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us variu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원격무선추적을 이용한 곤줄박이(Parus varius)의 이소(離巢) 직후 행동권 분석 (Home-range Analysis of Varied Tit(Parus varius) in the Post Fledging Period by Using Radio-tracking)

  • 김성열;김휘문;송원경;형은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2
    • /
    • 2018
  • Only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status of Paridae have been studied, in addition to the lack of research on Parus varius varius, there is no study on the home-range in the post fledging period. This study was analyzed the home-range size of Parus varius varius in the post fledging peri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ite located in Dankook Univ. Cheonan Campus(Middle Chungcheong Province). We captured five newborn Parus varius varius using artificial nest was installed before. Radio-tracking was carried out for analysis of home-range, and MCP (Minimum Convex Polygon) was used for analysis. We analyzed 1 individual tracked 15 days (VT5) and 4 individuals which missing radio-tracking transmitter within 3 days (VT1~VT4). Home-range of VT5 gradually increased to 1,38ha, 1.42ha, 2.14ha in the order of early, middle, late period. On the other hand, moving distance was decreased to 174.558m 125.129m, 120.180m. Home-range of V1~VT4 was estimated as 0.81ha which was 75.3% share of home-range of VT5 in early period. As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home-range is formed far apart from artificial nest that has been influenced by human being interference, thereafter gradually adapting to interference and spreading close to artificial nes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construct basic ecological data for protecting habitat of Parus varius varius and increasing life rate. As first radio-tracking study of Parus varius varius home-range in the post fledging perio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future study of home-range.

한국산 박새속(참새목, 박새과) 조류의 계통진화 (Systematic and Evolutionary Study on the Genus Parus(Passeriformes : Paridae) in Korea)

  • 박병상;현재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7-28
    • /
    • 1990
  • 한국산 박새속(Parus) 6종 및 아종 11개 집단 159개체를 재료로 전기영동을 실시, 이들의 계통분류 및 종분화를 조사하였다. 박새(P. major) 3아종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일반적인 조류의 유전적 변이정도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나머지 좋은 변이정도가 낮았다. 박새 3아종의 집단 간 및 아종 간 유전적 근연치는 공히 S=0.95 이상으로 높았으며 이들은 집단간 근연치와 아종 간 근연치가 유사하였다. 종간에는 박새(P. major)와 곤줄박이(P. varius varius)의 유전적 근연치가 S=0.80으로 제일 높았고 쇠박새(P. palustrius hellmayri)와 진박새(P. ater amurensis)가 S=0.67로 제일 낮았다. 4종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72로 일반적인 조류의 근연치와 유사하였다. 이들의 분화연대를 추정한 결과 쇠박새는 약 180만년 전에 박새속 조류의 공통조상에서 분화되었다고 추정되며 그후 진박새는 약 160만년전, 곤줄박이는 약 100만년 전에 각각 분화되었고 박새 3아종은 약 10만년 전후에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산 박새과 조류의 도시림 식생유형별 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 홍석환;곽정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0-766
    • /
    • 2011
  • 서울시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한 한국산 박새류 4종(박새 Parus major minor, 쇠박새 P. palustris hellmayri, 진박새 P. ater amurensis, 곤줄박이 P. varius varius)의 출현위치와 현존식생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절대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림에서의 출현개체가 가장 많았다. 면적에 따른 출현개체의 증가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생유형이 동일면적으로 분포함을 가정하였을 때는 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물오리나무림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소나무림-상수리나무림-밤나무림의 순서이었다. 도시림에서의 박새류 출현은 숲의 자생성 보다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박새속 4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n 4 species of the genus Parus (Passeriformes: Paridae) in Korea)

  • 민미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2호
    • /
    • pp.73-81
    • /
    • 1997
  • 한국산 조류 중 박새속(genus Parus)에 속하는 4종 Parus major wladiwostokensis (박새), P. ater amurensis(진박새), P. palustrius hellmayri(쇠박새) 및 P. varius varius(곤줄 박이)를 대상으로 이들의 계통적 유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mtDNA분석을 실시하였다. 6 base를 인지하는 10개의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얻어진 mtDNA의 크기는 16.6~17.0Kb였으며 Pst I과 Pvu II는 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각 종간의 절편양상을 비교하여 Parus속의 종 간 분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P. m. wladiwostokensis와 P. a. amurensis의 유전적 근연관계 가 가장 가까웠고(p=0.073, F=0.294) P. a. amurensis와 P. v. varius는 비교적 현저한 유전 적 차이를 보였다.(p=0.119, F=0.143). Brown 등 (1979)의 공식을 이용하여 박새속 4종의 분 화시기를 추정한 결과 이들은 후기 선신세(Pliocene)와 초기 홍적세(Pleistocene) 사이에 분 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산 조류의 핵형 II. C-banding 방법에 의한 박새속 4종의 핵형분석 (Karyotyppes of the Korean birds II. Karyological analysis on four species of genus Pans by C-banding method.)

  • 이성근;이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5-373
    • /
    • 1989
  • 한국산 박새속 조류 Porus maior(박새), Parus ater(진박새), Parus palustris(쇠박새), Parus varius(곤줄박이)의 핵형을 C-band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ZZ-ZW 염색체를 동정,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조적 이질염색질의 부위가 일반염색 방법에 의한 핵형 비교에서 보다 종간에 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일반염색 방법과 C-banding 방법 만으로는 4종간의 종분화 기작을 추측할 수 없었다. The chromosomal analysis of Paws motor, Paws ater, Pahs palustris and Pows varius of the genus Paws in Korea were performed by C-handing method. The identification of sex chromosones was ascertained and the part of constitutive heterochromatin was more different between interspecies than by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method. However,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and C-banding methods could not explain mechanisms of speciation between four species.

