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5초

Growth and Optimum Harvesting Time of Pod-edible Peas (Pisum sativum L.)

  • Moon, Hyun-Sook;Hwang, Yo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3-96
    • /
    • 2000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growth and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and optimum harvesting time for podedible pea which is a new crop in Korea but believed to have a great deal of potentials for both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They can be consumed either as a fresh succulent vegetable or as tender green pods. The daily green pod yield of pod-edible peas started to increase from ten days after flowering and the maximum yield was recorded on 26 days after flowering. Ninety percent of pod yields could be harvested from 16 to 36 days after flowering. Mean green pod yield for the tested varieties was approximately 8.0 t/ha. Total vitamin C content of pod-edible peas showed continuously decreasing trends from five days after flowering. The highest sucrose content was obtained at ten days after flowering. The highest panel score based on sweetness, chewiness, and hardness for the processed green pods was shown at 10-15 days after flowering in all varieties tested, indicating that the optimum harvesting time for pod-edible peas was considered to be 10-15 days after flowering.

  • PDF

Antifungal Activity of Nor-securinine Against Some Phytopathogenic Fungi

  • Sahni, Sangita;Maurya, S.;Singh, U.P.;Singh, A.K.;Singh, V.P.;Pandey, V.B.
    • Myc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97-103
    • /
    • 2005
  • Crude extracts and active principles from medicinal plants have shown potential role in controlling plant diseases in glasshouses as well as in fields as one of the safest and ecofriendly methods. The effect of nor-securinine (an alkaloid) isolated from Phyllanthus amarus has been seen against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Alternaria brassicae, A. solani, Curvularia pennisetti, Curvularia sp., Erysiphe pisi, Helminthosporium frumentacei) as well as pea powdery mildew (Erysiphe pisi) under glasshouse conditions. The sensitivity of fungi to nor-securinine varied considerably. Nor-securinine was effective against most of the fungi. H. frumentacei was more sensitive even at the lowest concentration ($1,000\;{\mu}g/ml$). Likewise conidia of E. pisi were also inhibited in partially or completely appressorium formation. Pre-inoculation treatment showed greater efficacy than post-inoculation in inhibiting powdery mildew development on pea plants in a glasshouse. Maximum inhibition occurred at $2000\;{\mu}g/ml$.

PVAm 용액의 종이 두께 방향 침투에 영향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Z-direction Penetration of PVAm Solution into Paper)

  • 최도침;원종명;조병욱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5호
    • /
    • pp.104-111
    • /
    • 2015
  • Factors influencing penetration of PVAm solution into paper during impregnation were investigated with ultrasonic Penetration Evenness Analyzer (PEA). Paper structure was varied by changing basis weight, freeness of pulp, calendering, and filler addition, and hydrophobicity of paper was varied by adding AKD.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PVAm solution was varied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PVAm solution.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penetration of PVAm solution into paper were found to be the pore structure and the hydrophobicity of paper, and the viscosity of PVAm solution. Pore structure of paper could be controlled by refining degree and filler addition and hydrophobicity of paper could be controlled by internal sizing. Denser structure of paper, higher hydrophobicity and higher liquid viscosity slowed down the penetration of PVAm solution into paper.

두류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 권미라;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4-269
    • /
    • 1993
  •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고유점도와 중합도는 강남콩이 다른 시료에 비해 작았다.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포의 연구에서는 전분의 경우 강남콩이 대체로 작은 분자들이 많음을 보여주었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특히 강남콩 아밀로오스가 분자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부와 녹두는 강남콩이나 팥보다 컸고, 팥은 중간이었다. 아울러 아밀로펙틴의 경우 pullulanase로 분해시켰을 때 잘라지는 가지 부분들이 강남콩은 약간 짧았고 동부나 녹두는 강남콩보다는 길었으며 서로 비슷했다. 또한 동부나 녹두는 긴 사슬(DP 40 부근)에 비해 짧은 사슬(DP 15 부근)의 비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A Rapi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Absolute Activity of Carbon-14 in Pea Plant Tissue

  • Kendall, F.H.;Park, Chang-Kyu;Mer, C.L.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2호
    • /
    • pp.56-60
    • /
    • 1975
  • 완두유묘의 자엽 및 뿌리조직중 탄소-14 방사능을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신속히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식물조직을 액체공기에 처리하여 분쇄한 다음 Gel phosphor에 헌탁시켜,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이시료에 다시 내부표준물질을 가한 다음 계측효율을 구하여 Apparent absolute activity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헌탁시료의 절대방사능은 자기 흡수현상 때문에, 따로 Flask combustion 방법으로 구한 절대방사능 보다는 낮았으나, 항상 비례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실험조건하에서 상술한 비율을 얻으면, 완두조직중 탄소-14의 점대방사능은, 비교적 간편한 헌탁측정(suspension counting) 만으로 가능하였다. 본방법은 완두 외에 다른 식물조직중 탄소-14 분석에도 쓰일 수 있다.

