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ients' radiation dose

검색결과 1,495건 처리시간 0.033초

위암의 수술중 방사선 치료 (IORT in Gastric Cancer)

  • 김명세;강철훈;김성규;송선교;권굉보;김흥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87-91
    • /
    • 1991
  • 영남대학병원에서는 1988년 6월 15일부터 1990년 9월 15일까지 절제가능한 국소 진행된 위암 환자중 원격 전이를 추인할 수 없었던 환자 총 28명을 prospective randomized protocol에 의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28명중, 개복후 절제가 불가능했던 환자 3명과 stage la로 판명된 환자 1명을 제외 한 24명에서 외과적 근치절제수술후 1500cGy를 giu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1회에 조사하였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수술후 4주 이내에 시작하여 하루 180 cGy 주 5회 치료법으로 $4300\sim4500$ cGy를 조사하였다. 항암요법은 protoco떼 의하여 5-FU, Mitomycin-C, Adriamycin, Uraful을 여러 가지 조합으로 투여하였다. 3개월에서 31개월 간의 추적기간 중에 방사선 조사와 관계되는 심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짧은 추적 기간이므로 생존율을 산출할 수 없겠으나 수술중 방사선치료, 외부방사선 치료와 여러가지 항암제를 병합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심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현재까지 국소재발이 한 예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음으로 수술중 방사선 치료의 국소 재발의 억제 및 방지의 효과가 확실시되며 계속되는 추적 검사에서도 좋은 생존율이 기대된다.

  • PDF

자궁경부암의 외부방사선 치료 성적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Treated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Alone)

  • 김미숙;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63-367
    • /
    • 1993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중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치료한 환자에서 생존율, 합병증,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79년 3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총 6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 중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는 45 Gy내지 50 Gy의 전골반 조사후 3 내지 2 조사야를 사용한 축소야로 12 Gy에서 22 Gy의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외부방사선조사만 시행한 이유는 심한 종양괴사로 인한 경우 25예, vaginal vault가 좁은 경우 5예, 외부방사선 치료 중 자궁강의 파열 1예등 강내조사용기구삽입이 불가능한 경우(poor geometry) 31명, 내과적 문제 5명, 고령 2명, 환자의 거부 2명, 장관 유착과 골반질환이 각각 1명이었다. FIGO병기 IB, IIA, IIB, IIIA, IIIB, IVA의 환자수는 각각 1명, 3명, 12명, 1명, 20명, 5명이었다. 병기 IIA, IIB, IIIB, IVA에 따른 5년 국소치유율은 각각 $66.7\%,\;38.9\%,\;27.0\%,\;20.0\%$이었고 5년 생존률은 각각 $66.7\%,\;36.4\%,\;32.8\%,\;25.0\%$으며 1명씩의 IB와 IIIA의 환자는 무병생존했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후 치료반응 판정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은 의미있게 높았으나 $(45.3\%\;vs\;17.8\%\;p=0.04)$ 5년 생존률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43.5\%\;vs\;23.1\%\;p=0.17)$. 방사선 치료후 1개월에서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보인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보다 5년 국소치유율 $(53.8\%\;vs\;0\%\;p=0.0002)$과 5년 생존률$(51.3\%\;vs\;1.0\% \;p=0.001)$이 의미있게 높았다. Grade 2와 Grade 3의 합병증은 각각 $12\%$$10\%$였다. 진행된 경우일수록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외부조사와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나 강내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군에 대해서는 적극적 수술방법의 도입을 고려해야하겠다.

