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illa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1초

Leaf Blight of Fatsia japonica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oral)

  • Kim, B.S.;Y.S. Lim;Kim, J.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8.1-128
    • /
    • 2003
  • A leaf blight disease was found on Fatsia japonica plants growing in the first author's apartment garden in May, 2003. Major symptoms were leaf blight and petiole rot. A species of Phytophthora was isolated from the lesions. The isolate readily produced sporangia and sex organs on V8 juice agar plates. Sporangia were papillate, ovoid to subspherical and caducous with a pedicel. Sporangia were 33.6-38.4 ${\times}$ 33.6$\mu\textrm{m}$ with 1/b ratio approximately 1.14, papillae 4-5$\mu\textrm{m}$ high, pedicels also 4-5$\mu\textrm{m}$ long. Oogonia were spherical, 28.8$\mu\textrm{m}$ in diameter. Antheridia were globose, 14.4$\mu\textrm{m}$ in diameter and mating with oogonia paragynously. Mycelia grew best at 30$^{\circ}C$ and did not grow at 35$^{\circ}C$ or above, and at 5$^{\circ}C$.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formed to P. cactorum (Leb. And Cohn) Schroeter.

  • PDF

Laf Blight of Peony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oral)

  • Kim, B.S.;Y.S. Lim;Kim, J.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7.3-128
    • /
    • 2003
  • A leaf blight disease was found on peony plants growing in the first author's apartment garden in May, 2003. A species of Phytophthora was isolated from the lesions. The isolate readily produced sporangia and sex organs on V8 juice agar plates. Sporangia were papillate, ovoid to subspherical and caduceus with a pedicel. Sporangia were 33.6-38.4 ${\times}$ 33.6$\mu\textrm{m}$ with 1/b ratio approximately 1.14, papillae 4-5$\mu\textrm{m}$ high, pedicels also 4-5$\mu\textrm{m}$ long. Oogonia were spherical, 28.8$\mu\textrm{m}$ in diameter. Antheridia were globose, 14.4$\mu\textrm{m}$ in diameter and mating with oogonia paragynously. Mycelia grew best at 30$^{\circ}C$ and did not grow at 35$^{\circ}C$ or above, and at 5$^{\circ}C$.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formed to P. cactorum.

  • PDF

Additional Description of the Vent Scale Worm Thermopolynoe branchiata (Polychaeta: Polynoidae) from the North Fiji Basin

  • Won-Kyung Lee;Geon Hyeok Lee;Se-Jong Ju;Se-Joo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1호
    • /
    • pp.47-52
    • /
    • 2023
  • Thermopolynoe Miura, 1994 is a monotypic genus in Lepidonotopodinae that comprises species endemic to chemosynthesis-based ecosystems. Here, we examined T. branchiata collected from the hydrothermal vents in the North Fiji Basin. For the first time in Thermopolynoe, we report sexual dimorphism detecting nephridial papillae on segments 11-13 in males, additionally describe the morphology on elytra with round to conical microtubercles on the surface, and distinguish presence of small neuropodial lobes on segments 3-26. We also revised couple of errors and ambiguities in the original description: incongruence between the description and figure and existence of individual variation in ratio of tentacular cirri and palps. In addition, three COI sequences of T. branchiata specimens from the North Fiji Basin were newly obtained and sequences divergence with other Lepidonotopodinae species were determined. Thes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the taxonomy of polynoids in a chemosynthesis-based ecosystem.

