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tion coefficien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2초

유기용매와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바이오 부탄올 추출발효 용매 선정 평가 (Evaluation of Extractants for Bio-butanol Extraction Fermentation Using Organic Solvents and Ionic Liquids)

  • 조민옥;이선미;상병인;엄영순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46-452
    • /
    • 2009
  • 본 연구에선 바이오부탄올 생산을 위한 추출발효에 적용하고자 부탄올 추출에 효율적이고 미생물에 독성을 주지 않는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추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부틸 부틸레이트, oleyl alcohol, 친환경 용매인 소수성 이온성 액체 2 종류를 이용하여 분배계수를 구한 결과, 부틸 부틸레이트와 oleyl alcohol이 높은 부탄올 분배계수를 나타내었고 부탄올 농도 1-20 g/L와 pH 4-5.5 범위에서 80% 이상의 우수하고 안정적인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에 독성이 없는 oleyl alcohol를 사용한 회분식 추출발효에서는 추출을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보다 11% 향상된 부탄올 생산을 보였다 (11.2 g/L vs. 12.4 g/L). 이는 배양액 내의 부탄올이 추출되어 배양액내의 부탄올 농도가 낮게 유지됨으로써 부탄올 독성 영향이 감소되었고, 이로 인해 향상된 부탄올 생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Oleyl alcohol:부틸부티레이트 부피비를 9:1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했을 경우는 미생물 생장에는 저해 영향이 미미했으나 부탄올 생산은 추출발효를 하지 않은 회분식 배양에 비해 60%에 그쳤다. 부틸부티레이트를 20% 이상 미생물 생장에 심각한 저해를 주는 것으로 관찰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실험에 사용된 4가지 추출 용매 중에서 oleyl alcohol이 미생물에게 독성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부탄올 추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oleyl alcohol을 바이오 부탄올 연속 추출발효에 적용한다면 향상된 부탄올 생산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양에 흡착된 계면활성제가 유기오염물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rbed Surfactant on the Surfactant-Enhanced Removal of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 고석오;유희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6
    • /
    • 1999
  • 난분해성 유기물로 오염된 토양/지하수의 복원을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이용 시 토양에 흡착된 계면활성제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수성 유기물의 흡수현상을 시험하였다. 흡착된 계면활성제에 대한 유기오염물의 흡수계수($K_ss$)는 평형상태에서의 계면활성제 흡착곡선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었다. 즉, 낮은 농도의 흡착에 대한 $K_ss$는 가장 큰 값을 보였고 흡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DS에 대한 $K_ss$값은 미셀분배계수($K_mic$) 보다 컸으며 Tween 80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흡착농도에서의 $K_ss$값을 제외하고 모든 농도 범위에서 $K_{mic}$ 보다 큰 값을 보였다. 유기오염물의 분배계수 또한 계면활성제의 주입량에 따라 변하며 주입되는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일정 농도 이상의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셀과 흡착된 상태의 계면활성제 사이에서 오염물 흡수를 위한 상호경쟁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토양에의 계면활성제 흡착은 유기오염물의 지체현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여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기오염물 제거 시 저해영향을 미치므로 각 오염부지의 특성별로 유기오염물의 분포를 계면활성제 주입량의 함수로써 평가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다.

  • PDF

5-Fluorouracil과 그 유도체를 봉입한 Multilamellar Vesicle(MLV)과 Microemulsified Liposome(MEL)의 특성 및 약물방출 거동 (Characteristics and Drug Release Profiles of Multilamellar Vesicle(MLV) and Microemulsified Liposome(MEL) Entrapped 5-Fluorouracil and Its derivatives)

