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in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8초

포장필름의 두께가 청매실의 저장중 펙틴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as Influenced by the Thickness of Packaging Film during Storage)

  • 차환수;정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1-628
    • /
    • 2002
  • 청 매실을 수확한 후 LDPE 필름 포장재에 넣어 상온에서 일정 기간 보관할 때 포장재의 두께가 청매실의 조직 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 30, 40$\mu\textrm{m}$두께의 포장재에 청매실 500 g씩을 각각 넣고 8일간 보존하면서 경도의 변화 및 무기성분과 펙틴질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무포장구의 경우와 비교하였고, 세포벽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저장 중 매실의 연화와 관련된 경도와 펙 틴질의 감소 및 가용성펙틴 중 Ca 함량의 감소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8일 동안 무포장구나 다른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에 비 해 각종 펙틴질 성분 및 무기 성분의 변화와 그에 따르는 경도 변화가 가장 적었고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도 초기 상태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하여 관찰된 외 형적인 상태도 LDPE 30 포장재에 저장된 시료가 저장전의 상태를 가장 잘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벽 분해효소의 처리에 따른 감과실의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 (Changes in the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Cell Wall of Persimmon Fruit by Treatment of Cell Wall-Degrading Enzymes)

  • 김광수;신승렬;송준희;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7-253
    • /
    • 1995
  • 추출한 감과실의 세포벽에 polygalacturonase, ${\beta}-galactosidase$ 및 이들의 혼합한 효소액을 in vitro에서 처리하여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를 연구, 검토하였다.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효소 처리구에서 무처리 보다 많았으며,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 xylose, galactose 등이 감소하였고,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xylose 등이 감소하였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 arabinose, galactose 등이 감소되었다. Pectin의 비섬유성 중성당은 모든 효소처리구에서 rhamnose, galactose, arabinose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polygalacturonase 처리시에 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Hemicellulose I의 경우 polygalacturonase 처리구는 rhamnose, arbinose, xylose의 함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와 xylose의 함량은 높았고, arbinose, mannose, galactose는 감소하였다.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xylose, mannose, galactose가 높은 반면 arbinose와 galactose는 낮았다. 한편 hemicellulose II에서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 xylose와 glucose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olygalacturonase는 pectin을 분해함으로써 arbinose, galactose, rhamnose를 유리하고, ${\beta}-galactosidase$는 galactan과 arabinogalactan을 분해하여 galactose와 arabinose를 유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과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V) Spur Golden Delicious의 수확기(收穫期)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Storage of Apple -(V) On the Harvesting Date of Spur Golden Delicious Apple-)

  • 박노풍;김연진;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4
    • /
    • 1976
  • 사과의 숙도(熟度)는 과실(果實)의 품질(品質)뿐 아니라 저장수명(貯藏壽命)에도 지대한 영향(影響)을 미치고 있어 Spur Golden Delicious의 숙도(熟度)를 정확히 파악,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저 호흡량(呼吸量)과 과실(果實)의 형질(形質)을 지표(指標)로 조사(調査)한바. (1) 호흡(呼吸)은 점차 감소(減少)하여 9월(月) 25일(日)에 최소치(最少値)를 이루고 그 후 상승(上昇)함으로써 9월(月) 25일(日)을 Climacteric minimum으로, 그 이전(以前)을 pre-climacteric기(期)로 그 이후(以後)를 climacteric rise기(期)로 추정(推定)하였다. (2) 경도(硬度)는 9월(月) 18일(日)까지 비교적 높은치(値)를 유지(維持)하였으나, 9月 25日 즉 climacteric minimum에 급강하현상(急降下現象)을 보이고 그 후 감소(減少)는 완만(緩慢)하였다. (3) pectin은 9월(月) 25일(日), 적정산도(滴定酸度)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 현저히 감소(減少)하였다. (4) 그러나 환원당(還元糖)은 climacteric minimum을 기준(基準)으로 증감현상(增減現象)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시험(本試驗)에서 저장과(貯藏果)의 수확적기(收穫適期)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이 때는 개화후(開花後) 145일(日)에 해당한다.

  • PDF

'쓰가루'사과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다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and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and Neutral Sugar Polymers during Softening of 'Tsugaru' Apples)

  • 최철;강인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34-839
    • /
    • 2006
  • '쓰가루' 사과의 연화동안에 일어나는 세포벽 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연화단계별로 펙틴다당류들을 증류수, 0.05 M CDTA, 0.05 M $Na_2CO_3$, 8 M KOH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Uronic acid (UA) 함량은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는 저장 4주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분획별 비섬유성 중성당의 종류를 보면 증류수, 0.05 M CDTA 및 0.05 M $Na_2CO_3$ 가용성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으며, 8 M KOH 가용성분획에서는 glucose, galactose 및 xylose였다. 특히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galactose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증류수 가용성인 물질을 Sepharose CL-2B를 이용하여 uronic acid polymers (UAP)와 carbohydrate polymers (CP)를 분획한 결과를 보면 고분자의 UAP 및 CP가 수확후 과실의 연화가 진행될수록 저분자화 되었다. 고분자 중합물의 양은 과실이 연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화학조성(化學組城) 및 저장성(貯藏性)에 관(關)하여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Figs and Its Storage Stability)