  • PDF

Breast lymphoscintigraphy 검사 시 체표윤곽을 나타내는 방법의 비교 (The comparison of lesion localization methods in breast lymphoscintigraphy)

  • 연준호;홍건철;김수영;최성욱
    • 핵의학기술
    • /
    • 제19권2호
    • /
    • pp.74-80
    • /
    • 2015
  • 유방 림프절 검사는 유방암이 있는 환자들에게 외과적 수술 전 후에 검사가 시행되고, 악성 종양의 림프절 전이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검사방법으로 검사 시 체표윤곽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대부분 병원에서 $^{99m}Tc$ 점선원 또는 $^{57}Co$ 면선원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방법 외에 $10m{\ell}$ 주사기를 이용하는 방법, 산란선 광자에너지를 이용한 방법, SPECT/CT에서 scout촬영을 이용한 방법을 추가하여 영상에서 위치 정보를 유용하게 제공하는 방법과 피폭선량을 비교 및 평가하고자 한다. Rando phantom과 SYMBIA T16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Phantom의 우측 13번째에 0.11 MBq의 점선원을 삽입하여 종양을 만들었고, 우측 유방 위치에 37 MBq의 점선원으로 주사 부위를 만들었다. 첫 번째 방법은 $^{99m}Tc$ 점선원으로 Phantom의 체표윤곽을 30초 동안 그려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이며, 두 번째는 $^{57}Co$ 면선원을 환자의 후면부와 좌측면에 위치하여 30초 동안 체표윤곽을 얻는 방법이며, 세 번째는 $^{99m}TcO_4$ 37 MBq와 생리식염수로 채운 $10m{\ell}$ 주사기를 이용한 방법이다. 그리고 네 번째는 선원 없이 $^{99m}Tc$의 에너지와 scatter의 광자 에너지를 이용한 방법이며, 마지막은 SPECT/CT의 scout영상과 유방 영상을 전선화 코드를 이용하여 융합하는 방법이다. 이때 전면 영상과 우측 영상을 각각 3분씩 얻었으며 검사 시 개인피폭 선량계(ECOTEST, DKG-21)를 사용하여 피폭선량을 계측하였다. 각각의 영상을 종양 대 배후 방사능 비(TBR)와 피폭선량을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다섯 가지 방법의 영상을 방사선사와 핵의학 전공의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첫 번째 방법에서의 종양 대 배후 방사능 비의 값은 전면 영상은 334.9, 우측 영상은 117.2이며 피폭선량은 $2{\mu}\;Sy$가 계측되었고, 두 번째 방법에서는 각각 266.1, 124.4, $2{\mu}\;Sy$로 평가되었고, 세 번째 방법에서는 117.4, 99.6, $2{\mu}\;Sy$로 평가되었으며 네 번째 방법에서는 3.2, 7.6이며 $0{\mu}\;Sy$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방법에서의 565.6, 141.8, $30{\mu}\;Sy$로 평가되었다. TBR값은 마지막 방법이 가장 높았고 네 번째 방법이 가장 낮았다. 또한 피폭선량은 마지막 방법이 가장 높았으며 네 번째 방법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설문 조사 결과는 마지막 방법이 가장 좋은 점수가 나왔고 네 번째 방법이 가장 낮은 점수가 나왔다. 유방 림프절 검사는 유방암이 있는 환자들에게 검사 시 종양의 위치를 정확하게 영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 결과 SPECT/CT의 scout 촬영을 이용한 검사 방법은 종양 대 배후 방사능 비의 값이 가장 좋고 설문 조사 결과에서도 가장 좋은 점수를 얻어 영상에서 환자의 위치 정보를 유용하게 제공해주는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피폭 선량은 SPECT/CT의 scout 촬영 시 다른 검사방법보다 많이 나왔으나 일반인의 연간 피폭선량한도인 1 mSy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피폭량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Scout촬영 시 80 kV이하로 검사가 가능하다면 피폭선량도 줄이고 환자의 위치 정보를 유용하게 영상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ognostic Value of SPARC Expression in Unresectable NSCLC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Kurtul, Neslihan;Eroglu, Celalettin;Unal, Dilek;Tasdemir, Erdem Arzu;Orhan, Okan;Zararsiz, Gokmen;Baran, Munevver;Kaplan, Bunyamin;Kontas, Olg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911-8916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ve/prognostic value of the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SPARC) in cases