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icity assay in laboratory and greenhous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콩균핵마름병균에 대한 병원성 검정법 확립 (Establishment of Pathogenicity Test Method for Macrophomina phaseolina Causing Soybean Charcoal Rot)

  • 안소현;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23
  • 콩 균핵마름병을 일으키는 Macrophomina phaseolina의 병원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실과 온실 검정법을 확립하였다. 실험실 검정에서는 소립균핵과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소립균핵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실험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8과 HSM17-034의 발병도는 25℃보다 35℃에서 더 높았다. NSW17-108과 HSM17-034 중에서 참깨에서 분리된 HSM17-034의 발병도가 콩에서 분리된 NSW17-108보다 높았다. M. phaseolina의 균사를 접종원으로 사용한 경우, NSW17-108과 HSM17-034는 3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만에 80%를 상회하였다. HSM17-034는 25℃에서의 발병도가 접종 5일 후에 80%를 상회하였다. 온실의 병원성 검정에는 소립균핵이 형성된 이쑤시개 또는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수확한 소립균핵 자체를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온실 검정에서 M. phaseolina NSW17-10과 HSM17-034는 접종 방법에 따라 병원균을 접종하고 35-65일 후에 40-60%의 발병도를 보였다. 두 균주 중에서 HSM17-034의 병원성이 NSW17-108보다 강했으며, 이 결과는 실험실 검정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실험실 및 온실 검정법은 각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시험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이 균핵병에 대한 몇 가지 살균제의 방제 효과와 살균제에 대한 균핵병균의 감수성 정도 조사 (The control effect of some fungicides against cucumber sclerotinia rot and the sensitivity of sclerotinia isolates to fungicides)

  • 김명옥;민지영;최우봉;강범관;박성우;최경자;박창식;조광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9-436
    • /
    • 2005
  • 오이에 균핵병을 일으키는 Sclerotinia sclerotiorum은 $25^{\circ}C$에서 균사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병원성 실험을 위해 오이 열매를 이용한 실내 검정 실험의 경우 동일한 온도에서 병원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한 모든 Sclerotinia sclerotiorum 균주는 오이 절편 접종법과 상처 접종법을 사용한 실내 검정에서 모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지만, 오이 절편 접종법의 경우는 상처 접종법과는 다르게, 균주와 환경, 처리한 살균제 간에 차이를 볼 수 없을 정도로 병원성이 강하여 실내 검정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오이 절편접종법과 상처접종법을 사용하여 dichlofluanid와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의 병 발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오이 절편접종법에서는 500과 $3.0{\mu}g/mL$의 처리구에서 14.3과 42.8%의 낮은 효과를 보였지만, 상처 접종법에서는 동일한 농도에서 100와 92.5%의 우수한 발병 억제 효과를 보였다. 두 살균제는 포장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는데, $100{\mu}g/mL$의 혼합제와 $825{\mu}g/mL$의 dichlofluanid는 병 발생 억제 효과가 각각 91.1과 82.9%이었다. 충남 연기 지역의 오이 시설 재배지에서 분리한 37개의 S. sclerotioum 균주는 7가지의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균주들의 평균 EC50값을 구하였는데, fenhexamid는 $0.13{\mu}g/mL$, 병원균의 세포막에서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rocymidon과 iprodione은 0.18과 $0.24{\mu}g/mL$, Tubulin 단백질의 중합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carbendazim과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는 0.13과 $0.05{\mu}g/mL$, 보호용 살균제로 알려진 iminoctadine과 dichlofluanid는 평균 $EC_{50}$ 값이 1.94와 $8.95{\mu}g/mL$이었다. 특별히 dichlofluanid의 경우는 $EC_{50}$값의 범위가 0.001에서 $21.54{\mu}g/mL$ 사이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였지만, 포장에서의 사용 농도가 $1,650{\mu}g/mL$인 것을 감안한다면 저항성균의 출현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충북의 연기 지역에서는 7가지 살균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균핵병균은 발견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