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runoff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5초

토지이용별에 따른 초기강우 유출량의 비점오염물 특성 분석 (Nonpoint Pollutants Sources Characteristics of Initial Surface Runoff on the Land Use Types)

  • 최윤영;정세영;최정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7-42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at the urban and rural zones in sangju area. The monitoring was conducted with seven events for ten months and Event mean Concentration(EMC) and First Flush Effect(FFE) of SS and BOD were calculated on the result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and BOD were observed after 3~4 hours of rainfall in r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1~2 hours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urban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st flush effect occurred in urban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rural areas ranged from 0.9~3.3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urban areas. While the mean BOD values of urban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빗물펌프장 운영합리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Pump Stations)

  • 한국원자력연구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33-144
    • /
    • 1998
  • 계속되는 도시 개발붐은 유역내 불투수지역을 증가시켜 첨두홍수유출량이 늘어나게 되었고, 도시지역 저지대에서 침수피해가 자주 그리고 크게 발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침수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빗물펌프장의 과학적인 운영바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유역에 대하여 기왕의 강우사상에 맞는 도시 홍수유출모형으로 ILLUDAS 모형을 선정하였다. 둘째, ILLUDAS모형으로 재현기간별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한 후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펌프가동대수를 구하고 서울지방의 강우강도(I)-지속기간(D)-재현기간(F) 곡선식으로부터 강우강도와 지속기간에 따른 펌프가동대수를 결정하는 펌프장 운영기준을 개발하였다.

  • PDF

도시지역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SWMM의 적용 -포항시를 대상으로- (Application of SWMM for Management of the Non-point Source in Urban Area -Case Study on the Pohang City-)

  • 이재용;장성호;박진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54
    • /
    • 2008
  • Non-point source pollution that originates from surface applied chemicals in either liquid or solid form is a part of urban activities and it appears in the surface runoff caused by rainfal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non point source pollution in relation to storm events and the first washing effect in the Study area, which is comprised of different land use types. Then, a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model, for urban areas, is applied with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indows Interface which was developed by the EPA in the USA. During the storm event analysis of the hydrographic and pollutographic data showed that the peak of pollutants concentration was within the peak flow, 30 to 60 minute into the storm event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simulation using SWMM Windows Interface, Structure Techniques as applied in the study were highly efficient for removal of pollutants. Predicted removal efficiency was 26.0% for SS, 22.1 for BOD, 24.1% for COD, 20.6% for T-N, and 21.6% for T-P, respectively.

WEPP 모델을 이용한 고랭지밭 경사도별 침사지 적정용량 산정방법 (Design of Optimum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WEPP Model)

  • 현근우;박성빈;박정희;전상호;최재완;김기성;임경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5호
    • /
    • pp.87-95
    • /
    • 2010
  • The optimum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rainfall and surface peak rate runoff from crop field. Based on analysis of measured rainfall and runoff data, it was found that rainfall intensity of 2 mm/min would result in peak rate runoff from the agricultural field of study area. Optimum pond volume under various slope scenarios were determined using the WEPP model calibrated with measured flow and sediment data for the study watershed. For the agricultural field with the slope of 7 % and area of $2,600\;m^2$ at the study area, at least $6.4\;m^3$ of sediment settling pond is needed as shown in this study.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guide in designing appropriate volume of sediment settling pond at highland agricultural areas because both very detailed field measurement and calibrated WEPP model results are used in the analysis.

HEC-HMS을 이용한 안성천 유역의 강우 유출 특성 분석 (Analyis of stormwater and runoff characteristics in Anseongcun basin using HEC-HMS)

  • 황병기;양승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24
    • /
    • 2018
  • 과거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였던 안성천 하류 저지대의 홍수-유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HEC-HMS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은 SCS-CN 방법으로 손실계산을, Clark의 단위도법으로 강우의 직접유출 변환을, 지수함수적 감소방법으로 기저유량을, Musingum 방벙으로 하도추적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모형에서 매개변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최적화 기법을 시행착오법과 병행하여 최적화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도달시간, 저류함수, 기저유량 관련 상수들이 모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도달시간은 첨두유량 발생 시각에 영향을, 저류상수는 첨두 유량의 증감에 영향을 기저유량 감소비는 수문곡선 하강부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모형 보정을 거친 변수를 사용하여 2건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하여 실측 자료와 비교를 하였으며, 유출체적, 첨두유량, 첨두시각을 포함한 중요 수문현상에 대하여 상당히 정확하게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입안자가 홍수관리대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강우시 시화호 농촌 및 공단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f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in Lake Sihwa Watershed)

  • 김세원;최광순;김동섭;이미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8-777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as examined on distinct types of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 in Lake Sihwa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COD_{Mn}$, and TP were observed after 6~11 hours of rainfall in agricult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the first one hour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industrial areas. The strong first flush effect of suspended solid was apparent in agricultural areas, while those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were clear in industrial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rst flush effect occurred in industrial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agricultural areas ranged from 60~598 mg/L (Avg. 285 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other areas. While the mean $COD_{Mn}$, TN, and TP EMCs values of industrial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as 67.7 mg/L, 12.1 mg/L and 2.1 mg/L respectively.

