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runoff volum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초

삼각도형에 의한 단위도의 유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t Hydrograph Derivation by the Triangular Form)

  • 윤학기;김시원;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377-4384
    • /
    • 1977
  • The curvilinear hydrograph can be replaced by an equivalent triangular hydrograph which is more easily constructed and, for routing through reservoirs or stream channels, gives results about as accurate as those obtained using the curvilinear hydrograph. A synthetic hydrograph is prepared using the data from a number of watersheds to develop a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applicable to ungauged watersheds. The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for the NakDong River Basin was prepared from the unit hydrographs of a variety of nine subwatersheds. The equation for the peak rate of flow (unit volume of runoff in 1.0mm) was derived as {{{{ { q}_{p } = { 0.21AR} over { {T }_{p } } }}}} The result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found that the watershed lag time (Lg, hrs) could be expressed by Lg=0.253(L.Lca)0.4171 The product L.Lca is a measure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watershe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Lg was 0.97 which defined with high significance. 2) The base length of the unitgraph, in hours, was adopted as Tb=17.51+2.073Lg with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0.92. 3) Time in hour from start of rise to peak rate (TP) generally occured at the position of 0.289 Tb with some indication of higher values for larger watershed. 4) Triangular hydrograph is a dimensionless unitgraph prepared from the 40 unitgraphs. The equation is shown as {{{{ { q}_{p } = { K.A.R} over { { T}_{p } } }}}}. The constant K=0.21 is defined to NakDong River basin. 5) In the light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average errors in the peak discharge of the Trjangular unitgraph was estimated as 5.34 percent to the peak of observed average unitgraph. Each ordinate of the Triangular unitgraph was approached closely to the observed one.

  • PDF

HSPF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및 BOD 부하량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Cycle and BOD Loads Using HSPF in the Anyancheon Watershed)

  • 이길성;정은성;이준석;홍원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585-6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에 대해 HSPF 모형을 구축하고 중유역과 전체유역의 물순환 현황 및 BOD 부하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HSPF모형의 수량 및 BOD 농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매개변수를 선택하였다. 또한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는 안양천 유역을 토지이용, 경사도 및 사용한 기상자료 등에 따라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검 보정을 실시하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물순환 모의 결과 하류로 갈수록 도시화 비율이 높으며 이로 인해 기저유출량은 11.1 % $\rightarrow$ 5.0 %로 줄어들고 직접유출량은 42.5 % $\rightarrow$ 56.9 %로, BOD 농도는 3.3 mg/L $\rightarrow$ 15.0 mg/L로, 단위면적당 원단위는 55.4 kg/ha/year $\rightarrow$ 354.5 kg/ha/year로 늘어났다.

GPM위성 강우자료와 KIMSTORM2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 홍수모의 (Yongdam Dam Watershed Flood Simulation Using GPM Satellite Data and KIMSTORM2 Distributed Storm Runoff Model)

  • 김세훈;김진욱;정지훈;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GPM 위성자료 및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KIMSTORM2(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을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930㎢)을 대상으로 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유출해석은 2014년 08월 25일 05:00~17:00, 2017년 09월 11일 01:00~12:00, 2018년 06월 26일 23:00~06월 27일 10:00 총 3개의 집중호우 기간으로, 4가지 공간자료: (a) 7개의 지상관측소 강우를 Kriging 기법으로 공간내삽한 자료, (b) 원 GPM 자료, (c) 조건부합성(Conditional Merging, CM)으로 보정한 GPM(CM-GPM) 자료, (d) 지리적편차(Geographical Differential Analysis, GDA)로 보정한 GPM(GDA-GPM) 자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유출 보정은 유역내 3개의 수위관측지점(천천, 동향, 용담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4가지 공간자료에 대하여 모형의 매개변수인 초기 토양수분량, 하천 Manning 조도계수, 유효투수계수를 각각 보정하였다. 보정결과는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 R2),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 및 유출용적지수(Volume Conservation Index, VC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3개의 강우에 대한 Kriging, GPM, CM-GPM 및 GDA-GPM의 평균 NSE는 0.94, 0.90, 0.94, 0.94, R2는 0.96, 0.92, 0.97, 0.96, VCI는 1.03, 1.01, 1.03, 1.02로 보정되었다. R2, NSE 및 VCI에 있어, CM-GPM과 GDA-GPM이 원 GPM보다 첨두유출량 및 유출용적에 있어 보다 잘 보정되었다.

