손색이 없는 제품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