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liative care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31초

기정 호스피스 팀 기록지 개발 (Development of Records for Home Hospice Care Team)

  • 이종은;한성숙;박재순;유양숙;최상옥;이미송;김성은;이선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1호
    • /
    • pp.12-29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팀원들이 각자의 전문영역에서 중복되지 않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록지를 개발하여 호스피스 대상자들에게 적절한 돌봄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초기 개발된 기록지를 근거로 문헌 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는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결과: 각 전문가별로 총 27명의 자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11가지 가정 호스피스 팀 기록지가 개발되었다: 등록기록지, 초기 평가기록지 (의사용), 경과기록지(의사용), 방문 기록지 (간호사용, 봉사자용), 영적돌봄 초기 면담지, 방문 기록지 (사목자용),사회적 돌봄 면담지 (사회복지사용), 사별가족 초기 면담지, 사별가족 돌봄 기록지, 종결 기록지.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11종의 호스피스 팀 기록지는 가정호스피스 팀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 PDF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Doctor's Perception and Referral Barriers toward Palliative Care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 이재리;이정권;황선진;김지은;정지인;김시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1호
    • /
    • pp.10-17
    • /
    • 2012
  • 목적: 완화의료를 위해서는 완화의료 대상자에 대한 판단을 하고 완화의료를 직접 시행하거나 완화의료에 자문/의뢰하는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의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10년 5월부터 6월까지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전문의 477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 기입식 웹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총 128명(26.8%)이 응답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모든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에게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3차 의료기관 및 암센터는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진행 암환자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중이더라도 완화의료를 받아야 한다.', '말기암환자의 치료에는 여러 과의 협력이 필요하다.'에 동의하였다. 완화의료 수행능력에 대해서는 58% 이상이 자신이 하고 있는 신체 증상 조절 및 정신증상 조절, 말기암환자 가족의 정서적 지지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전반적인 말기암환자 및 임종 환자 관리 서비스는 64%에서 '만족스럽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 중 34명(26.6%)은 '자신의 말기암환자를 완화의료팀으로 자문'하거나 '의뢰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완화의료 의뢰의 장애 요인으로 '환자나 보호자의 거부'가 61명(47.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믿고 의뢰할 수 있는 완화의료팀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의사가 59명(46.1%)으로 많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암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의사들은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 시행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말기암환자 진료에 있어 다학제 간 협력이나 임종관리까지 충분한 완화의료의 제공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말기암환자의 관리를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완화 의료 자문이나 의뢰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Hospice Palliative Care in South Korea: Past, Present, and Future)

  • 김현숙;홍영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99-108
    • /
    • 2016
  • Hospice palliative care (HPC) in Korea has developed steadily since its introduction in 1965. Currently, HPC in Korea is targeted only towards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covers only inpatient hospice care for said patients. In recent years,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olicy makers began to recognize the need for HPC services in diverse settings including outside hospital boundaries, and for all terminally-ill patients. A law on HPC passed in January 2016 allows terminally-ill patie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will likely facilitate further development of HPC services. It is critical for the government and all interested parties in the medical, academic and social sectors to collaborate to ensure its success once it takes effect in 2017. This article will briefly review the half-century history of HPC in Korea, and discuss how to prepare for and cope with death and, thereby,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Dignity and Dignity Therapy in End-of-Life Care

  • Yoojin Lim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6권3호
    • /
    • pp.145-148
    • /
    • 2023
  • Preserving dignity is a significant concern for individuals approaching the end of their lives, as they face an increasing number of conditions that can potentially compromise their dignity. This article discusses dignity therapy as one intervention method aimed at enhancing th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of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es. Dignity therapy is an empirically supported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interviews patients with nine questions about what is important to them and what they want to remember, culminating in the production of a document based on these conversations. This intervention serves as a valuable tool and framework, enabling clinical professionals to reflect on dignity. It also provides clinicians with a medium to connect with patients on a deeply human level.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in Japan: A Japan Society of Gynecologic Palliative Medicine (JSGPM) Survey