  • 지웅길;박목손;이계원;류연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3호
    • /
    • pp.249-264
    • /
    • 1995
  • Although liposome has many advantages as a pharmaceutical dosage form, its application in the industrial field has been limited because of some problems such as preparation method, reproducibility, scale-up, stability and sterilization etc. Liposomes prepared by microemulsification method had defined size, narrow size distribution, reproducibility and high entrapment efficiency. For enhancing the stability, the dry form of liposome was recommended. These types of liposome are proliposome and freeze-dried liposome. The liposome must have some properties for preparing of freeze-dried liposome; small size $(50{\sim}200\;nm)$,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cryoprotectant. In this experiment, the liposomes containing 5-Fluorouracil(5-FU) and its prodrug(pentyl-5-FU-1-acetate; PFA, hexyl-5-FU-1-acetate; HFA) were made with soybean phosphatidylcholine, cholesterol, stearylamine(SA) and dicetyl phosphate(DCP) employing hydration method or microemulsification method using $Microfluidizer^{TM}$. Both or liposome types were MLV and MEL. After preparation, freeze drying and rehydration wer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freezing, trehalose(Tr) was added as a cryoprotectant. Their evaluation methods were as follows; entrapment efficiency, mean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dissolution test, retain of entrapment efficiency and turbidity after freeze-dry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belows. The entrapment efficiency of 5-FU was dependent on total lipid concentration and cholesterol content but that of PFA and HFA was decreased when cholesterol was added. When DCP and SA were added, entrapment efficiency was decreased. As the partition coefficient of drug was increased, entrapment efficiency was increased. Under the same condition, entrapment efficiency of MEL is similar to that of MLV. The mean particle size and size distribution of MEL were smaller than those of MLV. Dissolution rates of drug from both liposome types were comparatively similar. Dissolution rates of drugs with serum and liver homogenate were faster than without these material. After preparation of liposome, free drug was removed efficiency by Dowex 50W-X4. When liposome was freeze-dried and then rehydrated in the presence of Tr, characteristics of liposome were maintained well in MEL than MLV. Tr Was used successfully as a cryoprotectant in the process of freeze drying and the optimal ratio of Tr:Lipid was 4:1(g/g).

  • PDF

마이크로네시아 축 경산호 골격의 지화학 원소 농도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geochemical elements concentration changes in coral skeleton from Chuuk, Micronesia)

  • 현상민;박흥식;김수현;김한준;장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08
  • 과거 수 년 간에 걸친 해양환경변화와 중금속 농도에 의한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경골산호(Porites lutea)를 조사하였다. 연X선 사진 분석 결과 분석된 산호시료는 길이 71mm 에 뚜렷한 성장륜을 가지고 있어 과거 수 년에 걸친 해양환경 변화를 잘 지시하고 있다. 골격 중에 포함된 주요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결과 각 원소의 최고값, 최저값 사이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소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부원소는 화학적 분배계수에 의해 aragonite 격자에 기계적으로 치환되어 축적된 것으로 판단되며 일부원소는 이차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축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Sr/Ca, Mg/Ca에 근거한 환경변화는 수년전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Mg/Ca의 경우 특정기간에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일부 중금속의 농도는 크게 수 십배의 농도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Cu, Zn의 경우는 성장하는 동안 Mg/Ca와 같은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은 아마도 지역적 오염과 해양환경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후 전처리 과정 등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 PDF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의 가용화 및 연질캅셀제로의 설계 (Solubilization and Fomulation as Soft Gelatine Capsule of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 박기배;정채경;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1-11
    • /
    • 1996
  •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PMC), which has been used to treat hepatitis, is insoluble in water, therefore it has low bioavailability after oral administra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issolution rate of PMC, the physical mixtures and inclusion complexes of PMC and $dimethyl-{\beta}-cyclodextrin\;(DM\;{\beta}CD)\;or\;hydroxypropyl-{\beta}-cyclodextrin\;(HP{\beta}CD)$ in molar ratio of 1 : 1 and 1 : 2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Mixed micelles of PMC were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bile salts [sodium cholate(NaC), sodium glycocholate (NaGC)] and oleic acid (OA) or palmitoylcarnitine chloride(PCC). Chloroform/water partition coefficient (PC) of PMC was 36.14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GJ) and 33.47 in artificial intestinal juice (AIJ),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octanol/water PC was 63.36. PMC formulation was prepared by reacting PMC with PEG400-glycerin system(95 : 5, 90 : 10, respectively) and PEG400-PEG4000-glycerin system (70 : 25 : 5, 65 : 25 : 10, respectively).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in AGJ and AIJ by paddle method at $37{\pm}0.5^{\circ}C$. The dissolution rates of PMC tablets on the market were 5.74% and 8.26%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marketed PMC capsules were 22.14% and 28.64% at AGJ and AIJ, respectively. The dissolution rates of inclusion complexes of PMC with $DM{\beta}CD$ and $HP{\beta}CD$ in a molar ratio of 1 : 1 were more fast than those of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The decreasing order of dissolution rates was as follows;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 mixed micelles > CD inclusion complexes. The dissolution rates of PMC-PEG400-glycerin and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were most fast and the percentage of dissolution was almost 100% within 20 minutes. And their dissolution rates after 120 minutes were marked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apsules on the market (4.0-fold and 3.2-fold in PMC-PEG4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and 4.8-fold and 3.7-fold in PMC-PEG400-PEG4000-glycerin formulation at AGJ and AIJ, respectively).

