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per mill sludg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1초

제지(製紙)슬러지와 연탄재가 들잔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Paper Mill Sludge and Briquet Ash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 구자형;김태일;안주원;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53-160
    • /
    • 1992
  • 잔디상토로서 제지슬러지와 연탄재의 이용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를 공시재료로하여 모래와 슬러지, 연탄재와 슬러지의 배합비율을 각각 3:1, 2:1, 1:1, 1:2, 1:3(V/V)으로 혼합하여 잔디의 생육과 적정 배합비율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활성슬러지는 대조구에 비해 초장, 생체중, 건물중을 2배이상 증가시켰으며, 모래와의 혼합비율간에는 슬러지가 67%혼합된 1:2구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다. 2. 단위면적당 shoot의 밀도는 모래와 활성슬러지의 혼합비율간에 큰 차이가 없이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많았으며, 엽록소함량은 활성슬러지가 적게 혼합된 3:1, 2:1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슬러지의 함유량이 50%이상인 1:1, 1:2, 1:3구에서는 증가를 보였다. 3. 생슬러지는 대조구에 비해 잔디 생육이 저조하고 슬러지가 많이 함유된 1:3구에서는 파종잔디의 생육이 어려웠으나 엽록소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영양번식을 하였을 경우 분얼증가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거나 약간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4. 연탄재와 활성슬러지의 혼합구는 모래 혼합구에 비해 잔디의 초장이 다소 적었으나 shoot의 밀도는 비슷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초장, 단위면적당 밀도, 생체중, 건물중, 분얼수가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연탄재와 생슬러지의 혼합토양은 파종된 잔디의 생육에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번식 잔디의 분얼을 대조구보다 증가시켰다.

  • PDF

백상지 슬러지의 소성처리에 의한 재활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cycling of sludge originated from a copy paper mill by calcination)

  • 조준형;최윤성;박규현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1호
    • /
    • pp.1-6
    • /
    • 2010
  • Paper industry in Korea produces 14 million tons of paper and 1.3 million tons of sludge per year. Most of them has been treated by incineration, landfilling or ocean dumping. The sludge recycling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so its importance is highligh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 new way of recycling the sludge, it was calcined and the recycled ash was tried to use as papermaking filler. Concerning the yield of calcium carbonate and the brightness and the rheology of the recycled calcination sludge, the optimum calcination conditions were found to be $600^{\circ}C$ and 12 hours. The sludge ash itself was not suitable for papermaking due to its color and low brightness. Thus the ash from the sludge was first mixed with a commercial filler and then utilized for papermaking. The effect of the increased hardness after high temperature treatment on wire abrasion was confirmed.

Studies on Environmental Impact of Pulp and Addtives in Liner Papermaking

  • Seo, Jin-Ho;Kim, Hyoung-Jin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PAN PACIFIC CONFERENCE vol.2
    • /
    • pp.441-444
    • /
    • 2006
  • A lot of water is using in the paper mill for dilution, washing, sealing, and other process operation. As the regulation of water environment has been more tightened than ever before, water management in the paper mill becomes the most important task. Topics on reducing fresh water and increasing recycling water have been studied. Further, an interest in zero-effluent system has been increased. The pH of waste water in paper mill is usually weak acidic or neutral. The waste water in the paper mill includes water insoluble organic materials that are not easy to be dissolved in the water, inorganic materials that never react with water and chemical additives that are used to recycled fiber.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effect of various materials used in paper mill on COD. This data could be used to control the environmental load in paper mill. COD caused by raw materials and NBDCOD (Non Bio Degradable COD) after the activated sludge process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a simulation program designed to control environmental load in the paper mill.

  • PDF

제지슬러지의 시용이 묘포의 단풍나무 초기생장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pplication on Early Growth of Acer palmatum Thunb.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Nursery)

  • 박현;이돈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5
    • /
    • 1998
  •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은 떠오르는 연구분야로서, 슬러지와 같은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 폐자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그러나, 완숙기법은 시간 및 공간적인 문제와 연관된 경제성문제로 인하여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서, 속성부숙기법이나 미숙된 슬러지의 활용방법이 준비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임업에서의 슬러지의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단풍나무 묘포장에 슬러지를 살포할 때 적합한 양과 시기를 찾아보고자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지공장의 슬러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질산암모늄을섞어 탄질률을 40이하로 낮추었다. 최대 살포량은 1 ha당 년간 7톤에 달하였으며, 살포시기는 봄과 늦여름이었다. 슬러지 살포는 1년동안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없었다. 슬러지 처리가 토양의 화학성에 특기할만한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였으므로 처리한 슬러지의 양은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기에는 너무 적은 양이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토양수는 늦여름에 슬러지를 처리한 조사구에서 구리의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하수 오염의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슬러지의 처리시기를 신중하게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단기적인 결과를 얻기 보다는 산림생산성과 같은 장기적인 개념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슬러지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소량의 미숙한 슬러지를 생육기에 임업묘포나 산림지역에 살포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

  • PDF

제지공장용 열병합발전시스템에서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합리적 운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Rational Operation Scheduling Using Genetic Algorithms on Cogeneration System for Paper Mill)

  • 최광범;이종범;정지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A
    • /
    • pp.291-293
    • /
    • 1999
  • This paper proposed the optimal operational scheduling of cogeneration system for paper mill connected with several auxiliary devices. Auxiliary devices that include auxiliary boilers, waste heat boilers and sludge incinerators operate with multi-cogeneration systems. Especially environment element was considered in objective function to solve the environment problem. And GAs(Genetic Algorithms) was applied to optimize and to analyse nonlinear operational property of cogeneration system of paper mill connected with several auxiliary devices. C-language was used to GAs computation. Electricity can be purchased through power system from utility. The proposed operational strategy on cogeneration system for paper mill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can be applied to the similar cogeneration system of industrial field.

