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1 in bone regeneration after the implantation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 Huh, Young-Chul;Kim, Su-Gwan;Kim, Jeong-Sun;Yoon, Jung-Hoon;Kim, D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32 no.1
    • /
    • pp.27-35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1, in a rat calvarium defect model using particulate dentin and/or plaster of Paris, and correlate the bone regeneration process with the histologic ev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8 animals each. A 1.0 cm-sized calvarial defects were made and the defect was filled with different graft materials as follows : Group A, the defects were filled with a mixture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with a 2:1 ratio; Group B, the defects were filled with plaster of Paris only; Group C, defects were filled with particulate dentin only; Group D, untreated control group.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1, 2, 4, 8 weeks after implantation. Excised wound tissues were processed for histology, immunohistochemistry and RT-PCR for the analysis of TGF-1 expression. Results: Gene expression of TGF-1 was detected for all experimental groups. The highest gene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specimen taken at the first week after implantation in Group A. According to the hist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TGF-1 positive osteoblast-like cells were found in the early stage of healing after the implantation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GF-1 may be related to new bone formation at the early healing process after the implantation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Effect of Alginate on Early Bone Healing after Implantation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Mixture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를 이용한 초기 골치유시 알긴산의 효과)

  • Cho, Gyung-Ahn;Kim, Su-Gwan;Lim, Sung-Chul;Kim, Sa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7 no.3
    • /
    • pp.218-22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을 혼합하여 이식한 후 초기 골 형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백서 30마리의 두개골에 8mm 직경의 골결손부를 형성한 후 인간의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을 혼합하여 이식한 후 대조군,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 그리고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각각의 골 결손부 치유과정을 조직병리학적,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통계학적으로 주간 변화(4주, 8주)는 유의하지 않았고, 각 그룹 간에 있어도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 간 모두(4주, 8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우수한 신생골 형성을 보였다. 비록 통계학적으로는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보다 더 우수한 신생골 형성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신생골의 내용면에서도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좀더 많은 신생 직조골의 융합이나 골 소주형성이 관찰되어 신생골의 형성 및 성숙에 알긴산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론적으로 골결손부 치료 방법으로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 또는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로 결손부에 이식하는 것은 신생골 형성의 양적, 질적 개선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며, 알긴산을 이식재와 함께 처리한 경우에 신생골 형성의 양적,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circ}C$ 냉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로 저장한 경우 깻잎 고유의 초록색과 향을 유지하고 있어 저온냉수 세척과 tray 포장이 세척 청경채의 선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pendimethalin\;1.3{\sim}2.9%$ 및 $3.8{\sim}10.8%,\;ethoprophos\;0.6{\sim}2.7%$$0.1{\sim}0.3%$이었다. 인공강우실험 후 공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alachlor와 ethopropho는 토심 $10{\sim}15cm$까지 이동하였고, ethalfluralin과 pendimethalin는 대부분 토심 5 cm 이내에 잔류하였다.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각 농약의 유실량이 $0.2{\sim}1.9$ 배 증가하였는데 유출수에 의한 농약의 유실량 차이는 유출수 중 농도 차이로 판단되며,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량 차이는 토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도라지는 물에 우려 푹 삶았고, 감자, 송이 등은 잘게 썰어 쌀과 함께 밥을 조리하였다. 4. 약선 음식조리방법 약선음식의 재료는 평상시 식생활에 사용되고 있던 식품들의 기능성분과 약이성을 이용하여 만성적인 질병과 급성적인 복통 설사 등에 재료의 전처리를 통해 죽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곡류 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