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ing Detec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4초

무인차량의 자동주차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uto-Parking Algorithm for Driving in Urban)

  • 조경환;정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360-2366
    • /
    • 2011
  • 무인차량의 주행은 각종 센서를 이용한 차량제어시스템, 항법시스템, 장애물시스템, 통합시스템의 4가지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 되어있다. 본 연구는 비접촉 거리측정 장치인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무인차량의 평행주차 및 직각주차 알고리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GPS와 차량에 6대의 레이저스캐너를 장착하여 이용하였고,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한 위치 계산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타이어 미끄러짐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5km/h로 차량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였다.

Combining Object Detection and Hand Gesture Recognition for Automatic Lighting System Control

  • Pham, Giao N.;Nguyen, Phong H.;Kwon, Ki-Ryo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4호
    • /
    • pp.329-332
    • /
    • 2019
  • Recently, smart lighting systems are the combination between sensors and lights. These systems turn on/off and adjust the brightness of lights based on the motion of object and the brightness of environment. These systems are often applied in places such as buildings, rooms, garages and parking lot. However, these lighting systems are controlled by lighting sensors, motion sensors based on illumination environment and motion det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one single camera for buildings, rooms and garages. The proposed system is one integration the result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as motion detection, hand gesture detection to control and dim the lighting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ystem work very well and could consider to apply for automatic lighting spaces.

A New Vehicle Detection Method based on Color Integral Histogram

  • Hwang, Jae-Pil;Ryu, Kyung-Jin;Park, Seong-Keun;Kim, Eun-Tai;Kang, Hyu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8권4호
    • /
    • pp.248-253
    • /
    • 2008
  • In this paper, a novel vehicle detection algorithm is proposed that utilizes the color histogram of the image. The color histogram is used to search the image for regions with shadow, block symmetry, and block non-homogeneity, thereby detecting the vehicle region. First, an integral histogram of the input image is computed to decrease the amount of required computation time for the block color histograms. Then, shadow detection is performed and the block symmetry and block non-homogeneity are checked in a cascade manner to detect the vehicle in the image. Finally, the proposed scheme is applied to both still images taken in a parking lot and an on-road video sequence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실내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다방향 DRSS 기술 (Multi-directional DRSS Technique for Indoor Vehicle Navigation)

  • 김선;박판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36-942
    • /
    • 2022
  • 주요 도시의 대규모 주차장에서 실내 차량 측위는 필수 구성 요소지만, 다양한 기술적 한계 및 불완전한 무선 채널 환경은 기존 측위 기법의 정확도를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본 논문은 저비용 비콘을 활용하여 실내 공간 내 이동 차량이 비콘의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값만을 사용하여 근접 비콘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근접 감지 기법은 다방향 DRSS (Differential RSS) 기술을 활용하여 주위 환경, 차량 및 모바일 기기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하여 다방향 비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으며, 측위 성능은 394.8m×304.3m 대규모 면적의 실제 지하 주차장에 96개의 비콘을 설치하여 관련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근접 감지 오차의 90번째 백분위수는 0.8m이며, 제안된 기법은 다양한 차량 및 모바일 기기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강건한 근접 감지 성능을 보장한다.

블루투스와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자동차 안전 및 편의 서비스 (Automotive Safety and Convenience Service Using Bluetooth and Smartwatch)

  • 박한샘;임노간;조지연;이종배;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188-119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와 스마트워치를 사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사고 감지, 납치 감지, 차량 내 아동 방치 감지, 주차 위치 기록, 스마트키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차 안전 및 편의 서비스를 제안한다. 스마트폰에 기반한 기존 서비스는 스마트 폰을 차량 내에 거치하거나 가방 내에 휴대하는 경우가 많아서 사고 및 납치 상황 등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하여 스마트워치는 사용자가 늘 착용하고 있으며 심박수도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사고 및 납치 상황 등을 좀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스마트워치의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심박 센서, 블루투스 링크 상태 등의 정보를 통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파악하고 사고 통보, 상황 녹음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서비스는 차량과 OBD-II로 연결되어 도어 개폐, 비상등 점멸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Semi-Supervised Learning Based Anomaly Detection for License Plate OCR in Real Time Video

