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ffin-embedded tissu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9초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s in tumor and stromal cells of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 Park, Bong-Wook;Byun, June-Ho;Hah, Young-Sool;Kim, Deok-Ryong;Chung, In-Kyo;Kim, Jong-Ryoul;Kim, Uk-Kyu;Park, Bong-Soo;Kim, Gyoo-C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1호
    • /
    • pp.11-19
    • /
    • 2007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s (VEGFRs) in tumor and stromal cells of tougue squamous cell carcinoma (SCC). We also wanted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s, from the angiogenic aspect, between cancer-associated stromal cells and non-malignant stromal cells. Paraffin-embedded tumor specimens from eleven patients with tongue SCC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VEGFR-1,-2, and -3 was performed on the tumor cells, stromal fibroblasts and tumor-associated macrophages of the specimens. The expression of all 3 receptors was detected in the tumor cells themselves of the biopsy specimens. All 3 receptors were also expressed on stromal cells, except that VEGFR-2 was not expressed in stromal fibroblasts. In radical excision specimens, the staining intensity for VEGFR-1, -2 in the tumor cells and VEGFR-1,-3 in the tumor-associated macrophag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biopsy specimens (P < 0.05). By using the general marker of fibroblast and macrophage, 5B5 and CD68, respectively, we performed doubl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5B5 and each VEGFR in the stromal fibroblasts and for CD68 and each VEGFR in the tumor-associated macrophages of the radical excision specimens. We used 4 cases of fibroma and 4 cases of chronic inflammation tissue as the controls. It was found that only each marker was expressed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5B5/VEGFR-1 and 5B5/VEGFR-3 in the stromal fibroblasts, and CD68/VEGFR-1 and CD68/VEGFR-3 in the tumor-associated macrophages were double stained in the radical excision specimens. Although our study used small number of specimen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in tongue SCC, in association with the angiogenesis, the stromal cells showed the activated phenotype and this was different from the nonmalignant stromal cells.

후두 편평상피의 전암성 및 악성병변에서 화상분석기를 이용한 DNA 배수성검사와 Ki-67 항체 양성세포의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DNA Content and Ki-67 Antibody Expression by Means of Image Analyzer for the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Larynx)

  • 주형로;이선희;최종욱;김인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9-89
    • /
    • 1993
  • 후두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질환중 전암성병변은 이형성(dysplasia)과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등이 있으며, 이들은 진행하게되면 침윤성 악성병변으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전암성 병변의 정도를 정확히 구분 및 파악함으로써 침윤성 암종으로의 전환여부를 미리 예견한다는 것은 악성 후두질환의 병태파악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후두경하에 절제생검을 시행한 26례(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 14례, 상피증식증 5례, 성대결절 7례)를 대상으로, 22례에서는 생검조직을 touch imprint법으로 도말하여 Feulgen염색한 후 CAS 200 화상분석기로 DNA함량분석을 시행하였고, 전례에 대하여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Ki-67 단크론성 항체(M1B1)를 이용하여 면역효소염색을 시행한 후 화상분석기로 양성표현율을 측정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i-67 양성표현율은 침윤성 암종에서 31.65$\pm$11.59%, 상피증식증에서는 20.14$\pm$3.38%, 성대결절에서는 11.66$\pm$3.02%이었다. 2) 핵산지수(DNA index)는 침윤성 암종의 경우 비배수성이 10례 중 7례(70%), 상피증식증에서는 5례중 2례(40%), 성대결절에서는 7례 모두 이배수성을 보였다. 3) DNA함량분석에서 5기와 G2/M기를 합한 증식지수(PI)는 침윤성 암종에서 23.42$\pm$11.33%, 상피증식증에서는 13.09$\pm$10.90%, 성대결절에서는 4.50$\pm$1.19%로 침윤성 암종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성적에서 성대의 생검조직과 같은 미세조직으로부터도 DNA함량검사와 함께 Ki-67 양성표현율을 측정함으로써 전암성병변의 악성화 가능성 정도를 예견할 수 있었으며, 악성종양 환자의 예후판정에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mAbs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 Kim, Soseul;Hong, Jeong Won;Cho, Woon-Dong;Moon, Yoo Ri;Yoon, Sang Soon;Kim, Min-Young;Hong, Kwon Pyo;Lee, Yong-Moon;Yi, Jae Hyuk;Ham, Young Jun;Rah, Hyung Chul;Kim, Seung Ryul;Song, Hyung Geun
    • IMMUNE NETWORK
    • /
    • 제14권3호
    • /
    • pp.164-170
    • /
    • 2014
  • JL1, a specific epitope on CD43, is a potential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acute leukemia. Although qualitative assays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exi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quantitative assays for the same. Here, we developed two novel monoclonal antibodies (mAbs), 2C8 and 8E10, recognizing different epitopes on CD43. These clones are capable of pairing with YG5, another mAb against JL1 epitope, because they were selectively obtained using sandwich ELISA. Antigens recognized by 2C8 and 8E10 were confirmed as CD43 by western blotting using the CD43-hFC recombinant protein. When expression on various leukemic cell lines was investigated, 2C8 and 8E10 displayed a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epitope. Enzyme assays revealed that these mAbs recognized a sialic acid-dependent epitope on CD43. Using normal thymus and lymph node paraffin-embedded tissues, we confirmed a difference in the epitopes recognized by the two mAbs that was predicted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cells in the tissue. In summary, w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two mAbs, 2C8 and 8E10, which can be used with YG5 in a sandwich ELISA for detecting leukemia-specific CD43.

