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ulownia corean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2초

Differentiation of Phytoplasmas Infecting Zizyphus jujuba and Paulownia coreana Using PCR-RELP

  • Han, Mu-Seok;Noh, Eun-Woon;Yun, Jeong-K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189-193
    • /
    • 2001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toplasmas infecting Zizyphus jujuba and Paulownia coreana were investigated by PCR-RELP. The 16S rRNA genes of the phytoplasma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after PCR amplification. The amplified bands 1.4 kb in size were analyzed by both restriction digestion and sequencing after cloning into a plasmid vector. In some cases, two different kinds of inserts were observed in the isolates that originated from a single plant. However, many of them appeared to be the amplification products of chloroplastic 16S rRNA gene of host plants. The phytoplasma gene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chloroplastic gene by restriction digestion of the plasmids carrying the amplification products. Only the recombinant plasmids carrying phytoplasma 16S rRNA gene produced a 1.4 kb band when digested with the enzyme BanII. Of the 52 recombinant plasmids analyzed, 42 appeared to contain inserts that originated from the chloroplastic 16S rRNA gene of the host plants. No variation was detected among 16S rRNA gene of nine phytoplasma isolates infecting Z. jujuba. However, the phytoplasmas infecting Z. jujuba were different from that infecting P. coreana.

  • PDF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6-23
    • /
    • 2005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오동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H_2O$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류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apigenin, luteolin, taxifolin과 phenolic acid류 화합물인 $\rho$-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를 단리 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A Paulownia coreana Box for Storage of Annals of Joseon Dynasty: Its Efficacy and Functionality Evaluations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trol, and Microbe and Insect Repellent Activity

  • Park, Hae Jin;Jeong, Seon Hye;Lee, Hyun Ju;Lee, Na Ra;Chung, Yong Ja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5-263
    • /
    • 2020
  • Paulownia coreana has various advantages as a convenient workability, aesthetic outlook, beautiful patterns, low weight and high strength, and its permeability. P. coreana has been widely used for storage but there are no empirical researches proving its functionality in a field of conservation science until now. In this study, the seasonal and daily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trol, and microbe and insect repellent activity were evaluated under the controlled and uncontrolled circumstances from 2015 to 2016. The results showed to be mainly excellent in relative humidity control and the buffering effect was good to adjust the average daily relative humidity range from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 coreana, we observed that its water-soluble extract produced visible zones of inhibition against five bacteria.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antimicrobial and/or insecticidal properties.

열처리(熱處理) 목재(木材)의 동적점탄성(動的粘彈性) (Dynamic Viscoelasticity of Heat Treated Wood)

  • 홍병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13-20
    • /
    • 1986
  •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of the woods of Picea sitchensis and Paulownia coreana which have been for musical instruments was investigated. The treatment was made in a temperature range of 60-180$^{\circ}C$ for periods of 3 hours to 24 hour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Moisture absorp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Dynamic Young's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hours. Dynamic viscoelastic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but internal fri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moisture content.

  • PDF

Aldose Reductase Inhibition Effect of PhenolicvCompounds Isolated from Paulownia coreana Bark

  • Kim, Jin-Kyu;Lee, Yeon-Sil;Lim, Soon-Su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2010
  • Nine compounds, caffeic acid, naringenin, apigenin, luteolin, kaempferol, verbascoside, isoverbascoside, isocampneoside II, and cistanoside F,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of P. coreana bark.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1-9)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and literature data. All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in vitro bioassay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rat lens aldose reductase. Among these, compounds 6 and 8 indicated the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with $IC_{50}$ values of 2.67 and 5.59 ${\mu}M$, respectively. Especially, The inhibition activity of acteoside was 3.9 times better than that of quercetin as a positive control (10.6 ${\mu}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henylethanoid glycosides are likely to be the potential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오동나무 가지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wigs of Paulownia coreana)