  • Kim, Bada;Heo, J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113-120
    • /
    • 2020
  • Recently, the license plate OCR system has been commercialized in a variety of fields and preferred utilizing low-cost embedded systems using only cameras. This system has a high recognition rate of about 98% or more for the environments such as parking lots where non-vehicle is restricted; however, the environments where non-vehicle objects are not restricted, the recognition rate is about 50% to 70%. This low performance is due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by non-vehicle objects in real-time situations that occur anomaly data which is similar to the license plates.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appropriate anomaly detection based on semi-supervised learning for the license plate OCR system in the real-time environment where the appearance of non-vehicle objects is not restricted. In the experiment, we compare systems which anomaly detection is not implemented in the preceding research with the proposed system in this paper. As a result, the systems which anomaly detection is not implemented had a recognition rate of 77%; however, the systems with the semi-supervised learning based on anomaly detection had 88% of recognition rate. Using the techniques of anomaly detection based on the semi-supervi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detecting anomaly data and it was helpful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of real-time situations.

위조번호판 부착 차량 출입 방지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주차관제시스템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arking control system to prevent vehicle access with fake license plates)

  • 장성민;이정우;박종혁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57-74
    • /
    • 2022
  • 최근 인공지능 주차관제시스템은 딥러닝을 활용해 차량 번호판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있지만 위조번호판 부착 차량을 판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러 기관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례로 위조번호판을 이용한 실험에서 정부의 주요 기관을 대상으로 진입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조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 인공지능 주차관제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시스템이 차량의 번호판의 일치여부를 통과기준으로 사용하듯이 이미지에서 특징이 되는 특징점의 정보를 추출해내는 ORB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추출한 차량 앞면 특징점들의 매칭 정도를 통과기준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내부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제안 시스템에 포함시켜 위조번호판을 부착한 동일 차종 차량의 진입도 방지하였다. 실험 결과, 위조번호판을 부착한 차량들의 진입을 막아내며 기존시스템에 비해 위조번호판을 막아내는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존 인공지능 주차관제시스템의 체계를 유지하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기존의 주차관제시스템에 적용하여 위조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안렌즈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에서 차량 인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객체 검출기 (Deep Learning based Object Detector for Vehicle Recognition on Images Acquired with Fisheye Lens Cameras)

  • ;연승호;김재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8-135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ethod for recognizing vehicles in images acquired through cameras installed on ceiling of underground parking lot. First, we present an image enhancement method, which improves vehicle detection performance under dark lighting environment. Second, we present a new CNN-based multiscale classifiers for detecting vehicles in images acquired through cameras with fisheye lens. Experiments show that the presented vehicle detecto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ones.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을 위한 환경 변화에 강건한 적응적 배경영상 모델링 알고리즘 (Algorithm of Generating Adaptive Background Modeling for crackdown on Illegal Parking)

  • 주성일;전영민;최형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17-125
    • /
    • 2008
  • 실시간 입력영상 분석에 의한 객체 추적은 사람의 시각이 요구되는 여러 응용분야에서 관심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객체 검지가 선행 된다. 실외 환경에서 안정적인 객체 검지 성능의 달성은 태양의 남중고도 변화에 따른 빛과 그림자의 변화, 자연현상 등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수용하는 효과적인 적응적 배경영상 생성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불법 주정차 무인 자동 단속 응용에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환경 변화에 강건한 적응적 배경영상 생성과 이동 객체의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배경영상 생성 방법은 먼저, 초기 배경영상을 생성 후, 생성된 초기 배경영상과 입력영상 프레임 간의 차연산 기법으로 객체를 검지하고, 객체 검지 결과로 이동객체를 추적한다. 또한 객체 검지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객체영역을 제외한 입력영상의 영역을 활용하여 배경영상을 갱신한다. 이후 갱신된 배경영상과 입력영상 간의 차연산 방법으로 객체 검지를 수행하고 이후, 추적, 객체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배경영상 갱신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에서는 제안방법을 가변하는 실제 도로환경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객체 검지가 가능함과 서행하는 객체 또한 효과적으로 검지됨을 보이고 이동 객체의 정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생활도로에서의 충돌사고 예방을 위한 객체 충돌 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Object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for Prevention of Collision Accidents on Living Roads)

  • 서명국;신희영;정황훈;채준성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9권3호
    • /
    • pp.23-31
    • /
    • 2022
  • Traffic safety issues have recently been seriously magnified, due to child deaths in apartment complexes and parking lots. Accordingly, traffic safety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recognize dangerous situations on living roads and to provide warning services. In this study, a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between moving objects, by using object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CCTV monitoring devices. To determine the exact collision between moving objects, an object movement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range of movement by considering the mov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a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efficiently analyze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the collision. The developed object movement model as well as the collision detection algorithm were simulated, in a virtual space of an actual living road to verify performance and derive supplementary mat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