  • 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69
    • /
    • 1981
  •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가공적성(加工適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외국도입품종(外國導入品種)과 성분(成分)을 비교(比較)하였고, 저장기간(貯藏期間)을 연장(延長)시키기위해 마산(馬山) No.1 품종(品種)을 Polyethylene film을 이용(利用)하여 냉장실험(冷藏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한국산(韓國産) 무화과(無花果)의 화학성분중(化學成分中) 총당(總糖)은 $37.74{\sim}89.68%$ (건물중(乾物中))의 범위(範圍)였고, 총산(總酸)은 $0.59{\sim}1.08%$ pectin은 $4.30{\sim}7.79%$의 함량(含量)을 보였다. 2. 저장중(貯藏中) 수분(水分)은 대조구(對照區)가 급격(急激)한 변화(變化)를 보여16일후(日後) 5%이상(以上) 감소(減少)하였으나 포장구(包裝區)에 있어서는 3% 이하(以下)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당(糖)과 산(霰)은 저장중(貯藏中) 전반적(全般的)으로 감소(減少)하였는데 0.06mm 및 0.08mm PE, 대조구(對照區)가 0.1mm PE 포장구(包裝區) 및 대조구(對照區)보다 완만(緩慢) 변화(變化)를 보였다. 4. 저장중(貯藏中) hardnss와 fracturability는 거의 비슷한 경향(傾向)으로 감소(減少)하였고 adhesiveness는 증가(增加)하였다.

  • PDF

배추의 염장과정 중 성분변화와 조직감의 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 이희섭;이철호;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4-70
    • /
    • 1987
  • 배추의 성분조성 및 조직감의 변화에 대한 염장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 염장조건을 알아보았으며 원료배추 및 염장배추의 dietary fiber 성분조성 무기질 함량 및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추의 조직감은 Rheometer에 의한 cutting test에 의하였으며 아삭아삭한 성질 및 씹힘성은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되었다. 배추절임을 위한 최적조건은 절임농도가 20%, 절임시간은 6시간이었다. 배추를 20% NaCl용액에서 한달간 염장에 의한 성분변화에 있어서 HW-P는 43.6%에서 59.5%로 증가하였으며 HM-P는 35.9%에서 29.5%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전체 펙틴함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셀룰로오즈, 헤미셀룰로오즈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리그린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Na함량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Ca, Mg, 및 K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91%에서 79%로 감소하였다(p<0.05). 배추를 20% NaCl용액에서 한달간 염장에 의한 조직감의 변화에 있어서 최대절단력 및 절단면적은 각각 5배 및 2.5배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씹힘성은 높아졌으나 아삭아삭한 성질은 낮아졌다(P<0.05). Rheometer에 의한 조직감 parameter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추를 20% NaCl 용액에서 한달간 염장과정 중 조직감의 변화는 펙틴질 함량, 수분함량 및 무기질 함량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나 셀룰로오즈, 헤미셀룰로오즈 및 리그린 함량과는 비교적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utting test에 의한 최대 절단력이 배추의 조직감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Newly Emerging Static-Symptom Anthracnose in Apple