of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84 patients with Stage IIIA-B non-small cell lung cancer, undergoing simultaneous chemoradiotherapy including radiotherapy at a dose of 66 Gy and weekly docataxel ($20mg/m^2$) and cisplatin ($20mg/m^2$). SPARC expression was studied in biopsy material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rrelations with treatment responses or survival were evaluated. Results: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6{\pm}2.73$ (11.55-20.46)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7{\pm}1.79$ months (7.92-16.08)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39), while median local control was $13{\pm}2.31$ (8.48-17.5)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6{\pm}0.85$ (4.34-7.66)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45) and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10{\pm}2.31$ (5.48-14.5) months for low expression vs $6{\pm}1.10$ (3.85-8.15) months for high expression (p=0.022). In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high SPARC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shorter overall survival (p=0.003, p=0.007, respectively), local control (p=0.008, p=0.036)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0.004, p=0.029) when compared to low SPARC expres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high and low SPARC expression groups regarding age, sex, T stage, N stage, histopathology and stage-related patient characteristics. Conclusions: High SPARC expression was identified as a poor prognostic factor in cases with locally advanced NSCLC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 (Measurement of Respiratory Motion Signals for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 정진범;정원균;김연래;이정우;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
    • /
    • pp.59-63
    • /
    • 2005
  • 호흡 움직임은 종양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부정확한 방사선조사가 유도되도록 복부 및 흉부에서 움직임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치료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정상조직에는 저 선량을 조사되도록 CTV의 마진을 줄일 수 있고 방사선치료에 발생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Intrafraction motion을 고려하는 기술로는 호흡 멈춤, 호흡동조, 4차원 또는 종양추적 기술이 있다. 호흡동조 방법은 환자의 호흡 신호가 호흡주기의 일정한 범위에 위치할 때 주기적으로 빔을 조사하고 그 범위를 벗어날 때는 빔을 조사하지 않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은 내부장기 움직임과 상관관계가 있는 호흡 움직임 신호의 획득이 요구된다.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예비연구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수행하였다. 환자의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위해서, 호흡측정시스템을 3 가지 센서, 4 채널 데이터 획득 시스템, 신호처리용 컴퓨터로 구성하였다.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측정시스템을 가지고 호흡주기 및 파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호흡주기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일반적으로 정확한 대칭 형태는 아니지만 주기적인 형태로 측정되었다. 호흡측정 시스템은 기대했던 만큼 환자의 호흡을 잘 추적하였으며 실험에 적용하기 위해 쉽게 컨트롤 할 수 있었다.