미호천 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WMS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WMS Model for Runoff Analysis of Miho Stream Basin)

  • 안상진;이무경;전계원;연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1호
    • /
    • pp.929-9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금강홍수통제소의 홍수조절 주요지점인 금강수계의 미호천 유역(석화 수위관측소)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GIS와 결합된 홍수유출모형인 WM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유출해석은 WMS에 내재된 HEC-1을 이용하였다. 유효강우량의 산정을 위해 SCS의 CN 값을 사용하였으며, 합성단위도법으로는 Clark, Snyder 및 SCS 무차원 단위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 수문곡선과의 검증을 통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강우유출모의에서 GIS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미호천의 경우 Snyder(Tulsa) 방법과 Clark(Kerby) 방법이 대체로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고, Snyder(Tulsa) 방법이 Clark(Kerby) 방법보다 좀 더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도시화 정도에 따라 첨두유량이 증가하였고 첨두유량 발생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 높이를 고려한 SWMM 모형의 강우-유출해석 방법 제안 (A Rainfall-runoff Analysis Method of SWMM Model Considering Building Height)

  • 이형택;조은샘;유철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시유역 유출해석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SWMM 모형에 초고층 건물의 영향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건물의 규모 및 높이를 고려하여 빗물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추가로 계산하고, 이를 반영하여 유역폭을 수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Isidoro et al. (2012)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SWMM 모형으로 모의한 유출수문곡선은 실험자료와 전체적으로 잘 일치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수문곡선에서 모두 모두 건물의 밀도 증가에 따른 첨두유량의 감소, 첨두시간의 지체 등 유출 반응의 변화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레이더 자료의 해상도를 고려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GIS 자료 최적 격자의 결정 (Decision of GIS Optimum Grid on Apply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Radar Resolution)

  • 김연수;장권희;김병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5-116
    • /
    • 2011
  • 최근 몇 년간 기후변화에 의해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가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수문기상학적 요소와 특성인자들의 정확한 상호 연관성 규명과 공간적 변동성 해석은 강우-유출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강우 격자 해상도와 지형인자 격자 해상도에 따라 강우-유출모형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였으며, 가-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ModClark 모형을 이용하여 강원도 인제군의 내린천 유역을 대상으로 광덕산 레이더자료를 이용하였다. ModClark 모형 구성을 위한 GIS 지형공간 자료는 30m, 150m, 250m, 350m 격자크기의 DEM을 사용하였으며, 2006년 7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관측레이더 강우자료를 500m, 1km, 2km, 5km, 10km 사용하여 유출모의를 실시하고, 각각의 격자해상도에 따른 모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유출 수문곡선을 작성하고 유출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첨두유량 및 유출체적에 대해서는 DEM 30m~150m, 레이더강우 500m~2km 크기의 격자일 때 가장 최적의 유출 모의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 분석에 의한 분석결과에서는 모든 DEM 격자는 레이더강우 격자가 500m인 경우, 모든 레이더강우 격자는 DEM 30m인 경우에 모형의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민감도 산정 결과 지수 등급이 높은 DEM이 분포형 모형의 결과 값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집중형 모형에서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출해석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모델링 구성을 위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탱크모형의 流出孔 乘數 변화를 고려한 홍수모의 (Flood Simulation with the Variation of Runoff Coefficient in Tank Model)

  • 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3-12
    • /
    • 1998
  • 호우의 강우강도는 홍수 수문곡선의 첨두유량이나 도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이므로 그 영향을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나 모형의 지배방정식에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논문에서는강우강도의 변호를 탱크모형 최상단 탱크의 유출공 승수 변화에 반영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탱크의 구조는 표준4단 탱크에서 최상단 유출공의 승수를 같도록 하고 1,2단 탱크의 유출에 지체시간을 부여한 수정형태이다. 내린천 유역의 여러 홍수에 대하여 최상단 탱크의 유출공 승수와 강우강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우강도가 증가할 때 승수 a1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그 정도는 다소 약하였다.이 경향을 a1=kI$(I:강우강도,k,m:계수)의 근사식으로 작성하여 모형 검증에 사용하였다. 이때 평균강우강도 I(t)는 시각 t에서 몇 시간 전까지의 이동평균을 사용하고, 계산된 a1이 그 전 값보다 크면 a1의 a1을 갱신하여 처음부터 시각 t까지의 강우량으로 다시 유출을 모의하였다. 검증 결과 강우강도를 반영한 유출공 승수 a1의 적용이 고정된 값의 사용에 비하여 홍수모의 오차를 크게 축소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