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ing phas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9초

파속류의 잔류농약분석과정에서 silver ion-silica solid phase extraction에 의한 황화합물의 제거 효율성 (Efficiency of Silver Ion-Silica Solid Phase Extraction for Elimination of Sulfur Compounds during Pesticide Multiresidue Analysis in Allium Species)

  • 박진우;문경미;최영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0-65
    • /
    • 2010
  • 파속류에 다량 함유된 황화합물들은 GC/ECD에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이 농산물들의 잔류농약분석에서 방해 물질로 작용하여 농약성분의 분리정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 잔류농약분석에서 정제법으로 여러 가지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이 개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황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20% 질산은($AgNO_3$)용액 3 ml을 Florosil cartridge (1 g packing, 6 ml tube)에 처리한 은이온흡착 cartridge (silver nitrate impregnated florosil cartridge)를 조제하였다. 이 cartridge를 이용하여 파속류 각 2, 4, 6 및 10 g에 해당하는 추출액을 고상추출법으로 정제한 결과, 양파 6 g, 대파 4 g, 쪽파는 4 g 까지는 황화합물의 95% 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40종의 농약을 각 파속류에 첨가하고 이 cartridge에서 유출하여 회수율을 분석한 결과 34종이 70~120%의 범위 안에 들었다.

세라믹 제조시 미세구조 변화의 해석 : I. 콜로이드 분산의 상거동 (Analysis of microstructural evolutions during advanced ceramics processing : I. Phase behavior of colloidal dispersion)

  • Kim, Hern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99-609
    • /
    • 1997
  • 콜로이드 분산의 상거동 및 동적 운동 및 형성되는 침적체의 구조와 물성은 전산실험법으로 조사되었다. 다양한 물성과 공정조건들은 Peclet수를 사용하여 조사될 수 있다. 형성된 구조는 구조인자 및 반경방향 분포함수로서, 물성은 계면의 궤적선도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침적체의 형성 조건과 구조가 조사되었으며 침적시간과 높이에 따른 구조와 물성이 조사되었다. 침적체가 결정구조를 갖는 최적 Peclet수의 범위가 있으며 결정화와 관련된 현상들은 공정조건에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다. 현 방법과 결과들은 고밀도 침적체의 제조시 세라믹 미분체 공정을 설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선회류 생물학적 유동상의 최적 메디아 충전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Packing Volume of Media in Swirl Flow Biological Fluidized Bed)

  • 최두형;김환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31-340
    • /
    • 2000
  • 기존의 2상 생물학적 유동상은 산소 공급의 한계 및 유동 분산판 폐쇄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상의 선회류 유동상을 고안하여 그 운전특성을 연구하였다. 합성 폐수의 평균 TOC농도는 약 $70mg/{\ell}$($62{\sim}84mg-TOC/{\ell}$)이었고, HRT는 1.6시간, 평균입경이 0.397 mm인 모래의 충전량을 200에서 $600m{\ell}/{\ell}$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며, 미생물의 농도 및 처리 수질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유동상 반응기의 분산장치의 폐색과 산소공급의 제한 등 연속운전에 지장을 주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실험 기간 중에 반응조의 DO의 농도는 $3mg/{\ell}$이상을 유지할 수 있었으며, TOC 제거율은 91~94 %, MLVSS농도는 $2,360{\sim}3,860mg/{\ell}$, F/M 비는 $0.59{\sim}1.04kg-TOC/kg-MLVSS{\cdot}day$, 생물막의 두께는 $35{\sim}71{\mu}m$, Media-g당 MLVSS는 8.4~17.3 mg/g, 그리고 슬러지 발생량은 $1.08{\sim}2.35kg-SS/m^3{\cdot}day$의 변화를 보였다. 충전량에 따른 MLVSS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충전량이 $400{\sim}450m{\ell}/{\ell}$일 때 MLVSS농도를 가장 높게 유지할 수 있었고, Media-g당 MLVSS농도 측면에서는 충전량이 $250m{\ell}/{\ell}$일 때 가장 높은 농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유출수의 SS는 $350{\sim}450m{\ell}/{\ell}$에서 낮게 나타났다. 적정 처리효율에서 F/M 비가 낮고, 슬러지 발생량이 적은 최적조건에서의 생물막의 두께는 약 $54{\mu}m$, g-Media당 MLVSS의 농도는 13 mg이였으며, 충진량은 $350{\sim}400m{\ell}/{\ell}$(35~40%)임을 알 수 있었다. 최적 충전 상태에서 광학 현미경으로 Media를 관찰할 때 Epistylis sp.의 고착성미생물을 일부 관찰할 수 있었으며, Media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결과 구균류가 부착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Ferroelectric and Antiferroelectric Behavior in Chiral Bent-shaped Molecules with an Asymmetric Central Naphthalene Core

  • Lee, Seng-Kue;Tokita, Masatoshi;Shimbo, Yoshio;Kang, Kyung-Tae;Takezoe, Hideo;Watanabe, