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management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47초

특허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atent Citations)

  • 유재복;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3-118
    • /
    • 2010
  • 최근 특허기술의 가치평가가 크게 강조되고 있으며, 그 평가의 수단으로 특허의 피인용횟수가 매우 유용한 척도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이에 영향을 미칠만한 형태적 기술적 개념적 요인의 17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미국특허를 대상으로 5개 주제분야에 걸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 즉 5% 이상의 설명력을 갖는 변수는 페이지 수, 청구항 수, 참고문헌 평균 피인용횟수, 기술분야 특허증감율, 서지결합도, 동시인용도 및 문헌간유사도 등 7개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7개 변수 모두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주제분야 간에 있어서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학습 기반의 차원축소 모델을 이용한 특허 빅데이터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patent big data using supervised learning with dimension reduction model)

  • 이주현;이준석;강지호;박상성;장동식;홍성욱;김선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1-49
    • /
    • 2019
  • Patents are system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by disclosing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recent patent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reason, companies apply for many patents. And they analyze the patent. Patent analysis helps to protect and foster their technology. Previously this method has been carried out by experts. Expert-based patent analysis, however,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time-consuming and expensive. Consequently, we try to solve this problems by developing prediction mode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data-based patent analysis method using quantitative indicator and textual information. We confirm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1,831 autonomous vehicle pate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ed that safety and lane detection related technologies are important.

인용정보를 이용한 신 특허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w Patent Index Used the Citation Information)

  • 남영준;정의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1-2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특허 인용색인의 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특허지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 및 특허정보 관련 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인용색인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JCR의 영향력 지수와 CHI의 기술영향력 지수가 갖고 있는 정보적 가치와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전자는 상대적 인용빈도를 사용하여, 연속간행물과 같은 매체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특허고유의 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에, 자체정보만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해 후자의 경우 해당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의 기술영향력 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 가치를 재부여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용정보에 기반하여 다음 특정 특허의 피인용지수를 비롯하여 상대적 반감기 평가지수, 특허기술활용 통합지수 등 세가지의 새로운 지수를 제안하였다. 단 비교분석대상은 출원특허사항에 인용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미국 특허정보로 제한하여 국내 특허정보에 대한 비교 분석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특허경영활동이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의료기기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Outcome : The Case of Korean Product Manufacturing Firms)

  • 김용현;정병기;윤장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6
  •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play a key role for technology-based firms under the recent knowledge-based economies. This is because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patents, can act as a system for continuous profit generation by protecting firms' products, processes and services. In Korea, healthcare industry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promising next generation industries. Despite the promise of healthcare industry,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ers are faced with turbulent business changes, such as market opening.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industrial studies on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outcome, previous studies have hardly paid attention to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ing firm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patenting activeness, technical excellence and cooperation degree, on firm outcomes, including financial profitability and firm growth, with respect to the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ers. In this study, we located 86 Korean healthcare manufacturing firms from KORCHAMBIZ and DART, and then collected the data of their patenting activities and outcomes between 2001 and 2013. By applying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ur empirical study found that firms' patenting activeness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firms' financial profitability, and firms' patenting activeness and technical excellence have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firms' financial growth. Our study is an initial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outcome within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us its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to formulate national policies for Korean healthcare product industry.

기술이전 데이터를 활용한 TF-IDF기반 특허추천 알고리즘 연구 (A Research on TF-IDF-based Patent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Technology Transfer Data)

  • 김준기;배준수;송영헌;정병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78-88
    • /
    • 2023
  • The increasing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s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has led to a growing demand for patent recommendation platforms for SMEs. This is because selecting the right technology for commercialization is a critical factor in business success. This study developed a patent recommendation system that uses technology transfer data from the past 10 years to recommend patents that are suitable for SMEs. The system was developed in three stages. First, an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was developed to recommend patents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patents that SMEs have previously transferred. Next, a content-base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F-IDF was developed to analyze patent names and recommend patents with high similarity. Finally, a hybrid system was developed that combines the strengths of both recommendation syste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hybrid system was able to recommend patents that were both similar and relevant to the SMEs' interests. This suggests that the system can be a valuable tool for SMEs that are looking to acquire new technologies.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지적재산권 공동 관리방안 : Patent Pool과 Patent Platform 비교분석 (IPRs Management in the Koran IT Industry: The Case of Patent Pool & Patent Platform)

  • 이응석
    • 기술혁신연구
    • /
    • 제12권1호
    • /
    • pp.219-240
    • /
    • 2004
  • As Shapiro and Varian argue the open approach generates bandwagon effects and facilitates the diffusion of a standard thanks to network externalities. However, the open approach is not linked automatically to economic benefits as suggested by some famous cases as the IBM PC history. On the contrary, the closed approach enables a tight control over a technology and its development, and insures the appropriation of economic benefits. As Shapiro and Varian suggest, a firm can also decide to mix an open approach with tight control over improvement or extentions. Patent pool is to offer fair, reasonable, nondiscriminatory access under a single license to patents that are essential for the use of standards-based or other platform technologies. patent pool offers only one license to everyone, Since each patent is essential, the royalty rate and thus the value is the same whether a licensee uses one or more patents.

