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big data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빅데이터 R&D 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D Direction of BigData technologies)

  • 김방룡;홍재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2-7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특허분석을 통해 빅데이터 분야의 R&D 트렌드를 살펴본 후, 향후 우리나라의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특허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야의 R&D 트렌드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는 미국의 독과점 현상으로 미국은 모든 기술분야에서 비교적 고른 출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술별 평균 점유율이 40% 이상으로 나타나 세계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R&D 트렌드의 변화로 과거에는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분야의 기술이 주를 이룬 반면, 최근에는 데이터 운영 및 관리 분야의 기술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빅데이터 분야의 특허 출원이 주로 저장기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데이터 운영 및 관리기술에 대한 출원은 상대적으로 저조해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도학습 기반의 차원축소 모델을 이용한 특허 빅데이터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patent big data using supervised learning with dimension reduction model)

  • 이주현;이준석;강지호;박상성;장동식;홍성욱;김선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1-49
    • /
    • 2019
  • Patents are system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by disclosing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recent patent is being emphasized. For this reason, companies apply for many patents. And they analyze the patent. Patent analysis helps to protect and foster their technology. Previously this method has been carried out by experts. Expert-based patent analysis, however,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time-consuming and expensive. Consequently, we try to solve this problems by developing prediction mode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data-based patent analysis method using quantitative indicator and textual information. We confirm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1,831 autonomous vehicle pate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ed that safety and lane detection related technologies are important.

Strategies of Knowledge Pricing and the Impact on Firms'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 Wu, Chuanrong;Tan, Ning;Lu, Zhi;Yang, Xiaoming;McMurtrey, Mark 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8호
    • /
    • pp.3068-3085
    • /
    • 2021
  • The economics of big data knowledge, especially cloud computing and statistical data of consumer preferences, has attracted increasing academic and industry practitioners' attention. Firms nowadays require purchasing not only external private patent knowledge from other firms, but also proprietary big data knowledge to support their new product development. Extant research investigates pricing strategies of external private patent knowledge and proprietary big data knowledge separately. Yet,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pricing strategies of these two types of knowledge is in pressing need. This research constructs an overarching pricing model of external private patent knowledge and proprietary big data knowledge through the lens of firm profitability as a knowledge transaction recipient. The proposed model can help those firms who purchase external knowledge choose the optimal knowledge structure and pricing strategies of two types of knowledge, and provid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guidance for knowledge transaction recipient firms to negotiate with knowledge providers.

특허정보의 NLP 분석을 통한 R&D 계획수립 방안 연구: 디스플레이 기술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R&D Planning Through NLP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Focusing on Display Technology)

  • 김정희;김영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817-826
    • /
    • 2022
  • Patent information describes the history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relevant field, so it can be usefully used to identify trend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 and to establish R&D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dentify the needs and problems of technology development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R&D process and to analyze core technologies through patent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technology. As a big data source, collected patent documents registered in Google Patents for foldable technology,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display industry,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NLP analyzer. By classifying the extracted keywords into needs and problems for technology development, developed technology and materials, identified the needs of the market and customers and analyzed the technologies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erformed patent analysis, this methodology is different in that i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analyze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from big data called patents even if you do not hav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text min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gitalization of the R&D process based on data analysis.

효율적인 특허정보 조사를 위한 분류 모형 (A Novel Classification Model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 김영호;박상성;장동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3-110
    • /
    • 2019
  • A patent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eveloped technology and is published to the public. Thus, patents can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technology trend research and prediction techniques. Recently, due to the advantages of patented analytical methodology, IP R&D is carried out worldwide. The patent is big data and has a huge amount, various domains, and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llecting and researching patent information. Patent research generally writes the Search formula to collect patent documents from DB. The collected patent documents contain some noise patents that are irrelevant to the purpose of analysis, so they are removed. However, eliminating noise patents is a manual task of reading and classifying technology, which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odel that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Noise patent for efficient patent information research.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Patent Embedding using Word2Vec and generates Noise seed label. In addition, noise patent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Random forest. The experimental data is published and registered with the USPTO among the patents related to Ocean Surveillance & Tracking Network technology.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he proposed model, it showed 73% accuracy with the label actually given by experts.