  • PDF

Toxin Produced by Colletotrichum falcatum Causing Red Rot of Sugarcane

  • Saikia, R.;Azad, P.;Arora, D.K.
    • Myco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49-154
    • /
    • 2004
  • Toxin produced by Colletotrichum falcatum Went, the incitant of red rot of sugarcane was isolated, purified and assayed to determine host specificity and identify its chemical nature. The toxin was found to be not host specific as it inhibited germination of various seeds(gram, greengram, blackgram, pea, cowpea, rice and sugarcane) as well as different seedlings viz. tomato, coriander, pea and rice. The toxin consists of two distinct fraction-one fraction having $R_f$, value at 0.36 producing identical red rot lesion when inoculated at leaf midrib of sugarcane, and the other having $R_f$, value at 0.72 not showing any red rot lesion. Chromatogram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of the red rot lesion causing fraction showed a sharp peak at 1.62 min of retention time(RT), and spectral analysis indicated the presence of following chemical $CH_3$ - groups-C-H, C=O, C-N, $-CH_3,\;-CH_2$ -CH and molecular mass of the compound was 203. - ($M^+,\;C_{11}H_{11}N_2O_2$).

The differences in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for analyzing mixing and stratification between 2D and 3D model

  • Minh, Nguyen Ngoc;Hwang, Jin Hw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0-240
    • /
    • 2015
  • As Simpson et al. (1990)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straining process in the stratification and mixing in the estuarine circulation process, various researches have investigated on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process to the overall potential energy anomaly dynamics. However, many numerical works have done only for two dimensional modeling along channel or the short distance cross sectional three dimensional simulations as Burchard et al. (2008) and the estuarine channel was not simulated so far. But, in the study on the physics of shallow coastal seas, spatial dimension in the three dimensional way affects significantly on results of a particular numerical model. Therefore, the comparison of two and three dimensional model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al physics of mixing and stratification in an estuary. Also, as Geyer and MacCready (2013) pointed out that the lateral process seems to b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eriodic stratifications, to study such process the three dimensional modeling must be required. The present study uses a numerical model to show the signification roles of each term of the time-dependent dynamic equation for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in controlling along and lateral channel flows and different stratification structures. Moreover, we 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i}$-advection, the depth mean straining, vertical mixing and vertical advection can explain well how water level, salinity distribution and across velocity 2D model are slightly different from 3D.

  • PDF

유기질비료 시용과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의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능력 추정 (Estimation of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per Unit Area of Whole Crop Wheat and Triticale by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and Legumes-Mixed Sowing)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7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월동 사료작물로 재배되는 총체밀과 트리트케일에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단,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조사료 확보 및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hairy vetch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50%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총체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처리구가 6.04~6.58톤/ha으로 무비구의 5.19톤/ha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수량은 forage pea(0.60톤/ha)와 hairy vetch 혼파구(0.56톤/ha)가 무비구(0.37톤/ha)와 유기질비료 시용구(0.43톤/ha)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평균 조단백질과 TDN 함량 및 RFV는 콩과작물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밀을 유기 한우 암소 450kg에 70% 급여 시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연간 약 ha 당 각각 3.4~3.5두로 유기질비료구(평균 2.9두) 및 무비구(평균 2.9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 트리트케일의 2년 평균 연간 건물수량도 시험구는 6.24~6.40톤/ha의 범위로 무비구의 5.12톤/ha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과 TDN 수량은 시험구(각각 0.48~0.56과 4.03~4.12톤/ha)가 무비구(0.38과 3.3톤/ha)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평균 조단백질 함량도 콩과작물 혼파구와 액상우분뇨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총체트리트케일로 유기한우 암소를 사육할 때에는 액상우분뇨 50%시용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에서 ha 당 연간 평균 3.3~3.4두를 사육할 수 있어 무처리구의 ha 당 평균 2.5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밀 혹은 트리트케일의 건물생산성은 유기질 비료보다는 액상우분뇨가 훨씬 효과적이고 액상우분뇨 50%시용과 함께 콩과 작물인 hairy vetch 혹은 forage pea 등을 혼파로 재배하는 것이 단파의 경우보다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어 유기 한우 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 선발 (Selec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Annual Legumes on Paddy Field)