  • PDF

Non-PVC(폴리올레핀) 수액용 튜브 내면에서의 약물흡착 거동 - PVC 및 PU 수액튜브와의 비교 (Drug Adsorption Behavior of Polyolefin Infusion Tube Compared to PVC and PU)

  • 박강훈;박창규;박종;전승호;방사익;김지흥;정동준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333-337
    • /
    • 2014
  • PVC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수액백과 튜브는 가소제인 DEHP(diethylhexyl phthalate)를 함유하고 있어 정맥 주사 시에 가소제의 용출과 약물 흡착이라는 심각한 취약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올레핀 재질로 만들어진 non-PVC 수액튜브(가소제 미포함)를 개발하고, 이들 튜브 내면에서의 약물 흡착 거동을 기존의 PVC 및 PU 재질의 수액 튜브와 비교 검토하므로써, 수액 주사 시 약물 흡착으로 인한 약효 감소 효과를 최소화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4가지의 non-PVC 수액튜브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syndiotactic 1,2-폴리부타 다이엔(PB)과 스타이렌-에틸렌(SE)의 공중합 탄성체를 사용하여 압출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들은 기존의 PVC 수액튜브의 기계적 특성과 동등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제조된 폴리올레핀 재질의 4가지 수액튜브들은 기존의 PVC 및 PU 재질의 수액튜브 대비 우수한 약물흡착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은 약물흡착 방지용 수액튜브뿐 아니라 DEHP의 용출 위험이 배제된 안전한 수액튜브로서 임상 적용 가능할 것이다.

Brachydanio rerio(zebrafish)를 이용한 IBP, methidathion 및 piperophos의 생물농축성 (Bioconcentration of IBP, Methidathion and Piperophos in Brachydanio rerio(zebrafish))

  • 하영득;민경진;이승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8-118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ncentration of IBP, methidathion and piperophos. The BCFs(bioconcentration factor), depuration rate constants for three pesticides in zebrafish(Brachydanio rerio) were measured by OECD guideline 305. The concentration of test pesicides were one-hundredth and one-thousandth concentration of 96-hrs L $C_{50}$ in accordance with OECD guideline 30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BCF values of IBP were 5.31(n=4) and 7.30(n=4) at one-hundredth and one-thousandth concentration of 96-hrs L $C_{50}$ . The average BCF values of methidathion were 8.72(n=4) and 11.25(n=4), the average BCF values of piperophos were 34.30(n=4) and 42.60(n=4).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IBP were 0.09( $h^{-1}$ ) and 0.08( $h^{-1}$ ), half-life of IBP were 7.70 and 8.66 at each tested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IBP in zebrafish at low and high concentrations rapidly decreased after 12(0.243$\mu\textrm{g}$/g) and 12 hours(0.040$\mu\textrm{g}$/g).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methidathion were 0.40( $h^{-1}$ ), half-life of methidathion were 1.73 at one-hunderdth and of 96-hrs L $C_{50}$ , re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methidathion in zebrafish at high concentrations rapidly decreased after 6 hours(0.18 $\mu\textrm{g}$/g). Depuration rate constant of low concentration was no measured because methidathion in zebrafish was depurated in 6 hours.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piperophos sere 0.15( $h^{-1}$ ) and 0.44( $h^{-1}$ ), half-life of piperophos were 4.62 and 1.58 at each tested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s of piperophos in zebrafish at los and high concentrations rapidly decreased after 12(0.26$\mu\textrm{g}$/g) and 6 hours(0.015 $\mu\textrm{g}$/g). It was suggested that high BCF of piperophos was due to high Kow(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The possibility of bioconcenration was not likely to be high because of its $K_{DEP}$(depuration rate constant) in the evniroment. It was suggested that low BCF of methidathion showed lowest Kow as well as the most rapid $K_{DEP}$.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bioconcentration was not occured in the enviro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BCF dtermined for IBP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pesticides due to high Sw(water solubility), show $K_{DEP}$. Therefore, IBP revealed little bioconcentration effect on in aquatic ecosystem.ystem.