돼지악구충(Gnuhostoma hispidum) 제3기 유충의 표면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s of the third-stage larvae of Gnathostoma hispidum)

  • 손운목;이진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3호
    • /
    • pp.169-176
    • /
    • 1996
  • 중국산 수입 미꾸리에서 검출한 돼지악구충(Gnnthostoma hispidum)의 early third-stage larva($EL_3$)와 $EL_3$를 마우스에 실험감염시킨 후 4주에 회수한 advanced third-stage larva($AdL_3$)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미꾸리 및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충체들을 0.1 M cacodylate buffer로 몇 차례 씻고 2.5% glutar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였으며 탈수. 건조. 표면처리 등의 과정을 거친 후 한국 ISI사의 DS-l30C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 였다. 충체의 전단에는 반달 모양의 구순이 구강을 중심으로 좌우에 1쌍 돌출되어 있었으며 각 구 순에는 한 개의 작은 amphid를 중심으로 양쪽에 labial papillae가 한 개씩 존재하였다 Head bulb에 배열되어 있는 모든 소구들은 끝이 날카롭고 후방으로 휘어져 있었으며 갈고리 모양이었다. ELB의 전 체표면에는 가로주름(transverse striation)이 나 있었고 각 주름에는 피극(cuticular spine)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앞 부위 체표면에는 길이 약 $1.8{\m\textrm{m}}$의 둔단인 피극이. 중간부위와 후반부의 체표면에는 약 0.75Mn 길이의 피극이 배열되어 있었다. AdL3의 앞 부위 체표면에는 길이 약 4.5 pm의 끝이 뽀족한 피극이, 중간 부위에는 약 $1.75{\m\textrm{m}}$ 길이의 피극이 배열되어 있었으며 됫 부위 체표면에는 벨벳형의 체표주름(velvety cuticular folds)과 미세한 피극이 분포하였다. 충체의 정중면 7번과 8번 가로주름 사이에 한 개의 cewicalpapilla가 분포하였고 후방 약 114지점에서 한 개의 bodypapilla가 관찰되었다. 타원형 와 배설공은 17번과 18번 가로주름 사이에서 개구하였다. 이상에서 $EL_3$와 AdL3 간에 성장 발육 에 따른 미세구조의 차이는 인정되나 근본적인 것은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관찰된 특징적인 SEM 소견들이 악구충의 유충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산(韓國産) 문절망둑 속(屬)과 풀망둑속(屬) 어류(魚類)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A Taxonomic Study of the Genera Acanthogobius and Synechogobius (Pisces :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5
    • /
    • 1992
  • 한국산(韓國産) 문절망둑속(屬) 어류(魚類)를 망둑어과(科) 어류(魚類)의 중요(重要) 분류형질(分類形質)인 계수(計數) 계측형질(計測形質),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 등(等)에 근거(根據)하여 Acanthogobius속(屬)과 Synechogobius속(屬)으로 구분(區分)하였다. 따라서 종내(從來)의 A. hasta는 S. hasta로 분류(分類)되어 Acanthogobius속(屬)에는 A. elongata, A, flavimanus, A. lactipes 및 A. luridus의 4종(種), Synechogobius속(屬)에는 S. hasta 1종(種)이 출현(出現)하고 있음이 확인(確認)되었고, 종내(從來)의 S. ommaturus는 S. hasta의 synonym으로 밝혀진 바 이들 2속(屬) 5종(種)에 대해 각각(各各) 외부형태(外部形態), 계수(計數) 계측형질(計測形質),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 및 산란기(産卵期)를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계수(計數) 및 계측형질(計測形質)에 있어서 S. hasta는 등 뒷지느러미의 기조수, 횡열린수(橫列鱗數), 척치골수(脊稚骨數), 제(第)1등지느러미 신경간극(神經間棘)의 배열식(排列式), 제(第)1혈관극(血管棘) 전방(前方)의 혈관간극수(血管間棘數), 늑골수(肋骨數), 그리고 미병장(尾柄長) 및 미병고(尾柄高)에서, 또 성장(成長)함에 따라 몸의 각(各) 부위별(部位別) 측정비률(測定比率)에 일정(一定)한 변화(變化)를 나타내고 있는 점(點)에서 Acantho-gobius속(屬) 어류(魚類) 4종(種)과 뚜렷이 구분(區分)되었다. 또한 A. elongata는 체측정비(體測定比), 두부(頭部) 측선감각관(側線感覺管) 등(等)에서, 그리고 A. flavimanus는 종열린수(縱列鱗數), 횡열린수(橫列鱗數), 등지느러미 기점(起點) 전방(前方) 비늘수(數), 척치골수(脊稚骨數), 늑골수(肋骨數) 등(等)에서 동일속(同一屬) 어류(魚類) 3종(種)과 차리(差異)를 나타냈으며, A. lactipes와 A. luridus는 서로 아주 비슷한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부(一部) 계수(計數) 및 계측형질(計測形質)에서 차리(差異)를 보여주었다. 