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ulownia corean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8초

안동 사문암지대의 식물다양성 (Floristic Diversity of Serpentine Area in Andong, Korea)

  • 김중현;김선유;정은희;김진석;노태권;배호명;남춘희;이병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8
    • /
    • 2016
  • 본 연구는 안동 사문암지대의 관속식물상, 현존식생 및 토양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88과 239속 311종 6아종 33변종 6품종 3교잡종으로 총 35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249분류군의 분포가 새로이 밝혀졌다. 안동 사문암지역은 식물구계학상 온대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의 혼합림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벌개미취가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7분류군으로 준위협종(NT)에 채고추나물, 원지, 쑥방망이, 관심대상종(LC)에 낙지다리, 솜양지꽃, 창포, 미평가종(NE)으로 멱쇠채가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5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7분류군 등 1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 9.5%, 도시화지수 10.6%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산림토양은 표층~2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양토, 20cm~40cm에서 양토와 미사질점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내 중금속은 Ni과 C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 연구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 오현경;신현탁;변무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7-127
    • /
    • 2008
  • 본 연구는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후 희귀 및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귀화식물 등을 분류함으로써, 생태수목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 부지의 관속식물상은 84과 217속 319종 43변종 7품종으로 총 36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구상나무(보존우선순위; 73번)와 산작약(97번)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식재), 지리대사초, 떡버들,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털조록싸리, 네잎갈퀴나물, 노각나무, 큰고추나물, 오동(식재), 병꽃나무, 벌개미취(식재) 등 12과 14속 11종 3변종 1교잡종으로 총 15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산작약, IV등급에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III등급에 구상나무(식재), 중나리,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당느릅나무, 참조팝나무, 개벚지나무, 꽝꽝나무(식재), 노각나무, 개회나무, 선백미꽃, 털괴불나무, 병풍쌈 등 13종류, II등급에 처녀치마, 털괭이눈,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곽향등 5종류, I등급에 홍지네고사리, 개비자나무, 전나무(식재), 잣나무(식재), 큰천남성, 흰여로, 퉁둥굴레, 왕버들,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투구꽃, 금낭화, 애기괭이눈, 노랑물봉선, 대팻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덩굴꽃마리 등 19종류로 정리되어 총 38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큰조아재비, 큰김의털, 오리새, 호밀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봄망초, 미국가막사리, 원추천인국, 서양민들레 등 5과 13속 15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69종류의 관속식물 중 4.1%로 분석되었다.

목재부후균의(木材腐朽菌)의 기생(寄生)에 의한 한국산(韓國産) 유용목재(有用木材)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Relative Durability of Useful Woods Grown in Korea to the Parasitic Wood Destroying Fungi)

  • 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15
    • /
    • 1987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of relative durability about thirty sorts of the korean native wood and nine sorts of the wood destroying fungi Polystictus versicolor, Irpex consors. Poria vaporaria, Merulius lacrymans, Schizophyllum commune, Trametes pini, Lenzites betulina, Paxillus panuoides by means of a laboratory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are; (from the table 2 to 10) 1.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Polystictus versicolor, the sap wood contained in Junipeus chinesis was calculated at 18.2%, therefore it is much high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Pinus densiflora was measured at 44.10%, therefore it is much low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2.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Irpex consors, the heart wood contained in Butula schmidtii was calculated at 1.23%,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heart wood contained in Quercus dentata was calculated at 26.79%,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low. 3.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ass in weight with regard to Lenzites betulina, the heart wood contained in Betula schmidtii was calculated at 5.33%, therefore it is much high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and the sap wood with regard to Abies holophylla was measured at 45.48%,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low. 4.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Poria vaporaria, the sap wood contained in Fraxinus rhynchophylla was calculated at 5.57%,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Paulownia coreana was calculated at 35.6%, therefore it is much low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5.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Merulius lacrymans, the heart wood contained in Castanea crenata was measured at 0.09% and in the next place, the heart wood contained in Abies holophylla calculated at 0.15% did not decay almost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Cornus controversa was measured at 32.88%, therefore it is low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6.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Schizophyllum commune, the sap wood cantained in Junipensis chinensis was calculated at 1.09%,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Populus deltoides was calculated at 36.87%, it is much low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7.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ll weight with regard to Trametes pini, the sap wood contained in Robinia pseudo-acacia was calculated at 1.33%,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Comus controversa was calculated at 33.19%, it is much lower durability than any others. 8.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ll weight with regard to Paxillus panuoides. the heart wood contained in Zelkova serrata was calculated at 1.73%,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Populus deltoides was calculated at 42.30%, therefore durability in very low. 9. By measuring the percentage of loss in weight with regard to Dardalea quercina, the heart wood contained in Castanea crenata was calculated at 0.92%,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ap wood contained in Cornus controversa was calculated at 32.00% therefore durability is very low. The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urability between the heart wood and the soft wood find that it is nonsignificant, while durability is higher heart wood than sap wood. 2. Special sorts including in the element like Castanea cenata, Robinia pseudo-acacia, Juniperus chinensis and heart wood like Betula schmiditii and Styrax obasia are highly durable and soft wood like Cornus controversa, Populus davidiana, Salix koreensis, Celtis jessensis are lowly durable in general. 3. Among the wood destroying fungi Paxillus panuoides is highly durable and as follows. Poria vaporaria, Lenzites betulina and the Daedalea quercina is less in general and Irpex consors, Mersulius lacrymans are a middle degree.

  • PDF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uibyong(翠屛: a Sort of Trellis) in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1
    • /
    • 2013
  • 본 연구는 회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회화자료 25종에 대한 분석 결과, 취병은 주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차폐시설과 부지의 공간을 분할하는 구획시설로 기능하였으나, 내적으로는 정원에 품격과 아취를 부여하는 소품으로 설치되었다. 특히 취병 주변으로 학, 사슴등의 동물상 및 소나무, 파초, 대나무, 오동나무 등의 식물상과 괴석, 연못, 정자 등의 다양한 정원요소들이 나타났는데, 이것들은 이상적인 문인정원에 구비되어야 하는 일련의 조합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취병은 중국 고사(古事) 속 문인문화를 표상하는 관념적인 물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한 이미지는 고스란히 정원문화 속에 투영되었는데, '인물고사도 속 원림'을 모방 재현하는데 있어 취병은 중요한 경물로 사용되어 왔다. 셋째, 형태 기능 측면에서, 조선시대 회화 속에 나타난 취병들은 기본적으로 차폐 및 구획의 기능이 주요하였다. 사람 키를 웃도는 담장이나, 심지어 중국 대문 앞뒤에 설치되는 영벽의 높이까지 솟아 있기도 하여 공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취병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취병은 특정한 기능이나 입지상황 때문에 설치된 것보다는 당시 국내에 유행한 명대 문인문화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전해진 서원아집도 등에 나타난 취병의 도상은 한양을 중심으로 부유층의 저택에서 재현되었는데, 취병을 통해 부귀와 문인의 기상을 표현하려 했던 초기양식이 궁궐 및 상류층의 주택에서나 조성될 수 있는 고급 정원요소로 전화되었다. 또한 19세기 중엽 이후 취병의 활용은 평민의 주거양식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저변화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취병이 토착화된 전개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