인체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n Huma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박성수;신동호;김태화;이동후;이정희;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85-191
    • /
    • 1993
  • 연구배경 : ICAM-1은 90 kD의 당단백으로서 ${\beta}_2$ integrin과 관계를 가지며,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론에 있어서 ICAM-1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발성 폐섬유종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정도는 상향조절된다.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방법 : 본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에 있어서 ICAM-1의 발현 양상을 연구하고자 개흉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3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여 ICAM-1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연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ICAM-1은 3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 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아 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다.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1절편에서는 약한 발현정도를 나타냈다. 결론 :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CAM-1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EGFR 돌연변이 검출에 있어 PNA-Mediated Real-Time PCR Clamping과 직접 염기서열 분석법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Peptide Nucleic Acid (PNA)-Mediated Real-Time PCR Clamping and DNA Direct Sequencing for EGFR Mutation Detection)

  • 김희정;김완섭;신경철;이관호;김미진;이정은;송규상;김선영;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1호
    • /
    • pp.21-27
    • /
    • 2011
  • Background: Although the gold standard method for research trials o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s has been direct sequencing, this approach has the limitations of low sensitivity and of being time-consuming. Peptide nucleic acid (PNA)-media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lamping is known to be a more sensitive detection to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tection rate of $EGFR$ mutation and EGFR-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responsiveness according to $EGFR$ mutation status using both methodologies. Methods: Clinical specimens from 112 NSCLC patients were analyzed for $EGFR$ mutations in exons 18, 19, 20, and 21. All clinical data and tumor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3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After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araffin-embedded tissue specimens, both PNA-mediated PCR clamping and direct-sequencing were performed. The results and clinical response to $EGFR$-TKIs were compared. Results: Sequencing revealed a total of 35 (22.9%) mutations: 8 missense mutations in exon 21 and 26 deletion mutations in exon 19. PNA-mediated PCR clamping showed the presence of genomic alterations in 45 (28.3%) samples, including the 32 identified by sequencing plus 13 additional samples (6 in exon 19 and 7 in exon 21). Conclusion: PNA-mediated PCR clamping is simple and rapid, as well as a more sensitive method for screening of genomic alterations in $EGFR$ gene compared to direct sequencing. This data suggests that PNA-mediated PCR clamping should be implemented as a useful screening tool for detection of $EGFR$ mutations in clinical setting.