  • PDF

제지 슬럿지 소각회를 이용한 인공골재 생산공정개발 (Development of Product System on Artificial Aggregate using of Paper Sludge Ash)

  • 백명종;박칠림;소양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9-75
    • /
    • 1997
  • This studies regarding deveolpment of product system on artificial aggregate using of Paper Sludge Ash that waste production at paper-making mill. Expecially this paper discribes development of product system using centrifugal mixer plant. The skills of this product system on artificial aggregate using of Ash can be spread Fly-Ash, powder and fine aggregate (under 5mm) of waste concrete reuse.

  • PDF

제지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열분해 특성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Sludge Discharged from Paper Mill Process)

  • 고재철;김승호;박영구;전제열;김진호;박준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1호
    • /
    • pp.80-87
    • /
    • 2009
  • 본 연구는 제지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소성온도에 따른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제지슬러지의 수분, 가연분 및 회분 함량은 각각 70.72%, 9.52%, 19.76%로 나타났다. 제지슬러지에는 $Fe_2O_3$가 66.40%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aO(15.80%), $Al_2O_3$(9.42%), $SO_3$(3.75%)와 그 밖에 $SiO_2$, $Na_2O$, $Cr_2O_3$ 등도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소성 전 보다 소성 후 그리고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Fe_2O_3$$Cr_2O_3$를 제외한 다른 원소들의 상대적 함유량은 약간씩 감소하였다. 소성 전 제지슬러지의 비표 면적은 $130m^2/g$이었으며, $400^{\circ}C$$700^{\circ}C$에서 소성한 슬러지의 비표면적은 각각 $114m^2/g$$33m^2/g$으로 소성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비표면적 값이 감소하였다. 열중량 분석 결과 $600^{\circ}C$까지는 결합수와 유기물 분해에 의한 중량 감소가 나타났으며, $800^{\circ}C$ 이후에는 금속들의 휘발 및 미연탄소분 연소에 의한 중량감소가 나타났다.

  • PDF

하수슬러지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줄지렁이(Eisenia fetida savigny)의 섭식효율 및 생장 (Feeding efficiencies and growth rates of tiger worms(Eisenia fetida Savigny) when they were fed with differently pretreated sewage sludges)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4호
    • /
    • pp.66-78
    • /
    • 2003
  • 갓 발생한 하수슬러지를 전처리 없이 줄지렁이에게 급이할 경우 하수슬러지 발생지역과 무관하게 슬러지 급이 32일~45일 경과후 지렁이 개체군의 치사현상이 일어났다. 하수슬러지내 중금속, 고분자 유기응집제(폴리아크릴 아마이드) 또는 미생물 생체가 직접적인 독성 물질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슬러지를 수분률 65%가 되도록 제지슬러지와 혼합하여 21일 이상 부숙시킨 먹이에서는 지렁이 개체군에 대한 생태독성 현상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하수슬러지에 인분케익을 혼합하여 부숙시킨 먹이를 공급한 경우보다 지렁이의 폐기물 처리속도와 지렁이 생체량 증가율이 높았다.

  • PDF

시멘트 혼화재로서 제지슬러지 소각재의 재활용 특성 (A Study on the Reusability of Incinerated Paper Mill Sludge Ash as Cement Additive)

  • 주소영;연익준;이민희;박준규;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2호
    • /
    • pp.34-4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abilization disposal and recycling on incinerated paper mill sludge ash as cement additives. It was investigated chemical(pH, ICP, TGA XRD) and physical(PDA, SEM) characteristics of the incineration ash. And the pozzolanic characteristics of incineration ash was applied to cement as additiv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results were that the pH characteristic of incineration ash was strong alkalinity, the content of silica and alumina as a pozzolanic material was 50.97%,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5.03{\mu}m$ respectively. When the ash contents as cement additive were varied in 0~15%(wt) of cement weight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n the solidified cement mortar, the proper amount of the incineration ash substituted was about 5~l0%(wt). Therefore we found that using the incineration ash as cement additive obtains the recycling of waste material, the stabilization disposal, the reduction of waste disposal expense, and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too.

제지(製紙)슬러지의 답토양(畓土壤)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in submerged Soil)

  • 최종우;조정례;이규승;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87-193
    • /
    • 1992
  • 신개간 논토양에 제지슬러지를 3년간 시용한 논토양의 개량효과와 토양 column에 처리한 슬러지의 용탈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지슬러지 2년과 3년 연속시용으로 무시용 토양에 비하여 토양 심층의 성상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질소, 인산, 칼리, CEC 및 유기물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2) 슬러지시용에따라 토양의 갈색층이 무처리(10cm), 2년시용(15cm) 그리고 3년시용(20cm)으로 토양의 부식화가 촉진되었다. 3) 슬러지시용 토양의 토심 10-20cm 층위에서 유기물함량은 3년시용(1.75%) 2년시용(1.39%) > 무시용(0.9%)의 순으로 슬러지 시용효과를 보여주었다. 4) 토양 column 용탈실험 결과 슬러지 시용으로 모든 양분의 보유능이 증가하였으며,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