  • PDF

소아백혈병의 전신방사선조사시 선량평가 (Dose Evaluation of Childhood Leukemia in Total Body Irradiation)

  • 이동연;고성진;강세식;김창수;김동현;김정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59-264
    • /
    • 2013
  • 전신방사선조사는 소아백혈병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조혈모세포이식의 전처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여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보상체의 조건에 따라 인체 내부 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평가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모의피폭체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에너지와 선원과 환자와의 거리(source surface distance, SSD),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인체 장기의 선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선량은 에너지 4 MV, SSD 280 cm,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 30 cm일 때 5.84 G/min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보상체와 환자와의 거리가 30 cm 이하였을 때 TBI에서 가장 이상적인 선량분포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Importance of Postoperative Stimulated Thyroglobulin Level at the Time of 131I Ablation Therapy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Hasbek, Zekiye;Turgut, Bulent;Kilicli, Fatih;Altuntas, Emine Elif;Yucel, Birs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23-2527
    • /
    • 2014
  • Background: Serum thyroglobulin detection plays an essential role during the follow-up of thyroid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total/near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ated serum thyroglobulin (Tg) level at the time of high dose $^{131}I$ ablation and risk of recurrence, using a three-level classifica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TC) according to the ATA guidelines. Also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operative stimulated Tg at the time of ablation and DxWBS results at 8-10 months thereafte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radioiodine accumulation were regarded as scan positive (scan+). If there was no relevant pathological radioiodine accumulation or minimal local accumulation in the thyroid bed region, this were regarded as scan negative (scan-) at the time of DxWBS. We classified patients in 3 groups as low, intermediate and high risk group for assessment of risk of recurrence according to the revised ATA guidelines. Also, we divided patients into 3 groups based on the stimulated serum Tg levels at the time of $^{131}I$ ablation therapy. Groups 1-3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Tg levels of ${\leq}2ng/ml$, 2-10 ng/ml, and ${\geq}10ng/ml$, respectively. Results: A total of 221 consecutiv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high risk group according to the ATA guideline, while 45.5% of demonstrated Scan(+) Tg(+), 27.3% of patients demonstrated Scan(-) Tg(-); in the intermediate group, the figures were 2.3% and 90.0% while in the low risk group, they were 0.6% and 96.4%. In 9 of 11 patients with metastases (81.8%), stimulated serum Tg level at the time of radioiodine ablation therapy was over 10, however in 1 patient (9.1%) it was <2ng/mL and in one patient it was 2-10ng/mL (p=0.005). Aggressive subtypes of DTC were found in 8 of 221 patients and serum Tg levels were ${\leq}2ng/ml$ in 4 of these 8.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TSH-stimulated serum thyroglobulin level at the time of ablation may not determine risk of recurrence. Therefore, DxWBS should be performed at 8-12 months after ablation therapy.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의 치료전략 (Treatment Strategies for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 김일만;이창영;손은익;김동원;임만빈;김상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334-341
    • /
    • 2001
  • Objective : We have currently changed treatment strategies to methotrexate(MTX)-based preirradiation chemotherapy with subsequent planned radiation for the initial therapy of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PCNS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treating PCNSL with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CRT) or radiotherapy(RT) alone. Method and Material : This study involved 10 females and 3 males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4.2 years. All patients underwent surgery, open(8 cases) or stereotactic biopsy(5 cases) for histological diagnosis. Eleven tumors wer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s. Tumor volume change in the follow-up images and survival time were evaluated in patients treated with CRT and RT alone. In the beginning, two patients received ProMACE-Cytabom chemotherapeutic regimen, but did not complete the course and died of progressive tumor 8 and 9 months after diagnosis, respectively. One patient died at 6 months before chemotherapy. These three were excluded from the survival analysis. Five patients(RT group) completed full courses of cranial irradiation with or without boost. For the current combined modality treatment, high-dose MTXbased chemotherapy(systemic and intrathecal MTX, IV vincristine, and oral procarbazine) followed by whole brain irrdiation to 45Gy to tumor was introduced in 5 patients of CRT group. Result : A complete response was achieved in three of five who received RT only and in all of five who received CRT. All patients in CRT groups are in disease free status at a mean 23 months following therapy. The RT group patients refused any additional salvage therapy at tumor relapse and survived at mean 20 months from diagnosis.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improved in eight of ten patients with treatment. The treatment toxicity included leukoencephalopathy in RT group and severe leukopenia, transient hepatitis,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hearing loss, and amenorrhea in CRT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combined modality therapy of MTX-based chemotherapy plus radiotherapy for PCNSL may enhance tumor response and improve patient survival. The patients who received CRT should be carefully followed up because of the higher risk of treatment-induced late neurotoxicity.