갑상선 질환들에서 여포세포의 HLA-DR발현 (Thyrocyte HLA-DR Expression in Variety of Thyroid Diseases)

  • 장은숙;손수상;조승제;김인호;김상표;강중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1997
  • Although normal thyroid epithelial cells do not constitutively express HLA-DR antigen, their expression in wide spread within thyroid glands obtained from the human with autoimmune thyroid disease and with many neoplastic thyroids. We have, therefo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regard to the expression of HLA-DR antigen of thyroidectomy specimens from 50 patients of various thyroid diseases with use of paraffin-embedded tissue. One or two sections from each case were stain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mouse monoclonal antibody for class II HLA-DR antigen(HLA-DR/Alpha, DAKO) and examined by semiquantitative counting system for thyrocytes, neoplastic thyrocytes and other cells expressing HLA-DR antigen. All patients with lymphocytic thyroiditis(2/2) and diffuse hyperplasia(Graves' disease)(5/5), most patients with Hashimoto's disease(9/ll) expressed HLA-DR antigens in thyrocyte with abundant HLA-DR expressing lymphocytic infiltrates with lymph follicle formation in its vicinity or adjacent to the lesion. Most patients with papillary carcinoma(9/1l) had HLA-DR antigen detected in malignant thyrocytes ; while follicular carcinoma(0/3) and follicular adenoma(0/5) did not have detactable HLA-DR immunoreactivity. Adenomatous goiter(3/7) had HLA-DR antigen detected focally in lesser than half cases. Conversely, in four papillary carcinomas and three adenomatous goiters, HLA-DR expression of thyrocytes was found in the absence of HLA-DR expressing lymphoid infiltrates. In such cases therefore other factors more than thyroid autoimmunity must be causative for HLA-DR immunore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s follows. 1) The expression of HLA-DR on thyrocytes involved in autoimmune reactions appeared to be secondary to cytokine release from associated lymphocytic infiltrates. 2) Thyrocytes in thyroid lesions with equal degrees of lymphocytic infiltration without HLA­DR expression exhibited no HLA-DR immunoreactivity. 3) In neoplastic thyrocytes, most papillary carcinoma(9/11) exhibited detactable HLA-DR expression, while follicular carcinoma/adenoma(0/3/0/5) exhibited no detactable HLA-DR immunoreactivity which suggest the existence of divergent mechanisms inducing and modulating HLA-DR expression of different types of neoplastic thyrocytes.

  • PDF

조직 미세배열법을 이용한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발현 (Express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Tissue Using Tissue Microarray Method)

  • 한혜승;김민지;조재화;윤용한;곽승민;이홍렬;김광호;류정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54-58
    • /
    • 2005
  • 연구 배경 : 비소세포 폐암의 암화 과정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단백의 역할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아직 일치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이는 상용하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이 한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저자 들은 최근 새로 개발된 조직미세배열법을 이용하여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이들 호르몬 수용체 발현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70예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로 남성이 74%, 여성이 26%이었다. 이들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조직미세배열을 구축하였다. 가열을 통한 항체 재생 후에 폐암 조직에서 일차 단일클론 항체 (ER1D5와 PR1A6)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흡연력은 현재 흡연자가 49%이었고, 비흡연자와 금연자는 각각 27%와 24%이었다.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세포암이 34예이었고, 선암, 편평상피선암, 기타 세포형은 각각 24예, 9예와 3예이었다.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염색에서 양성 결과를 보이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미세조직배열법을 이용한 에스트로겐과 프로제스테론 수용체 연구는 모든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음성 결과를 보였다. 현재 면역조직화학 염색에 사용되는 호르몬 수용체가 비소세포 폐암 조직에서 발현이 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소견으로 향후 적절한 항체들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mRNA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Availability of Estrogen Receptor Alpha mRNA on Cervical Cancer Tissue)