  • 김원호;이종경;박형수;황보순;임영철;지희정;이효원;윤봉기;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7-312
    • /
    • 2009
  • 본 연구는 논에서 생육특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두과 사료작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천안(국립축산과학원)과 나주(전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논에서 2004부터 2006년까지 수행되었다. 두과 사료작물은 자운영, 크림손 클로버, 사료용 완두 그리고 헤어리 베치 초종을 공시하였고 각 초종의 품종은 자운영에서 국내에서 자생하는 품종(야생종)과 크림손 클로버(C.V. Linkarus), 사료용 완두(C.V. Austroan pea), 헤어리 베치(C.V. Oregon common)을 각각 공시하였다. 나주지역에서 수행되었던 두과 사료작물의 개화기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Forage pea 초종이 가장 늦었다. 크림손 클로버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28,870, 6,986 그리고 943 kg/ha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자운영에서는 9,885, 1,749 그리고 33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천안지역 논에서는 자운영이 가장 빠르고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가장 늦었다. 헤어리 베치 초종의 생초, 건물 그리고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7,916, 1,141 그 리고 11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자운영에서 270, 42 그리고 8 kg/ha으로 가장 적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 14.3%로 높았고 자운영에서 19.3%로 가장 높았으나 헤어리 베치 초종에서 9.9%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논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을 고려한 결과 나주지여에서는 크림손클로버 초종이 우수하고 천안지역에서는 헤어리 베치 초종이 우수하였다.

아카시아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과 이의 중기생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logy of Primary Parasites of the Cow-pea aphid, Aphis craccivora Koch (Aphididae, Homo.) and its Hyperparasites)

  • 장영덕;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7-243
    • /
    • 1983
  • 아카시아진딧물의 생물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83년 4월부러 9월까지 계룡산 지역과 대전근교에서 아카시아 진딧물에 기생하는 기생봉들의 종류와 이에 따른 기생활동 상황(mummy형성)과 이들 제1차 기생봉에 기생하는 중기생봉과의 기생선택관계 및 주요기생봉들의 mummy형성율, 장난수, 생존기간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카시아 진딧물이 기생하는 진디벌은 모두 8종이 채집되었으며 이중 Binodoxys nearctaphidius Mackauer, Lipolexis scutellaris Mackauer, Lysiphlebus salicaphis(Fitch), Trioxys hokkaidensis Takada 등 4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2. 야외에서 채집된 509개의 기생당한 mummy중 진디벌이 $44.8\%$, 중기생봉은 $43.8\%$를 차지하고 있었다. 3. 아카시아 진디물에 기생하는 주요기생봉으로는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us salicaphis, Lysiphlebia japonica, Lipolexis scutellaris 등이 였으며 이들의 비율은 각각 $31.6\%,\;18.8\%,\;16.7\%,\;11.4\%$였다(성비에 있어서는 기생봉들이 높은 편이었으며 특히 L. ambiguus의 경우는 0.72로서 가장 높았다) 4. 중기생봉은 Lygocerus testacemonus Kieffer, Protaphelinus nikolskajae (Jasnosh), Eucoila sp. Gastrancistrus sp., Ardilea convexa(Waler), Asaphes vulgaris Walker 등 6종이 채집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한국산미기록이었으며, 이들중 Eucoila sp., A. vulgaris, A. convexa등 3종은 진디벌레 대한 기생율이 각각 $39.9\%,\;34.1\%,\;19.7\%$로서 이들은 아카시아 진디벌의 활동에 제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 진디벌중 Lipolexis scutellaris는 6종의 중기생봉중 3종에 의해서만 공격을 받고 있었으며 나머지 종들은 거의 모든 중기생봉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6. 주요 진디벌인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66.9\%)$, 120개$(43.0\%)$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2\~3$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15.8\~21.5$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