  • PDF

특허 인용 관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소셜네트워크분석 관점 (The Effect of Patent Citation Relationship on Business Performance : A Social Network Analysis Perspective)

  • 박준형;곽기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9
    • /
    • 2013
  • 최근 지식기반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지식재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이테크산업을 이끌고 있는 ICT기업들은 지식재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기업의 지적 자본을 대표하는 특허정보가 지속적으로 축적됨에 따라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해졌다. 특허정보를 통하여 특허수준부터 기업수준, 산업수준, 국가 수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서의 분석이 가능하다. 특허정보는 기술 현황을 파악하거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특허 인용 정보를 활용한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인용 횟수를 활용하는 인용지표 분석과 인용관계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분석으로 나뉜다. 네트워크를 통한 분석은 지식 영향의 흐름을 나타내며, 이를 통하여 기술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활용한 분석 분야에서는 기업이 차지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위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에서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특허 인용을 기반으로 한 기업 간의 네트워크를 도출하고 특허 인용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기업의 위치적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S&P500에 등록된 IT 및 통신서비스 기업 가운데 74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개별 기업들의 아웃디그리 중심성, 매개 중심성, 효율성(구조적 공백)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위치적 우위를 나타내는 독립변수로서 이용하였으며, 기업성과 변수로는 순이익을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각각의 네트워크 지표는 기업성과인 순이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중심성 지표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구조적 공백으로 인한 위치적 우위를 나타내는 효율성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네트워크 지표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에는 매개 중심성만이 기업성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발견점을 토의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정량적 특허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국내 엔지니어링기업의 기술경쟁력 연구 (The Study on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Domestic Engineering Enterprise based on the Quantitative Patent Analysis)

  • 권정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5-309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for domestic engineering enterprise, using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patent. In these result, the technology competitiveness(Patent Activity Index, Patent Family Size Index, Patent Impact Index, Technology strength) of our enterprise is far inferior to another country. So we should try to achieve our superiority in competitive power, we devote ourself to put through technical improvements of our domestic engineering enterprise in many ways.

특허인용 수명분석을 이용한 기술의 경제적 수명 추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echnology Economic Life Using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 성웅현;유선희
    • 지식경영연구
    • /
    • 제8권1호
    • /
    • pp.49-63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ology that allows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obsolescence and technology composite competitiveness to estimate technology economic life. In this paper the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technology representative life, and technology residual life analysis is employed to estimate residual life using the linear and inverse functions. The technology economic life will be determined by combining the estimation results of patent citation life analysis and technology residual life analysis. This paper includes an example of applying it to the US patent data for 5 communications areas. Therefore, this logical concept can be applied usefully to determine the technology economic life an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obtain credibility of technology valuation.

  • PDF

특허의 내적.외적 가치산정요인을 고려한 입체적 특허평가모델: 아레니우스 화학반응속도론 기반의 특허수명예측 (A three-dimensional patent evalua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factors for calcul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ue of a patent: Arrhenius chemical reaction kinetics-based patent lifespan prediction)

  • 최용묵;이재원;조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13-132
    • /
    • 2021
  • 특허수명은 특허가치를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수명을 예측하여 개별특허의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특허의 내적가치요소와 외적가치요소를 하나의 모델로 평가하기 위하여 화학반응속도 추정식으로 널리 알려진 아레니우스식을 사용한 새로운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소멸된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여 평가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특허평가모델로 사용되었던 SVM, Logistic reg., ANN 모델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평가모델이 다른 모델 보다 정확도가 높았으며, 특허권자의 특성을 고려한 상대체감비용지수 반영 시 여러 평가모델에서 정확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특허의 예측수명등급과 특허의 실제수명과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평가모델은 대량의 특허를 객관적으로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특허의 유지여부에 대한 의사결정 혹은 기술거래나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평가목적에 따라 특허만을 평가하거나 사업화주체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한 평가가 필요한 경우에 각각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