  • 김지혁;유광민;김정호;김서용;박선영;안성우;이지영;김성현;박호현;이동섭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9-456
    • /
    • 2018
  • 자궁경부암은 세계적으로 여성에서 네번째로 많이 진단되는 암이다. 개발 지수가 낮은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훨씬 심각하다. 따라서 더 나은 진단법과 치료법이 시급하다.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이후로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가 세포검사 조직검사와 함께 자궁경부암을 진단하는데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HPV 검사에서 음성을 보이는 환자가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는 사례가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PV 외에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mRNA 발현양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자궁내막을 성숙시키면서 동시에 자궁경부암의 발암 기전에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임상검체를 통해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ROC 곡선을 바탕으로, 85%의 민감도와 75%의 특이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값은 기존의 HPV 검사법보다 유사하거나 더 높은 값이었다. 나이, 병변의 심한 정도 등을 포함한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회귀 분석한 결과 폐경 여부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발현양이 높은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의 일종으로, 추후 연구에서 가능성이 확인된 호르몬과 폐경에 관련된 유전자를 대상으로 더 많은 검체로 분석해야 할 것이다.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로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의 의의 (Prognostic Valu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고혁재;박정현;심혁;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676-685
    • /
    • 2001
  • 연구배경 : 종양 내 혈관신생은 고형성 종양의 성장이나 전이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종양의 부피가 $1-2mm^3$ 이상이 되면 종양세포나 침윤된 대식세포 혹은 비만세포에서 여러 혈관형성인자를 생성하여 종양 내 미세혈관을 증식시키는데, 이 중 VEGF는 미세혈관에서 혈장단백의 투과를 증가시키고 혈관내피세포를 증식시킨다. VEGF는 여러 고형암에서 발현되며, 위암 및 유방암에서 VEGF 발현은 생존율 및 원격전이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독립적인 예후인자 및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보고하였다. 최근에 폐암에서 VEGF와 예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고들이 있어 저지들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비소세포폐암에서 VEGF 발현정도와 생존기간과의 관계를 검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원발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은 후 근치 목적의 절제술을 받았던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paraffin에 보관된 조직을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VEGF 항원의 발현을 약 발현군과 강 발현군으로 나누어 확인 한 후 두 군간의 생존율을 Kaplan-Meier법, Log-rank로서 검색하였다. 결 과 : 대상군은 69례로 남:녀는 54:15였고, 평균연령은 63세였으며,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암 47례, 선암 17례, 대세포암 5례였고, TNM병기는 I이 37례, II가 17례, IIIA은 15례였으며, VEGF 약발현군은 41례, 강 발현군은 28례로 VEGF 발현정도와 병리조직형, TNM병기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VEGF 약발현군과 강발현군의 중간 생존기간은 24개월, 19개월이며, 2년생존률은 52%, 48%, 3년 생존률은 35%, 33%로서 VEGF 약발현군이 강발현군보다 생존기간이 양호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함에 있어서 비록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는 못하였지만, VEGF 강발현군은 생존기간이 약발현군의 생존기간보다 불량한 경향이었다.

  • PDF

흰쥐 태아 구개융합부위 상피세포의 아포프토시스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APOPTOSIS OF EPITHELIAL CELLS IN THE FUSING FETAL RAT PALATE)

  • 이홍주;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83
    • /
    • 2001
  • 악안면 부위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의 하나인 구개열은 그 원인요소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구개발생 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서의 이상으로 발생하며 양측 구개판의 융합 후 융합상피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그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구개발생시 구개판 융합상피의 제거가 아포프토시스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고 아포프토시스가 일어나는 시기와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체중 200gm내외의 암컷흰쥐 12마리를 체중 250gm내외의 수컷흰쥐와 교배시켜 16.0일, 16.5일, 16.75일, 17.0일 태아를 얻었으며 각 태아에서 두부만을 파라핀 포매하여 전두절단 하였다. 조직절편에서 형태학적 소견을 관찰하기 위한 H-E 염색과 아포프토시스를 인지하기 위한 TdT염색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6.0일과 16.5일 된 태아의 표본에서 접촉전의 양측 구개판의 내측단 상피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구개판의 접촉 직후 상피세포간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부위에서는 극히 소수의 아포프토시스 세포들만이 관찰되었다. 2. 16.75일 된 태아의 표본에서 연속성을 거의 잃지 않은 정중 상피융합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거의 관찰할 수 없었으나, 비강측과 구강측의 상피삼각 그리고 비중격과 구개판이 접촉하는 부위, 특히 비중격의 외측연과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다수의 아포프토시스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3. 16.75일 된 태아의 표본에서 정중 상피융합이 연속성을 잃고 상피섬들로 나뉘어지는 시기 에서는 상피섬과 상피삼각부위에서 증가된 아포프토시스 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근접한 구강, 비강상피에서도 다수의 아포프토시스세포들이 관찰되었다. 4. 17.0일 된 태아의 표본에서 상피섬이 많이 소실되어 간엽조직에 의한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위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세포들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피삼각부위와 구강, 비강상피에서는 아직도 다수의 아포프토시스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 태아의 구개발생시 구개융합부위의 상피세포가 아포프토시스에 의해 제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아포프토시스에 의한 융합상피세포의 제거는 주로 구개융합의 후반기에 상피섬과 상피삼각 부위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