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coccus denitrifica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의 탈질 특성연구 (A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

  • 송주영;황심연;김덕술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90-294
    • /
    • 2001
  • 탈질화 균주인 P. del1itrific$\alpha$m를 유지용매인 툴루엔요로 permeabilization 처리하논데, 툴루엔의 농도와 처려시간에 따 른 영향을 관찰한 결과 폴루엔의 농도에 비례하여 permea­b bilization 처리는 잘 이루어지지만 일정농도 이상의 툴루엔 농도에서는 세포벽으로부터 탈려련 단백질의 denaturation에 툴루엔이 사용됨을 확인하였다. Permeabilization 처리된 P. denitrficans는 미쳐려 균주보다 우수한 탈질능력을 보였고, 반복탤칠 처리시에는 처리균주와 미처리균주 공히 초기 활 질처리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같은 농도의 칠산생 칠소를 처리하는 경향음 보였다. 3-4회의 반복탈질처리 후 침산성켈 소 농도와 영양물켈을 초기농도로 회복시켜주었올 경우, 같은 속도와 경향으로 탈칠처리 하는 능력을 보였다.

  • PDF

Effect of C/N Ratio on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alkanoates) by the Methylotroph Paracoccus denitrificans

  • Kim, Byung-Ki;Yoon, Sung-Chul;Nam, Jae-Do;Lenz, Robert-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6호
    • /
    • pp.391-396
    • /
    • 1997
  • Two series of carbon sources, linear primary $C_1$~$C_9$ alcohols and linear $C_2$~$C_{10}$ monocarboxylic acids were tested for PHA synthesis in Paracoccus denitrifica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associated synthesis of PHA could be referred only to the carbon sources with odd number of carbon except methanol. For all carbon sources with even number of carbon, nitrogen limitation was required to induce PHA synthesis in P. denitrificans. Poly(3-hydroxyvalerate)[P(3HV)] homopolymer was synthesized from $C_5$, $C_7$, and $C_9$ while growing in the presence of nitrogen, but the nitrogen depletion in the later growth period incorporated 3-hydroxybutyrate(3HB) unit into the polymer chain. The optimum C/N ratio for P(3HV) homopolymer production was found to be 10 when the strain was grown on 10 ml/l of valeric acid for 96 h. P. denitrificans synthesized P(3HB-co-3HV) copolymers from n-hexanoic and n-octanoic acid.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cs of the P(3HB-co-3HV) copolymer from n-propanol was investigated using $^13C$-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showing a structural heterogeneity.

  • PDF

Permea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를 이용한 고정화 균주의 탈질화 반응기 설계 (Design of Denitrification Reactor by Using Permeabilized and Immobilized Paracoccus denitrificans)

  • 윤미선;송주영;박근호
    • KSBB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0-105
    • /
    • 2005
  • 탈질화 균주인 Paracoccus denitrificans를 이용한 탈질화 공정에 있어서 탈질 효율의 증대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화학적 permeabilization 처리 후 균주를 고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반응기는 이상적인 CSTR을 도입하여 free cell reactor와 immobilized cell reactor 그리고 permeabilized and immobilized cell reactor의 세 가지 형태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탈질효율의 비교를 위해 M-M 식을 적용시켰다. 각 반응기의 체류시간에 따른 탈질 효과는 permeabilized and immobilized cell reactor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또한 반응 평형에도 다른 두 반응기에 비해 빨리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truction of Methanol-Sensing Escherichia coli by the Introduction of a Paracoccus denitrificans MxaY-Based Chimeric Two-Component System

  • Ganesh, Irisappan;Vidhya, Selvamani;Eom, Gyeong Tae;Hong, Soon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6호
    • /
    • pp.1106-1111
    • /
    • 2017
  • Escherichia coli was engineered to sense methanol by employing a chimeric two-component system (TCS) strategy. A chimeric MxaY/EnvZ (MxaYZ) TCS was constructed by fusing the Paracoccus denitrificans MxaY with the E. coli EnvZ. Real-time quantitative PCR analysis and GFP-based fluorescence analysis showed maximum transcription of ompC and the fluorescence at 0.01% of methano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 coli was successfully engineered to sense methanol by the introduction of chimeric MxaYZ. By using this strategy, various chimeric TCS-based bacterial biosensors can be constructed and used for the development of biochemical-producing recombinant microorganisms.

탈질화 반응기의 설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Denitrification Re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 김선화;송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278
    • /
    • 2001
  • Removal of nitrogen compound from waste water is essential and often accomplished by biological process. Deni-trification bacterium. Paracoccus denitrificans(KCTC 2350) is employed to estimate the 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nitrification. In the immobilized biological reactor system, the measurement of absolute amount of active strain in the reactor is comparatively difficult or impossible. In this study, strain immobilized denitrification reactor was designed with the unwoven texture wrapped peeped hole plastic tube to calculated the absolute amount of active strain by comparing the activity of the immobilized reactor adn the free cell reactor. The reactor system was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and the rate of substrate consumption was assumed to be Michaelis-Menten equ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amount of immobilized active strain was the half of the total active strain in the reactor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in the equilibrium state in the immobilized reactor system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free cell reactor system.

