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Records for Home Hospice Care Team

기정 호스피스 팀 기록지 개발

  • Lee, Jong-Eun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Han, Sung-Suk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Park, Chai-Soon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Yoo, Yang-Sook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Choe, Sang-Ok (Hospice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angnam St Mary's Hospital) ;
  • Lee, Mi-Song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Kim, Seong-Eun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 Lee, Sun-Mi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 이종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한성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박재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최상옥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
  • 이미송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김성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 이선미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8.03.01

Abstract

Purpose: To develop the standardized record forms for home hospice team members, made up of nurse, doctor, social worker, minister and volunteer, to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efficiently in their specialized field.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revising and complementing initially developed record forms by obtaining content validity from the experts in each field. Results: Reflecting total 27 experts' opinions, final 11 types of home hospice team documents (registration form, visiting record form for a nurse, initial assessment form for a doctor, progress note for a doctor, initial assessment form for spiritual care, visiting record form for a minister, care note for social worker, visiting record form for a volunteer, final summary note, initial assessment form for bereaved family, and follow-up record form for bereaved family) have been developed.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initiated of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home hospice team members and enhanced quality of home hospice service and its records.

목적: 본 연구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사목자,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팀원들이 각자의 전문영역에서 중복되지 않으면서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록지를 개발하여 호스피스 대상자들에게 적절한 돌봄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초기 개발된 기록지를 근거로 문헌 고찰과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는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결과: 각 전문가별로 총 27명의 자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11가지 가정 호스피스 팀 기록지가 개발되었다: 등록기록지, 초기 평가기록지 (의사용), 경과기록지(의사용), 방문 기록지 (간호사용, 봉사자용), 영적돌봄 초기 면담지, 방문 기록지 (사목자용),사회적 돌봄 면담지 (사회복지사용), 사별가족 초기 면담지, 사별가족 돌봄 기록지, 종결 기록지.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11종의 호스피스 팀 기록지는 가정호스피스 팀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