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Conversion Efficiency (PC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개선된 전력변환 효율의 5.8 GHz 정류기 위한 게이트-바이어스 기법 (Output-Referred Gate Bias Topology for 5.8 GHz Rectifier with Improved Conversion Efficiency)

  • ;김주성
    • 반도체공학회 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13-20
    • /
    • 2024
  • 개선된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 구조를 갖춘 교차 결합 차동 정류기(Cross-Coupled Differential Rectifier, CCDR)를 제안한다. 제안된 정류기는 주요 정류 트랜지스터에 출력 연결 바이어스를 구현하여 도통 스윙을 증대시키는 추가적인 바이어스를 생성한다. 또한 게이트 단자는 정류기의 가장 낮은 노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 전압을 제안된 게이트 바이어스 노드에 있는 특정 트랜지스터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 설계는 이상적인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양한 부하 및 매칭 네트워크 조건에서 시뮬레이션되어 정류기의 입력 임피던스를 맞추고 성능을 극대화한다. 제안된 기술은 28nm 공정을 사용하여 구현되었으며, 65.14%의 피크 변환 효율(PCE)을 달성하고, 다양한 부하에서 21 dBm 의 전체 동적 범위를 갖는다. 이 설계는 10㏀과 100pF 부하에서 0.8 V 의 출력을 생성하며, 동적 범위 내에서 최대 1.5 V 까지 확장될 수 있다.

Cadmium selenide 영향에 따른 poly(3-hexylthiophehe):[6,6]-phenyl $C_{61}$ butyric acid methyl ester 유기태양전지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effects of cadmium selenide on the performance of poly(3-hexylthiophehe):[6,6]-phenyl $C_{61}$ butyric acid methyl ester organic solar cells)

  • 최미정;박응규;연익준;고성식;김용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7.1-57.1
    • /
    • 2011
  • We studied the performance of CdSe nanoparticle in the active layer of organic photovoltaics (OPVs) by changing concentration of the CdSe NPs in the P3HT:PCBM layer. We observed that the absorption peak value gradually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CdSe NPs at 600nm wave length. However,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OPVs correspond less with the tendency of UV/visible result. The highest performance was shown with 10% of CdSe NPs. The device performance decreased after 10% of CdSe NPs, this shows the dependencies of performanc of hybrid solar cells on the CdSe NPs loading amount. The resulting OPVs with 10 % of CdSe NPs show a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 of $6.96mA/cm^2$, open circuit voltage ($V_{oc}$) of 0.61V, fill factor (FF) of 0.59, an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2.53% under AM 1.5 ($100mW/cm^2$).

  • PDF

TiO2:TiCl4 전자수송층을 도입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 향상 (Improved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TiO2:TiCl4 Electron Transfer Layer)

  • 안준섭;강승구;송재관;김진봉;한은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5-90
    • /
    • 2017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자수송층(ETL)인 다공성 $TiO_2$$TiCl_4$를 흡착시켜 FTO 전극과 광활성층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TiO_2:TiCl_4$ 전자수송층 간의 전자 이동을 쉽게 함으로써 소자의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고자 했다. 제작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FTO/$TiO_2:TiCl_4$/Perovskite($CH_3NH_3PbI_3$)/spiro-OMeTAD/Ag이다. $TiCl_4$ 수용액에 다공성 $TiO_2$를 침지하는 시간을 변화시켜 제작한 소자의 광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TiO_2:TiCl_4$ 전자수송층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은 $TiCl_4$ 수용액에 $TiO_2$ 전자수송층을 30분 동안 침지하여 제작한 소자에서 가장 높은 10.46%를 얻었으며, 이는 $TiO_2$만의 전자수송층을 갖는 소자에 비해 27% 향상되었다. SEM, EDS, XPS 측정으로 $TiCl_4$ 흡착으로 인한 $TiO_2$ 층의 다공성 감소와 Cl 성분의 검출,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의 큐브형 모폴로지와 $PbI_2$ 피크의 이동을 관찰하였으며, $TiO_2:TiCl_4$ 층과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