  • PDF

CoQ10 생성 세균의 선별 및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CoQ10 Production Using Selected Bacterial Strains)

  • 정근일;강원화;이정아;신동하;배경숙;박호용;박희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6-51
    • /
    • 2010
  • Coenzyme Q10 (CoQ10)은 전자전달계에 필수적인 요소로 질병치료 및 완화에 도움이 되어 산업 의학적으로 그 활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CoQ10 생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quinone 분석 결과 CoQ10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된 8종 미생물의 생장특성과 CoQ10 생산능을 1차 조사하여, 세균류인 Paracoccus denitrificans KCTC 2530과 Asaia siamensis KCTC 12914를 대량배양을 통한 CoQ10 생산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 균주로 선별하였다. 이들 세균류의 생장 및 CoQ10 생산의 최적조건을 플라스크배양으로 조사한 결과, M81 배지를 기반으로 하여 탄소원으로는 4% fructose, 질소원으로는 2% yeast extract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양온도는 $30^{\circ}C$, 배지의 최적 pH는 P. denitrificans KCTC 2530의 경우 pH 6.0, A. siamensis KCTC 12914의 경우 pH 8.0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2 L fed-batch culture를 수행한 결과, P. denitrificans KCTC 2530은 1 L 당 $14.34{\pm}0.473$ mg, A. siamensis KCTC 12914는 $12.53{\pm}0.231$ mg의 CoQ10을 생산하였다.

겔-스폰지 혼용 시스템에 고정화된 세포를 통한 질산염의 연속적 분해 (Continuous Nitrate Reduction by Gel and Foam Matrix (GFM) Immobilized Cells)

  • 조양희;함태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02-90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세포 고정화를 위해 기존의 고정화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된 GFM 시스템에 Paracoccus denitrificans를 고정화하여 물속의 nitrate를 분해하는데 적용하였다. 고정화 조건으로써 스폰지 구멍의 크기 20 P.P.I. (pore per inch)와 겔로서 alginate가 이미 최적의 조건으로서 선택되었다. 고정화 세포의 연속 nitrate 분해능력을 air-lift reactor내에서 측정한 결과, 물속의 nitrate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능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속운전에서 본 시스템은 기존의 고정화시스템인 bead 겔포괄법과 비교할 때 $1.2{\sim}2.1$배 정도 분해능력이 향상되었다. 최고 nitrate 분해속도는 buffer를 함유한 medium에 있어서 177 mg/L h이었으나 buffer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33 mg/L h이었다. 또한 저장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5^{\circ}C$에 저장하였을 때 분해능력은 16주간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고정화하지 않은 자유세포나 bead에 고정화된 세포에 비하여 저장안정성이 두드러지게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황(thiosulfate)을 이용하는 탈질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파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ur-oxidizing Denitrifying Bacteria Utilizing Thiosulfate as an Electron Donor)

  • 오상은;주진호;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9-414
    • /
    • 2006
  • 황산화 미생물인 Genus Thiobacillus 중 몇 종류의 탈질균은 여러 종류의 황 화합물($S^{2-}$, So, $S_2O{_3}^{2-}$, $S_4O{_6}^{2-}$, $SO{_3}^{2-}$)을 황산염이온으로 산화시키면서 동시에 질산성질소를 질소 가스 형태로 전환시킨다. 이는 독립영양 미생물이므로 외부 탄소원이 필요치 않으며, C/N비가 낮은 폐수에 에탄올 대신 값이 싼 황 입자의 투입으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탈질화를 유도할 수 있다. 후탈질시 인위적인 유기물의 투입대신 값 싼 황입자를 사용하여 질소를 제거하며, 처리효율이 안정적이고, 운전이 쉬워, 최근 이 공정은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탈질시 알칼리도가 파괴되어 특히 알칼리도가 낮은 폐수의 경우 고농도 탈질시 pH가 떨어져 탈질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며, 고농도의 질산성질소를 처리할 경우 부산물로서 고농도의 황산염이온이 생성된다는 부수적인 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R로부터 독립영양 미생물을 분리 characterization 및 미생물 동정을 하였다. MCR내에는 주로 Paracoccus denitrificans and Paracoccus versutus (formerly Thiobacillus versutus)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이들 미생물들은 유기물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facultative autotrophic denitrifier이었다. 이들 미생물을 탈질에 이용할 시 유기물이 있는 조건에서도 성장하기 때문에 유입 폐수 내 유기물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또는 인위적으로 소량의 유기물을 넣어 독립영양탈질과 종속영양탈질을 동시에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독립영양탈질의 단점인 높은 황산염이온 생성 및 알칼리도 파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Four Novel Promoters for Gene Engineering with Broad Suitability across Species

  • Wang, Cai-Yun;Liu, Li-Cheng;Wu, Ying-Cai;Zhang, Yi-X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8호
    • /
    • pp.1154-1162
    • /
    • 2021
  • The transcriptional capacities of target genes are strongly influenced by promoters, wherea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robust, high-performance and cross-species promoters for wide application in different bacteria. In this work, four novel promoters (Pk.rtufB, Pk.r1, Pk.r2, and Pk.r3) were predicted from Ketogulonicigenium robustum and their inconsistency in the -10 and -35 region nucleotide sequences indicated they were different promoters. Their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as a reporter in different species of bacteria, including K. vulgare SPU B805, Pseudomonas putida KT2440, Paracoccus denitrificans PD1222, Bacillus licheniformis and Raoultella ornithinolytica, due to their importance in metabolic engineering.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our promoters had different activities, with Pk.r1 showing the strongest activity in almost all of the experimental bacteria. By comparison with the commonly used promoters of E. coli (tufB, lac, lacUV5), K. vulgare (Psdh, Psndh) and P. putida KT2440 (JE111411), the four promo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only 12.62% nucleotide similarities, and relatively higher ability in regulating target gene expression. Further validation experiments confirmed their ability in initiating the target minCD cassette because of the shape changes under the promoter regulation. The overexpression of sorbose dehydrogenase and cytochrome c551 by Pk.r1 and Pk.r2 resulted in a 22.75% enhancement of 2-KGA yield, indicating their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metabolic engineering. This study demonstrates an example of applying bioinformatics to find new biological components for gene operation and provides four novel promoters with broad suitability, which enriches the usable range of promoters to realize accurate regulation in different genetic backgr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