두부감각관계(頭部感覺管系)에 있어서는 다중공기열(多重孔器列)을 가지고 있는 S. hasta가 모두 단일공기열(單一孔器列)로 구성(構成)되어 있는 Acanthogobius속(屬) 어류(魚類) 4종(種)과 현저(顯著)히 구분(區分)되었으며, A. elongata는 전안견갑관(前眼肩胛管) 개공(開孔) D가 없고, A. flavimanus는 협부(頰部)에 횡열공기(橫列孔器)를 가지고 있어 동일속(同一屬) 어류(魚類) 3종(種) 및 S. hasta와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생식소숙도지수(生殖巢熟度指數) 조사(調査)에 의한 산란기(産卵期)를 추정(推定)한 결과(結果) A elongata가 3월말(月末)~6월말(月末), A. flavimanus가 1월(月)~4월(月), A. lactipes가 5월(月)~9월(月), A. luridus가 5월초(月初)~7월초(月初), S. hasta가 3월초(月初)~5월초(月初)로 5종(種) 모두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S. hasta는 산란기(産卵期)와 관연(關聯)되어 미병고(尾柄高)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청기산(淸肌散)이 아토피피부염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rapeutic Effects of Cheonggi-san Extract on NC/Nga Mice with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구영희;홍승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9-191
    • /
    • 2008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is a recurrent or chronic eczematous skin disease with severe pruritus,and has increased in Korea. Although the pathogenic mechanisms of atopic dermatitis are yet unknown, recently skin barrier dysfunction and hyperresponsive Th2 cells in the acute phase have been reported as important mechanisms. Cheonggi-san(CGS) is used in oriental clinics for treatingacute skin lesions of eczema or urticaria. There have been no studies on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CGS for curing atopic dermatitis. We aimed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of its internaluse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duced in NC/Nga mice by the mite antigen D. pteronyssinus and disrupting skin barrier. Materials and Methods : The NC/Nga mi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atopic dermatitis elicitated group(AD), and CGS treated group (CT).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were induced on the back of female NC/Nga mice, 12 weeks of age, by tape stripping, 5% SDS applied to disrupt skin barrier and painting 3 times a week with D. pteronyssinus crude extract solution for 3 weeks. CT was treated with CGS orally after atopic dermatitis was elicitated. We observed changes of skin damage, mast cells, substance P, angiogenesis, skin barrier, Th2 cell differentiation, nuclear factor-${\kappa}B(NF-{\kappa}B)$ p65 activation and COX-2 in NC/Nga mice with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Results : The skin damages as eczema were seenin AD, but mitigated in CT. The degranulated mast cells in dermal papillae increased in AD, but decreased in CT. The substance P positive reacted cells in CT remarkably decreased. The angiogenesis increased in AD, but decreased in CT. The decrease of lipid deposition and ceramide in AD was seen, but anincrease of lipid deposition and ceramide in CT was seen. The distribution of IL-4 positive reacted cells in dermal papillae increased in AD, but decreased in CT. The distribution of NF-${\kappa}B$ p65 positive reacted cells & COX-2 positive reacted cells in CT decreased. Conclusion :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the CGS per os decreases the dysfunction of the skin barrier, inhibits Th2 cell differentiation and inhibits NF-${\kappa}B$ p65 activation in NC/Nga mice with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PDF