도시유역의 저류지 설계를 위한 계획모형 비교분석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Planning Models for the Design of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 이재준;곽창재;이상원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05-115
    • /
    • 2008
  • 도시화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 및 도달시간의 단축은 도시재해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하여 도시 배수유역내에 저류지를 설치하여 첨두도달시간을 지연시키고 방류량은 하수관거의 통수능 이하로 조절하는 방안을 활용하고 있다. 저류지를 설계 운영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문모형은 일반적으로 계획모형, 설계모형 및 운영모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영향평가서 22개소의 기 설계된 저류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저류지 계획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으로는 삼각형, 사다리꼴 설계수문곡선과 경험적 공식을 이용한 11가지의 모형을 적용하였다. 저류지 계획모형의 분석에서 on-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사다리꼴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이종태 등 모형(1991)의 결과가 대상 저류지의 실저류량과 가장 유사함을 보였고,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삼각형 형태 설계수문곡선을 채택하고 있는 Abt and Grigg 모형(1978)의 결과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투트렌치 시설의 유출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Infiltration Trench Facility for Runoff Reduction Effect)

  • 연종상;장영수;신현석;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13-5819
    • /
    • 2014
  • 도시화로 인한 도시유역의 불투수면적 증가에 따른 우수유출수 증가를 저감하기 위해 저영향개발의 계획 및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침투트렌치의 국내 적용성 및 성능검증을 위해 침투트렌치 실험조건을 바탕으로 SWMM을 구축하여 유출량 및 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SWMM의 침투트렌치 적용면적은 전체 유역면적의 5~15%의 면적에 적용하며 모의를 수행하였다. SWMM 모의결과 첨두유출량은 45.7~61.9%, 총유출량은 47.2~62.3%, BOD 부하량은 52.3~55.3%의 저감효율로 분석되었다. 실험결과와 비교하면 유출량의 경우 12~24% 크며, BOD 부하량의 경우 37~38% 작게 산정되었다. 추후 침투트렌치의 적용성 및 성능검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강 중류 산간농업 소하천에서의 오염부하특성분석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from a Small Mountainous Agricultural Watersh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 신용철;최중대;임경재;심혁호;류창원;양재의;유경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6호
    • /
    • pp.83-92
    • /
    • 2005
  • Natural environment of the Wolgokri stream watershed, located in Chuncheon, Gangwon province, Korea, has been well preserved as a traditional agricultural watersh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ion generated from an mountainous agricultural watershed, the flow and water qualities of the study watershed were monitored and were analyzed to estimate pollution loads. Annual runoff volume ratio was $70.4\%$. Concentrations of T-N, T-p, COD, and TOC were higher when monthly rainfall was between $0\~30mm$ than those when monthly rainfall was between $30\~70mm$. However, the concentrations varied considerably when monthly rainfall was higher than 100mm. The flow weighted mean concentrations(mg/L) of BOD, COD, TOC, $NO_3-N$, T-N, T-P and SS were 1.96, 2.72, 3.32, 1.41, 4.70, 0.187 and 13.36, respectively. The BOD, SS, T-N and T-P loads of July, 2004 were $48\%,\;17\%,\;51\%\;and\;32\%$ of annual load, respectively. The BOD, COD, TOC, $NO_3-N$, T-N, T-p, and SS loads (kg/ha) from Mar. 2004 to Apr. 2005 were 19.09, 26.55, 32.39, 13.85, 45.92, 1.887 and 130.18,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BOD, NO3-N, T-N, T-p, SS, COD and TOC were found before the flow reached the peak runoff, possibly due to the first flushing effect. Generally, pollution loads of the Wolgokri watershed were not that significant. Phosphorus load, however, was higher enough to cause eutrophication in the receiving water body It was recommended that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implemented to reduce phosphorus sources.