방사선 융합기술과 특허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Patent Trends and Radiation Convergence Technology)

  • 박장훈;옥영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785-790
    • /
    • 2019
  •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기술간 융합과 고도화가 지역주력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든 기술분야가 기술간-산업간 연결이 되어 융합된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기술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특허정보를 이용한 키워드검색을 통해 기술동향 조사 및 분석으로 쉽게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방사선 기술발전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 융합기술을 적용한 특허동향을 파악하고 방사선 관련 산업기술경쟁력 강화 및 활용방안을 위한 특허동향 및 분석을 제시하여 수요기술 발굴과 미래 유망기술 예측에 활용하고자 한다.

군집분석과 연관규칙을 활용한 고객 분류 및 장바구니 분석: 소매 유통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Customer Classification and Market Basket Analysis Using K-Means Clustering and Association Rules: Evidence from Distribution Big Data of Korean Retailing Company)

  • 리우룬칭;이영찬;무홍레이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59-76
    • /
    • 2018
  • With the arrival of the big data era, customer data and data mining analysis have gradually dominated the process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customer data along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iques (IT) have become the basis for building a successful CRM strategy. However, some companies can not discover valuable information through a large amount of customer data, which leads to the failure of making appropriate business strategy. Without suitable strategies, the companies may lose the competitive advantage or probably go bankru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RM strategies by segmenting customers into VIPs and Non-VIPs and identifying purchase patterns using the the VIPs' transaction data and data mining techniques (K-means clustering and association rules) of online shopping mall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227 customers were segmented into VIPs among 1866 customers. And according to 51,080 transactions data of VIPs, home product and women wear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food, which means that the purchase of home product or women wears mainly affect the purchase of food. Therefore, marketing managers of shopping mall should consider these shopping patterns when they build CRM strategy.

TF-IDF와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특허 데이터 분석과 경쟁우위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ent Data Analysis and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using TF-IDF and Network Analysis)

  • 윤석용;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9-535
    • /
    • 2018
  • 데이터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기업이 데이터 분석을 현황 설명(descriptive analysis)이나 진단 분석(diagnostic analysis)에만 활용하고 예측분석(predictive analysis)이나 기업의 기술전략 분석 등에는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오픈 되어 있는 특허의 IPC 코드, 발명자, 출원일 등의 정형데이터와 청구항 등의 비정형 데이터를 네트워크분석, TF-IDF 등의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경쟁기업의 확보 기술과 핵심 기술의 분포, 해외 진출 전략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고자 한다.

Patent Keyword Analysis using Gamma Regression Model and Visualization

  • Jun, Sungh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43-149
    • /
    • 2022
  • 특허문서는 연구 개발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기술분석을 위한 다양한 특허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통계학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의한 정량적인 특허분석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량적 특허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특허 데이터는 기술 키워드이다. 기술 키워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존의 방법은 대부분 음의 무한대부터 양의 무한대까지 실수 공간 전체를 확률변수의 값으로 갖는 가우시안 확률분포에 기반한 모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으로 0부터 양의 무한대까지의 값을 갖는 특허 키워드의 빈도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감마 확률분포를 활용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감마 회귀모형의 회귀방정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키워드 간의 기술 연관성을 시각화하는 2-모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제안 방법과 기존의 가우시안 기반의 분석모형 간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제 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BERT를 이용한 한국어 특허상담 기계독해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for Patent Consultation Using BERT)

  • 민재옥;박진우;조유정;이봉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4호
    • /
    • pp.145-152
    • /
    • 2020
  • 기계독해는(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사용자 질의와 관련된 문서를 기계가 이해한 후 정답을 추론하는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태스크를 말하며, 이러한 기계독해는 챗봇과 같은 자동상담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BERT 언어모델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pre-training 한 후에 각 자연어처리 태스크에 대해 fine-tuning하여 학습된 모델로 추론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BERT기반 특허상담 기계독해 태스크를 위해 특허상담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그 구축 방법을 소개하며, patent 코퍼스를 pre-training한 Patent-BERT 모델과 특허상담 모델학습에 적합한 언어처리 알고리즘을 추가함으로써 특허상담 기계독해 태스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특허상담 질의에 대한 정답 결정에서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