  • 김태웅;민경미;유세종;이명진;정해민;조원정;김명조;전완주;권용수
    • 생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9-104
    • /
    • 2015
  • Three triterpenoids, one sterol glycoside and a phenylpropanoid glycoside were isolated from the n-BuOH soulble fraction of Paulownia coreana twigs.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 structure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pomolic acid (1), euscaphic acid (2), arjunic acid (3), daucosterol (4), and syringin (5), respectively. All compounds a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오동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aulownia coreana extractives)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3-17
    • /
    • 2006
  • 오동나무잎, 열매, 내수피, 외수피 그리고 목질부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각 시료 약 5.0 kg을 아세톤-물(7:3. v/v)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오동나무 각 부위별 추출물 수율은 내수피(11.35%)가 가장 높았고 잎(7.87%), 열매(6.94%), 외수피(4.24%)의 순 이었으며 목질부가 4.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오동나무 각 부위별 조추출물, 고형분과 분획물을 가지고 D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기초적인 항산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준물질로는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합성항산화제인 BHT를 사용하여 항산화효능을 비교하였다. 그 중에서는 모든 EtOAc용성 분획이 기준물질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오동나무 열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9-85
    • /
    • 2006
  • 오동나무 열매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5.0 kg을 아세톤-물 (7:3, v/v)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 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phenolic acid 화합물인 caffeic acid와 flavonoid 화합물인 naringenin, kaempferol, apigenin, luteolin 및 quercetin이 단리 되었으며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각 분획물과 단리 된 화합물들 그리고 조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분획물중에는 에틸아세테이트용성이 그리고 화합물중에는 caffeic acid, kaempferol luteolin 및 quercetin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및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과 생태적 특성 (Distribution Patterns and Ecological Characters of Paulownia coreana and P. tomentosa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MaxEnt Model)

  • 이창우;이철호;최병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7-97
    • /
    • 2017
  • 오동나무는 한국 전통 문화에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종의 가치에 대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두 종의 분포 경향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MaxEnt 모형은 현장 조사로 수집된 오동나무 종의 위치 정보와 지형, 기후, 잠재인간간섭도와 같은 환경 인자로 구축되었다. 연구결과 AUC 값은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가 각각 0.809으로 모형의 정확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포모형에 따른 연구지역 내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은 두 종 모두 시가지, 나지가 밀집해 있는 도심위주의 분포를 나타냈다. 두 종의 잠재분포가능면적은 오동나무 $137.4km^2$, 참오동나무 $135.0km^2$로 확인되었으며, 중구, 동래구, 부산진구, 연제구 등에서 높은 확률로 분포하였다. 환경요인의 기여도 분석 결과,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에 잠재인간간섭도가 약 50% 내외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잠재인간간섭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해발고도는 두 종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해발고도가 증가할수록 자연서식처에서 자생종과의 경쟁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가 인위적 활동에 의존되어 있음을 수리적으로 나타내는 결과이며, 한국 전통경관과의 관련성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오동나무의 활용 및 보존, 복원에 있어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산재의 응용물성연구III: 백합나무, 거제수나무, 오동나무의 수분흡착성 및 열적·전기적·음향적 성질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Domestic Species III: Sorption, Thermal, Electric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Liriodendron tulipifera, Betula costata, Paulownia coreana)

  • 이원희;박병수;정성호;강호양;황권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1-12
    • /
    • 2008
  • 주요 국산재의 여러 가지 응용물성을 지난 3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전보(강 외 4인 2008, 변 외 5인 2008)에 이어 본보에서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주요 수종인 백합나무, 거제수나무, 오동나무를 재료로 사용하였다. 매년 동일한 장치와 실험조건으로 실험하였기 때문에 모든 수종에 대한 결과를 상호 비교 할 수 있었다. 수분흡착성 실험은 80메시 목분을 이용하였으며, 넓은 범위의 상대습도조건에 따른 평형 함수율과 흡착등온선을 구하였다. 열전도율과 열확산률은 열선열전도장치를, 전기의 부피저항률과 저 항은 고전기저항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목재와 판목재의 열적 전기적 특성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해부학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음향적 성질은 음향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적탄성률, 내부마찰을 측정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들은 목재구조물 설계, 휴대용 목재수분계 보정, 음향적 성질 등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