해외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9-216
    • /
    • 2001
  • 개발등 인위적 건설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기법은 연평균 토사생산량을 산정하기위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l본 연구에서는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향 산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을 강우자료와 토사유출 실측값이 있는 국내 개발현장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MUSLE 적용시 필요한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산정기법 중 국내여건에 적합한 산정기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MUSLE 적용결과와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관리를 위한 초기우수 저류조 설계방안 연구 (A Study on First Flush Storage Tank Design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Control)

  • 손봉호;어성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54-660
    • /
    • 2011
  • One of the best way to control Combined Sewer Overflow (CSO) is proposed to construct first flush storage tank. But there is little known parameters for optimum design of these fac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optimum design parameters for a first flush storage tank construction. The optimization of the tank is generally based upon some measure of SS(Suspended Solid) mass holding efficiency. Water quality deterioration of receiving water body happened right after first time occurring rainfall in dry weather seasons. So, design rainfall intensity is used at 2 mm/hr for peak of monthly average intensities of dry seasons. The capacities for each evaluated catchment are designed from 14.4 min to 16.1 min HRT of CSOs flow at design rainfall intensity. Owing to all storage tanks are connected to interception sewer having a redundancy, the suggested volume could be cut down.

홍수사상 요소의 상관성을 고려한 홍수사상의 평가 (Evaluation of Flood Events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Flood Event Attributes)

  • 이정호;유지영;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257-267
    • /
    • 2010
  • 홍수사상은 크게 첨두홍수량, 홍수용적, 지속기간 등과 같은 서로 상관된 세 가지의 요소에 의해 특성화되어진다. 그러나 그동안 수공학적 계획이나 설계 등을 위한 홍수빈도 해석에서는 주로 첨두홍수량 한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홍수빈도 해석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단변량 홍수빈도 해석은 서로 상관된 홍수사상 요소 사이의 복잡한 확률적 거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혼합모형, 이변량 감마분포, 이변량 핵밀도 함수 등 세 가지의 이변량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단변량 빈도해석 방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소양강댐의 35개년 일 유입량 자료와 대청댐의 28개년 일 유입량 자료에 대해 각각의 홍수사상을 분리하고, 홍수사상 자료의 통계량과 매개변수, 최적 광역폭 등을 산정한 후 자료의 적합도 검정과 결합분포의 적합도 검정 등의 과정을 거쳐 첨두홍수량과 홍수용적의 조합을 고려하여 결합분포와 결합 재현기간 등을 추정하였다. 이처럼 세 가지 방법의 이변량 빈도해석을 통해 추정된 결과를 단변량 홍수빈도 해석의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방법의 상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변량 홍수빈도 해석의 특성에 의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이변량 홍수빈도 해석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한천저류지 운영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평가 (An Evaluation of the Flood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Hancheon Reservoir Operation)

  • 문덕철;정관수;박원배;김용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07-11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2007년 제주지역을 강타한 태풍 '나리' 이후 홍수조절을 위해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태풍 '뎬무'의 내습 시, 한천 상 하류에 위치한 하천유량관측소의 자료와 저류지 유입량 자료를 이용하여 한천저류지 운영이 하류지역에 미치는 홍수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에서의 실제 하천수위는 3.44m를 기록하였으나, 수위-유량 관계식, 유출전파속도, 저류지 유입량 등을 활용하여 저류지가 운영되지 않았을 경우의 하류지역 하천수위를 분석한 결과 4.16m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천유역에 설치된 저류지의 홍수저감 효과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유사한 사상에 대해서도 적절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