  • Futagami, Masayuki;Yokoyama, Yoshihito;Sato, Tetsumi;Hirota, Kazuyoshi;Shimada, Muneaki;Miyagi, Etsuko;Suzuki, Nao;Fujimura, Masa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637-4642
    • /
    • 2016
  • Purpose: To evaluate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in Japan. Materials and Method: A questionnaire asking facility characteristics, systems to coordinate palliative care, current status of end-of-life care, provision of symptom relief,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nd cases of death from gynecological cancer, was mailed to facilities treating gynecologic cancer. Results: A total of 115 facilities (29.3% of the tota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these, 33.0 (29.0%) had a palliative care ward. End-of-life care was managed by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in 72.0% of the facilities. The site where end-of-life care was provided was most often a ward in the department where the respondent worked. The waiting period for transfer to a hospice was 2 weeks or more in 52% of facilities. Before the start of primary treatment, pain control was managed by obstetrians and gynecologists in 98.0% of facilities.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or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at 93.9% and 92.0% of facilities, respectively. Of the 115 facilities, 34.0 (29.6%) reported cases of death from gynecological cancer. There were 1,134 cases of death. The median time between the last cycle of chemotherapy and death was 85 days for all gynecological cancers. The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the last 30 and 14 days of life were 17.4% and 7.1%,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large-scale survey showed characteristics of palliative care given to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in Japan. Assessment of death cases showed that the median time between the last cycle of chemotherapy and death was relatively short.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태도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of Korea)

  • 강경아;김현숙;권소희;남미정;방경숙;유수정;정연;최성은;정복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89-300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말기아동 간호에 대한 교육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인 ELNEC-PPC에 참여한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PPC)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2012년 ELNEC-PPC 교육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등록한 간호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서명날인 후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20문항의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학력수준과 소아과병동 및 호스피스 근무경험에 따라 PPC에 대한 지식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소아과 근무경험, PPC 경력 및 교육경험 이수 정도에 따라 소아 호스피스완화의료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기혼 간호사는 자녀의 완화의료서비스 결정에 대한 보호자의 권리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석사 이상군은 PPC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가 높았다. 결론: PPC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부산시민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of the Citizenry of Busan)

  • 백정원;김숙남;최순옥;류지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5-97
    • /
    • 2016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hospice and the perceptions on the need for visiting palliative care and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of the citizens of Busan we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spice system based on the needs of the citizenry of Busan by seeking solutions for current hospice strategies. Methods : One thousand Busan citizens from 20 to 80 years of age were surveyed in this study. Results : Busan citizens defined a good death as spending less than one month of time in the actual process of dying at home between the ages of 80-89 years. They knew about hospice a little and were aware of its necessity. They also knew about the necessity of visiting palliative care and were interested in receiving it when appropriate but did not know much about it. Conclusions : Firs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Busan citizens' expectations on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and what a good death really is. Second, Hospice 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to the community. Third, the older the patient is, the more palliative care visits are necessary. Fourth, 40s and 50s must make preparations for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future.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Service Status and Employee Awareness of Hospice&Palliative Care on the Long-term Care Hospital)

  • 조현;심은경;임희영;이소정;전효정;허현점;오수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8-436
    • /
    • 2017
  • 본 연구는 B 광역시와 K시에 소재하는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의 조사에 목적이 있다. 13개 요양병원의 종사자들 183명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한 달 동안 연구자들이 기관을 방문하여 관련 자료를 직접 조사하였고 조사대상자들의 인식 및 활성화 방안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기관 13개 중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은 9개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한 해 1회 실시되고 있었다. 183명 대상으로 조사한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이수자는 저조하였으며(20.9%) 주로 병원프로그램의 한 유형으로 시행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종사자들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개념은 인지하고 있었고 좋은 프로그램이라 생각하며 시행되기를 바란다고(81.9%) 응답하였다. 그러나 호스피스 완화의료가 시행되지 못하는 이유는 '수행할 인력이 부족하다(50.8%)', '호스피스 완화의료 프로그램을 잘 몰라서(25.4%)' 등으로 나타났고 이에 개선방안 및 활성화로 '보험수가 도입(15.8%)', '서비스 교육(15%)' 그리고 '정부의 재정적 지원(14%)'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