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 And Green Space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8초

유비쿼터스 인프라가 도입된 첨단 친환경도시 공간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Eco City Space to the Introduction of Ubiquitous Infra)

  • 조병완;오세영;박정훈;윤광원;신병철;김헌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38-543
    • /
    • 2008
  • Urban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cause many problems on urban environment such as climate changes, natural disasters and a decreasing number of species. Problems on urban environment are the main factor of that lower the quality of life and obstruct continual development. As a result, eco space becomes the important part of a urban planning. This research, building plan U-Eco city which is establishing with the clean environment and high technology for solve the development thoughtless for the city environment problem and ecological problem. We suggest U-Eco space system which accreted with Ubiquitous technology to three physical divisions, which are lithosphere (land), hydrosphere (water), and aerosphere (air), that interact with the whole biosphere by forming the system. It has composed with U-Green belt that corresponds to lithosphere, U-Blue belt that is applicable to hydrosphere, and U-White belt that comes under aerosphere.

  • PDF

Development of the Earth Observation Camera of MIRIS

  • Lee, Dae-Hee;Han, Won-Yong;Park, Young-Sik;Park, Sung-Jun;Moon, Bong-Kon;Ree, Chang-Hee;Pyo, Jeong-Hyun;Jeong, Woong-Seob;Nam, Uk-Won;Lee, Duk-Hang;Park, Kwi-Jong;Bae, Soo-Ho;Rhee, Seung-Wu;Park, Jong-Oh;Kim, Geon-Hee;Yang, Sun-Choel;Kim, Young-J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225-232
    • /
    • 2011
  • We have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Earth observation camera (EOC) of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 (MIRIS). MIRIS is a main payload of the STSAT-3, which will be launched in late 2012. The main objective of the EOC is to test the operation of Korean IR technology in space, so we have designed the optical and mechanical system of the EOC to fit the IR detector system. We have assembled the flight model (FM) of EOC and performed environment tests successfully. The EOC is now ready to be integrated into the satellite system waiting for operation in space, as planned.

도시 내 주민참여형 커뮤니티 가든 계획의 초기단계에 관한 연구 (Initial Stage of Plan for Urban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Garden)

  • 박은지;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5-140
    • /
    • 2011
  • Recently, people aim for a healthy environment which enhances quality of life, and also there are communication in green space like therapy garden and weekend farm growing. Meanwhile, in Korea,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ave leaded to plan and proceed in reference to physical regeneration in local areas, and this had caused social and maintenanc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concept of community garden which is regarded as green and community space and to insist on a way of residents participation on plan for community garden and its necessity. For that, there were five ways of residents participation on plan for community garden based on literatured and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case studies, and these were subject to construction project of community garden in deteriorated area in Jeonju city. This study can provide improvement guidelines for the initial stage of pla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garden.

  • PDF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 이경재;한봉호;박현애;최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1-7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sim}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sim}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sim}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 한봉호;곽정인;박석철;허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141
    • /
    • 2014
  •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건강한 정서 자아를 위한 지능형 녹색경관 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Green Fountain Culture System for Healthy Emotional Self-Concept)

  • 박승민;이영환;김준엽;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81-286
    • /
    • 2012
  •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수공간 조성을 갈망 하게 되고, 이른바 녹색기술(Green Technology)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녹색공간에 문화적 콘텐츠를 도입하여 물, 음악, 자연을 정서적 언어표현의 도구로 활용한다. 현재 수경관은 시나리오 제작자에 의해 단독으로 만들어져 피동적인 연출만 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비용적인 면과 연출의 한계성에 국한되어, 기존 및 신설되는 수경 사업에 인터넷 기반 및 PC기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수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나 산업용 PC에 국한되어 운영하던 제어방식을 PC방식의 그래픽 화면으로 각종 분수(음악분수, 바닥분수, 생태연목 등)를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능형 녹색통합제어시스템 개발을 하였다. 또한 자동 기상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여서 주로 실외에 설치가 되는 녹색경관시스템을 시변적인 실외 상황에 대해서 예측 제어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도시녹지의 탄소흡수량 추정 -안산시를 대상으로- (Estimation of Carbon Sequestration in Urban Green Spaces Us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 A case study of Ansan City-)