치근단 병소를 가진 영구치의 보존적 치수 치료 (CONSERVATIVE ENDODONTIC TREATMENT OF PERMANENT TEETH WITH PERIAPICAL LESIONS : CASE REPORTS)

  • 윤영미;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6-283
    • /
    • 2011
  • 최근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단 유두에서 존재하는 미분화 줄기세포가 새로 발견되었고 이 줄기세포들은 치근 상아질의 형성에 관여하는 법랑모세포의 근원으로 보여진다. 미성숙 영구치를 다룰때 이 줄기세포들의 보존은 치근의 지속적인 형성을 완성시키게 한다. 따라서 치근단 염증을 동반한 미성숙 영구치에서 치근단의 최소한의 침습으로 임상 및 방사선적 치유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는 조선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만 10세 남아(하악 우측 소구치), 만 8세 여아(상악 좌측 소구치)에서 임상 및 방사선 검사결과 치수괴사와 치근단 농양으로 진단된 영구치에서 치근단부위의 기구조작을 제한하고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를 치수강내에 적용하였다. 정기적으로 관찰한 결과 치근단 농양의 치유와 치근 발육 및 성장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수괴사와 치근단 농양을 가진 영구치에서 치근단부위의 치수 및 치유두를 보호함으로써 관찰기간동안 양호한 예후를 보였으며, 이는 어린환자의 미성숙영구치에서 보존적 치수치료의 시도에 대한 보다 많은 임상적 검증 및 장기간의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Early weaning of calves after different dietary regimens affects later rumen development,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cattle

  • Reddy, Kondreddy Eswar;Jeong, JinYoung;Baek, Youl-Chang;Oh, Young Kyun;Kim, Minseok;So, Kyung Min;Kim, Min Ji;Kim, Dong Woon;Park, Sung Kwon;Lee, Hyun-Je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425-1434
    • /
    • 2017
  • Objecti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diets for early-weaned (EW) calves on rumen development, and how this affects fat deposition in the longissimus dorsi of adult Korean Hanwoo beef cattle. Methods: Three EW groups were established (each n = 12) in which two- week-old Hanwoo calves were fed for ten weeks with milk replacer+concentrate (T1), milk replacer+concentrate+roughage (T2), or milk replacer+concentrate+30% starch (T3); a control group (n = 12) was weaned as normal. At six months, 5 calves of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nd their organs were assessed and rumen papillae growth rates were measured. The remaining calves (n = 7 in each group) were raised to 20 months for further analysis. Results: Twenty-month-old EW calves had a higher body weight (BW), backfat thickness (BF), longissimus dorsi muscle area (LMA) and intramuscular fat (IMF) than the control (p<0.05). Organ growth, rumen histology,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in the 6-month-old calv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arbling in the loin, as assessed by ultrasound analysis (p<0.05). In the group fed the starch-enriched diet (T3), higher BW, BF, LMA, and IMF were present. The IMF beef quality score of 20-month-old cattle was 1+ for the T2 and T3 diets and 1 for the T1 diet (p<0.05). Conclusion: Papillae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alves fed on high-concentrate diets and this may have resulted in the improved beef quality in the EW dietary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In vitro 및 in vivo에서 검은콩 추출물의 육모 효과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Black Soybean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 전희영;김승훈;김채욱;신현정;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47-75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검은콩의 육모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은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유두 세포의 성장 촉진과 모세혈관 확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C57BL/6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검은콩 추출물의 경구 섭취가 모발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2% minoxidil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검은콩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모세혈관을 확장 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우수한 성장기 모낭 유도 촉진 효과를 통해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액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고 혈중 중성 지질을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 혈액을 맑게 하고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어 육모 및 모발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검은콩 추출물의 우수한 육모 효과를 확신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의 인체 효능 평가와 검은콩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을 규명하는 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민간에서 널리 알려진 검은콩의 육모 촉진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검은콩 추출물이 혈액 순환 개선 및 모발 성장 주기 조절을 통해 모발 건강 개선 및 육모 촉진제로써 이용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