  • Jeon, Yongho;Cheon, Won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4-34
    • /
    • 2014
  • Filamentous fungi of the genus Colletotrichum (teleomorph, Glomerella) are considered major plant pathogens worldwide. Cereals, legumes, vegetables, and fruit trees may be seriously affected by this pathogen (1). Colletotrichum species cause typical disease symptoms known as anthracnoses, characterized by sunken necrotic tissue, where orange conidial masses are produced. Anthracnose appears in both developing and mature plant tissues (2). We investigated disease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from 2013 to 2014 i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Typical anthracnose with advanced symptoms was observed in all apple orchards studied. Of late, static fruit spot symptoms are being observed in apple orchards. A small lesion, which does not expand further and remains static until the harvesting season, is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fruit growth period. In our study, static symptoms, together with the typical symptoms, were observed on apples. The isolated fungus was tested for pathogenicity on cv. 'Fuji apple' (fully ripe fruits, unripe fruits, and cross-section of fruits) by inoculating the fruits with a conidial suspension ($10^5$ conidia/ml). In apple inoculated with typical anthracnose fungus, the anthracnose symptoms progressed, and dark lesions with salmon-colored masses of conidia were observed on fruit, which were also soft and sunken. However, in apple inoculated with fungi causing static symptoms, the size of the spots did not increase. Interestingly,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idia and the shape of the appressoria of both types of fungi were found to be similar. The conidia of the two types of fungi were straight and cylindrical, with an obtuse apex. The cultur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 were similar to those of C. gloeosporioides (5). The conidia of C. gloeosporioides germinate and form appressoria in response to chemical signals such as host surface wax and the fruitripening hormone ethylene (3). In this study, the spores started to germinate 4 h after incubation with an ethephon suspension. Then, the germ tubes began to swell, and subsequently, differentiation into appressoria with dark thick walls was completed by 8 h. In advanced symptoms, fungal spores of virtually all the appressoria formed primary hyphae within 16 h. However, in the static-symptom fungus spores, no primary hyphae formed by 16 h. The two types of isolates exhibited different growth rates on medium containing apple pectin, Na polypectate, or glucose as the sole carbon. Static-symptom fungi had a >10% reduction in growth (apple pectin, 14.9%; Na polypectate, 27.7%; glucose, 10.4%). The fungal isolates were also genetically characterized by sequencing. ITS regions of rDNA, chitin synthase 1 (CHS1), actin (ACT), and ${\beta}$-tubulin (${\beta}t$) were amplified from isolates using primer pairs ITS 1 and ITS 4 (4), CHS-79F and CHS-354R, ACT-512F and ACT-783R, and T1 and ${\beta}t2$ (5), respectively. The resulting sequences showed 100% identity with sequences of C. gloeosporioides at KC493156, and the sequence of the ${\beta}$t gene showed 100% identity with C. gloeosporioides at JX009557.1. Therefore, sequence data from the four loci studied proves that the isolated pathogen is C. gloeosporioides. We also performe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which showed clearly differentiated subgroups of C. gloeosporioides genotypes. The clustering of these groups was highly related to the symptom types of the individual strains.

  • PDF

게껍질 Chitin 및 Chitosan의 소화관내 기능성에 관한 in vitro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Functionality in Digestive Tract of Chitin and Chitosan from Crab Shell)

  • 장현주;전동원;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8-354
    • /
    • 1994
  • 반응 조건을 달리하여 게껍질에서 chitin을 추출하고 이를 탈아세틸화하여 chitosan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소화관내 기능성을 in vitro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chitin질의 bulk density는 $127{\sim}208\;mg/ml$, 점도는 0.1% chitin의 경우 $80{\sim}581\;cP$, 0.5%, chitosan은 $80{\sim}3,670\;cP$로 다양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는 $81{\sim}93%$로 비교적 높았다. Chitosan 제조시의 알칼리 농도와 반응 온도가 일정할 때 반응 시간이 경과할수록 탈아세틸화도는 증가하였고, 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hitin질의 보수력은 온도 상승에 따라 약간 상승하였고, $37^{\circ}C$에서 chitosan D가 가장 높았으며, bulk density가 낮을수록 높은 보수력을 나타냈다. Glucose 흡수 억제 효과는 bulk density가 낮고 보수력이 큰 chitin길이 더 컸고 chitosan D가 가장 높은 38%를 나타냈다. Chitin질의 bile acid 흡수 억제 효과는 투석 1시간 후에 $15{\sim}34%$를 나타냈고, pectin은 39%, cellulose는 9%를 나타냈으며 chitosan D는 3% 농도에서 34%의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 PDF

감귤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노이드 검색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 은종방;정영민;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1-377
    • /
    • 1996
  • 감귤류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 유래 식이섬유도 다양한 생리조절 기능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산 조생종 감귤의 과육과 과피에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이라는 두종류의 플라보이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육부의 나린진과 헤스폐리던 함량은 각각 100g 당 2.95 mg, 6.53 mg이었으며, 과피에서는 과육부보다 함량이 높아 10.77mg, 38.90mg으로 나타났다. 과육부의 가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총식이섬유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90%, 0.37%, 2.27%이었으며, 과피에는 각각 1.09%, 4.77%, 5.8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펙틴 함량은 과육에 1.53%, 과피에 0.94%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도(Red Glove)의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의 생산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in Grape (Red Glove) Production and Quality of Red Wine)

  • 이정창;최용근;박정수;정희훈;이동희;최태부;강상모;김형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 발효와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pectinase 처리가 와인제조 과정에서 과즙 추출 향상, 과즙 청징 작용으로 색의 투명성과 안정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과즙 산출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pectinase가 펙틴을 분해하여 약 13%(v/v)의 포도과즙 수율 증가를 나타냈다. 와인 색의 강도와 투명성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색의 적색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는 높은 선명도를 나타냈다. 또한, 펙틴이 pectinesterase(P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발효 중에 메탄올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를 통한 와인 품질과 관련된 기호 평가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외관, 향, 맛, 촉감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ectinase의 처리에 의한 레드와인 발효 시, 다당류와 펙틴의 분해에 의해 레드와인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와인제조 과정에서 pectinase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메탄올 생성량의 감소 방안, 그리고 pectinase 처리 와인의 성분 분석과 기능이 세부적으로 연구된다면 와인품질 개선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