  • 김성훈;박은진;김일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26
    • /
    • 2018
  • This study estimated the carbon sequestration from urban green spaces in Ansan City us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We examined study results of carbon sequestration from existing urban green spaces, using a land cover map (level 3). In particular, the carbon sequestration of trees by land use and the IPCC Global default value were linked with the land cover map level 3. Domestic research showed that carbon storage in urban green spaces in Ansan City was 17,927.2 tC, and the annual carbon sequestration was calculated as 2,680.5 tC/yr. On the other hand, applying the IPCC Global Default value resulted in annual carbon sequestration of 5,287.8 tC/yr, which was 2,607.3 tC/yr more that the domestic research value. This resulted from difference in detailed methodologies such as background data, sample size for on-site investigation, and measurement of tree species. The study presented a consistent assessment method to assess the sequestration of carbon from municipal urban green spaces. Furthermore, we provided basic data that could be useful in urban green space policies.

보행접근성 분석에 기반한 근린공원의 공원서비스 평가 - 성남시 분당구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Park Service in Neighborhood Parks based on the Analysis of Walking Accessibility - Focused on Bundang-gu, Seongnam-si -)

  • 황해권;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70
    • /
    • 2024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공원녹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공원녹지는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옥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중요한 공간이다. 공원서비스 권역은 거리를 기반으로 어느 범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이 과정에서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보행은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서 공원 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원서비스 권역 분석은 소외지역을 발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수혜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접근성을 바탕으로 공원서비스 권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공원서비스는 이용자가 직접 공원을 방문함으로써 발생하는 서비스로서 접근성이 이용 가능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보행네트워크의 정량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통합도 값을 바탕으로 보행접근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합도 값은 보행네트워크의 접근성 정도를 수치화하여 보여주는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도 값이 높을수록 공원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당구의 공원서비스 권역은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보행접근성이 높은 구간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지만 일부 보행접근성이 좋은 구간은 제외되어 있다. 이는 도시계획 과정에서 주거지역과 상업 및 업무 지역이 우선적으로 지정되고 그 후에 공원녹지 지역이 선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분당구를 기준으로 공원서비스 권역 및 공원서비스 권역 내 보행접근성을 법정동별로 분류하였다. 개별 법정동 별로 차이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공원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같은 도시계획 과정에서 만들어진 지역이라도 보행접근성에 따른 공원서비스 권역의 평가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생활권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개별 동 단위의 평가가 가능하며 추후 이를 반영한 공원녹지 정책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신문광고에 나타난 아파트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주택의 분양가 자율화 이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Factors of Apartment House in Newspaper Advertising - Since autonomy of lotting-out price of house -)

  • 박주연;박현경;조용준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19
    • /
    • 2005
  •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since autonomy of lotting-out price of apartment house and planning factors related to sale of apartment house through leaflet of sale of apartment house. Objects of the study were leaflets of sale of apartment houses through the Donga Il Bo daily newspaper from 2001 to 2003.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to three. First, traffic of locational factors in advertisement of sale of apartment hous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an important planning factor of apartment house. Second, considering that advanced facilities and the highest finishing materials were used, quality of apartment house has been advanced. Third, considering that community space, theme park and green zone showed high occupancy in external space, there has been high increase in external space as well as in internal one since autonomy of lotting-out price.

  • PDF

녹지축 연결을 통한 생태공간 조성계획 - 성남시 분당 Ecobridge지역을 중심으로 -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pace for the Connection of Green Corridor - A Case Study of Ecobridge in Pundang, Songnam City -)

  • 강현경;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38
    • /
    • 1996
  • 본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중앙공원과 불곡산에 이르는 중심녹지축의 연결로 Ecobridge지역의 생태적 공간조성을 목적으로 야생조루종조성,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야생조루종조성분석 결과 Ecobridge 지역에서는 까치, 박새, 참새 3종 23개체만이 출현하였고 중앙공원 산림에서는 3종과 꾀꼬리, 제비 5종 37개체가 출현하였다. 자연환경이 양호한 불곡산에서는 15종 72개체가 출현하였다. 식물군집구조분석 결과 중앙공원과 불곡산 산림은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을 식재한 인공림과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림, 인공림에서 참나무류로의 2차천이가 일어나고 있는 반자연림으로 나뉘어졌다. Ecobridge지역은 아교목층이 형성되지 않은 교목층 위주의 단순식생으로 지역주민의 이동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종다양성은 불곡산 산림$\longrightarrow$ 중앙공원 산림$\longrightarrow$Ecobridge지역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 유사도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태적인 공간조성에 있어 종다양성이 높은 불곡산의 다층적인 식생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