  • PDF

두경부 환자의 VMAT 시 체형변화와 환자 정렬과의 상관관계 고찰 (Evaluate the Change of Body Shape and the Patient Alignment State During Image-Guide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 서세정;김태우;최민호;손종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7
    • /
    • 2017
  • 목 적: 두경부 환자가 입체적 세기변조 회전 방사선치료 시 변화하는 체형과 환자 정열 상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치료 시 발생하는 선량분포의 변화와 적절한 재 CT 모의치료의 필요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두경부암 89명에 대해 입체적 세기변조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치료 기간 동안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중 10명의 환자에 대하여 체형변화를 평가하였다. ARIA software(Offline review)를 이용하여 ramus, chin, posterior neck, clavicle 등의 landmark를 지정한 후 skin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남성 60명을 대상으로 치료시행 $17{\pm}4$회에서 re-CT 모의치료를 시행한 결과 체중 감소율이 $-6.47{\pm}3.5%$로 나타났으며, 여성 29명은 경우는 $17{\pm}5$회에서 체중 감소율이 $-5.73{\pm}2.7%$로 나타났다. 피부위축(Skin shrinkage)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표 landmark에서의 표준편차는 C1(${\pm}0.44cm$), C3(${\pm}0.83cm$), C5(${\pm}1.35cm$)로서 0.5 kg 감소 당 약 1 mm shrinkage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 횟수에 따른 피부위축은 1~4 fx (변화 없음), 5~13 fx (-2 mm), 14~22 fx(-4 mm), 23~30 fx(-6 mm)로 나타났다. 결 론: 체형이 약 5 mm 변화하게 되면 중심부 선량은 약 3 % 이상 차이나기 시작하게 되므로 적응증치료에 필요한 CT 모의치료를 추가로 진행하여야만 한다. 또한 적극적으로 lower neck의 CT 모의치료 방법 및 set up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고 새로운 고정용구(Immobilization device)의 사용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간암환자의 토모치료시 Body-fix 사용유무에 따른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efulness of Applying Body-fix to Liver Cancer Patient in Tomotherapy)

  • 오병천;최태규;김기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10
  • 목 적: 방사선 치료에서 매번 치료를 시행할 때마다 호흡에 의한 해부학적인 내부 장기의 움직임과 환자자세의 변화에 따라 치료부위 오차가 발생한다. 이런 치료부위 오차의 발생은 치료부위와 정상 조직 간의 선량분포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이 된다. 간암 환자 치료 시 Body-fix의 사용 유무 차이에 따른 임상치료에서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9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Hi-Art Tomotherapy를 시행 받은 55~60세 사이의 남자환자 중에서 간의 Couinaud 분류 중 V~VI 구역에서 간세포성 암(Hepatocellular carcinoma)이 발생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Body-fix 사용 유무에 따라 2 그룹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Body-Fix를 사용 시 진공펌프(Vacuum pump, Medical intelligence, Germany)를 이용하여 80 mbar의 압력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하였다. 환자는 정상호흡(free breathing)을 유지한 상태에서 바로누운자세(supine position)로 치료 시작부터 5회 치료 시 획득한 MV-CT (Megavoltage computed tomograpy, MVCT)와 KV-CT(Kilovoltage computed tomograpy, KVCT)을 융합하여 일치시키는 작업 후 X축의 좌우방향(Right to Left, RL), Y축의 상하방향(Craniocaudal, CC), Z축의 전후방향(Anterioposterior, AP)에서의 발생하는 방사선 치료 준비오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영상융합을 통한 평균 방사선 치료 준비오차는 A 그룹에서 $0.3{\pm}1.1\;mm$ (상하), $-1.1{\pm}0.7\;mm$ (좌우), $-0.2{\pm}0.7\;mm$ (전후)이었다. B 그룹에서는 $0.62{\pm}1.94\;mm$ (상하), $-3.62{\pm}1.5\;mm$ (좌우), $-0.22{\pm}1.2\;mm$ (전후)로 이동하였다. 두 그룹간의 Body-fix의 사용유무에 따른 X축, Y축, Z축 방향의 편차는 최대 X축(좌우) 5.5 mm, Y축(상하) 19.8 mm, Z축(전후) 3.2 mm로 측정되었다. 또한 오차방향의 분석과 관련하여 모든 환자에 일관성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Body-Fix를 사용 시 매일 환자자세 변화와 호흡변화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치료 준비오차에 대한 위치 변화가 안정적인 양상의 결과를 보여준다. 결 론: 간암 환자 치료 시 Body-Fix의 사용은 방사선 치료 준비오차가 환자자세와 호흡변화에도 불구하고 각 그룹간의 편차가 발생하는 가운데에 안정적이며 규칙적이므로 Tomotherapy와 같은 고 정밀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