  • PDF

지리산 지역에서 곤줄박이의 고도별 알 크기와 한배산란수의 변화 (Change in Egg Size and Clutch Size of Varied Tit (Parus varius) with Elevation in Mt. Jirisan)

  • 이종구;정옥식;이우신;박종영;강상호;하기호;박창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77-82
    • /
    • 2007
  • 본 연구는 고도에 따른 곤줄박이(Parus varius)의 산란생태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지리산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고도가 다른 세 지역(약 300, 900, 1500m)에 인공새집을 설치한 후 알의 크기, 한배산란수, 첫 산란일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알의 크기는 고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한배산란수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게 나타났다. 또한 첫 산란일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배산란수의 차이는 '개체 적응 가설'에 의한 결과로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첫 산란일에 차이는 잎의 개엽 시기, 곤충의 분포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Vertical Distribution of Foraging Tits in Mixed Species Flocks in Urban Forests

  • Lee, Sang-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2호
    • /
    • pp.65-68
    • /
    • 1999
  • In December-January of 1996-1997 and 1997-1998, information was gathered about vertical distribution of foraging sites of tits in 34 flock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forest type on the distribution of foraging sites of each species. Habitat was classified into 5 height layers vertically: ground, bushes (usually<1.5 m, up to 3 m), tree layer 1 (up to 1/3 of tree height), tree layer 2 (1/3-2/3 tree height). and tree layer 3 (>2/3 tree heigh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species: great tit (Parus major) foraged mostly on the ground, coal tit (P. ater) and long-tailed tit (Acrocephalus caudatus) - on the highest tree layer, marsh tit (P. palustris) was often seen on bushes, and varied tit (P. varius) - in tree layer 2. Smaller species used upper and outer parts of trees. suggesting that, like in most other similar studies. larger dominant species prevented smaller species from using inner parts of trees.

  • PDF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Maneuver, Trees and Location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High-elevation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Mt. Jumbongsan

  • Park, Chan-Ryu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41-4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behavior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 and Carpinus cordata at 1,000 meters above sea level during breeding season of birds from 1995 to 1997 in Mt. Jumbongsan. Breeding birds were about 25 species and dominant birds were Erithacus cyane, Parus ater and Parus palustri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bush-nesters can be a characteristic of breeding bird community at study area. Three gleaners (Tits, P. varius, P. palustris and P. ater) selectively preferred the trees irrespective of dominant tree species, whereas bark foragers (Nuthatch, Sitta europaea) utilized the dominant trees. The four birds showed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location, but the three ti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maneuver and trees. Closely related tits may coexist with each other by inter-specific different use of foraging location determined by foliage structure and leaf arrangement.

한국산 조류의 핵형 1. 일반염색 방법에 의한 박새속 4종의 핵형분석 (Karyotypes of the Korean birds 1. Karyological analysis on four species of genus Pans by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method.)

  • 이성근;이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8-364
    • /
    • 1989
  • 한국산 박새속 조류 Porus major(박새), Porus atter(진박새), Porus poiustris(쇠박새), Parus varius(곤줄박이)의 핵형을 일반염색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4종의 염색체 수는 모두 2n=78∼80으로 나타났고, 성 염색체를 포함한 7쌍이 macrochromosome, 그 외 32∼33쌍이 microchromosome이었다. 종간 차이를 나타내는 염색체는 5번째 염색체와성염색체인 Z·W-염색체였다. 이러한 핵형의 차이는 5번째 염색체에서는 pericentric inversion, 성 염색체에서는 전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chromosomal analysis of Pows major, Paws after, Paws palustris and Paws vorius of the genus Paws in Korea were performed by conventional Giemsa staining method. The diploid number of four species were 2n=78-80, and there were 7 pairs of macrochromosomes and 32 or 33 pairs of microchromosomes. The 5th and Z·W-chromosomeswere distinctly different between interspecies. Probably these karyological differences were speculated by pericentric inversion in 5th chromosome and translocation in Z·W-chromosomes.

  • PDF

Maxent 모형을 활용한 인왕산-안산 서식지 분포 예측 (Prediction on Habitat Distribution in Mt. Inwang and Mt. An Using Maxent)

  • 서새별;이민지;김재주;전승훈;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432-4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심 내 단절되어 있는 서식지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생태통로를 구축하고자 하는 선행연구로 서울시의 인왕산과 안산의 생물 종 분포를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인왕산과 안산의 생물 종 분포는 출현자료만으로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Maxent(Maximum Entropy Approach)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종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출현자료는 포유류 23개 지점과 박새류(Parus major, P. palustris, P. varius) 3종 15개 지점을 활용하였다. Maxent 모형의 환경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식생인자 4가지와 거리인자 2가지를 대상으로 구축하였다. 이 변수들을 활용하여 종 분포를 예측한 결과, 포유류의 경우에는 수치표고자료(DEM)가 34%, 산림지역의 경계로부터 산림내부의 거리가 24.8%, 수종이 10% 순으로 종 분포 모형에 기여도가 높았다. 반면 박새류의 경우에는 수치표고자료가 39.6%, 도로로부터의 거리가 35.4%, 나무의 밀도가 8.2% 순으로 모형에 기여도가 높았다. 따라서 조류 및 포유류는 산림 내부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 보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