  • PDF

관주처리에 따른 양액재배 딸기의 농약잔류 특성 (Pesticide residual characteristics in Strawberry, treated by drenching under hydroponics)

  • 이효섭;황인성;천재인;권혜영;홍수명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11-17
    • /
    • 2019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2017년 4,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되었다. 최근에는 양액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농가가 많아지면서 농약 관주 처리가 딸기농가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농약 관주처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현장에서는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관주 처리 활성화와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딸기 중 농약살포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관주 처리 후 농약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딸기에 시험농약을 상이한 조건(살포횟수, 살포량, 희석배수)으로 관주처리한 후 azoxystrobin과 prochloraz는 0, 7, 14, 24, 40일에 분석하였고, thiamethoxam은 0, 7, 24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azoxystrobin 및 prochloraz는 관주 처리하였을 때 최종처리 14일 후에 불검출 되었고, thiamethoxam은 0.02-0.85 mg/kg으로 잔류하였다. 농약 관주처리시 이행량은 농약의 옥탄올-물 분배계수와 물의 대한 용해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농약을 관주처리 할 때 농산물 내 잔류량은 농약을 실질적으로 살포한 유효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PCBs 독성 예측을 위한 주요 분자표현자 선택 기법 및 계산독성학 기반 QSAR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QSAR Model Based on the Key Molecular Descriptors Selection and Computational Toxicology for Prediction of Toxicity of PCBs)

  • 김동우;이승철;김민정;이은지;유창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621-629
    • /
    • 2016
  • EU의 REACH 제도 도입에 따라 각종 화학물질에 대한 독성 및 활성 정보 확보를 위해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을 예측하는 정량적구조활성관계(QSAR)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QSAR 모델에 사용되는 분자표현자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의 물성 및 활성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주요한 분자표현자를 선택하는 과정은 QSAR 모델 개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분자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주요 분자표현자의 통계적 선택 방법과 부분최소자승법(Partial least square: PLS) 기반의 새로운 QSAR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QSAR 모델은 130종의 폴리염화바이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 PCB)에 대한 분배계수(log P)와 14종의 PCBs에 대한 반수 치사 농도(Lethal concentration 50%: $LC_{50}$) 예측에 사용되고, 제안된 QSAR 모델 예측 정확도는 기존의 OECD QSAR Toolbox에서 제공하는 QSAR 모델과 비교하였다. 관심 화학물질의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주요 분자표현자를 선별하기 위해서, 상관계수(r)와 variable importance on projections (VIP)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선별된 분자표현자와 활성정보를 이용해 부분최소자승법(PLS)를 사용하였다. 회귀계수($R^2$)와 prediction residual error sum of square (PRESS)을 이용한 성능평가결과, 제안된 QSAR 모델은 OECD QSAR Toolbox의 QSAR 모델보다 PCBs의 log P와 $LC_{50}$에 대하여 각각 26%, 91% 향상된 예측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계산독성학 기반의 QSAR 모델은 화학물질의 독성 및 활성정보에 대한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유독 화학물질의 인체 및 환경 위해성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출용 단감에 대한 Difenoconazole과 Thiamethoxam의 잔류특성 연구 (Residue Studies of Difenoconazole and Thiamethoxam during Cultivation of Sweet Persimmon for Export)

  • 장희라;강혜림;도정아;오재호;황인균;권기성;임무혁;김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8-254
    • /
    • 2012
  • 국내 유망 수출 식품 중 잔류농약으로 인하여 수출 장애가 있는 식품을 대상으로 문제가 되는 농약에 대해 CAC 및 수출국의 농약잔류 허용기준 제안을 위한 작물잔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상 작물은 수출용 단감이었고, difenoconazole과 thiamethoxam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Difenoconazole의 잔류량 범위는 0.2~0.56 mg/kg였고, thiamethoxam의 잔류량 범위는 0.08~0.28 mg/kg으로 두 약제 모두 수확 1일차 시료부터 MRL 농도 이하로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를 살포하고 수확한다면 국내에 설정된 MRL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ifenoconazole의 각 포장별 반감기는 각각 13.6, 19.4, 16.3일 이었고, thiamethoxam의 각 포장별 반감기는 각각 10.0, 15.3, 14.0일 이었다. Clothianidin의 잔류농도는 1개 지역에서 14, 28일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나, 농도는 0.03 mg/kg 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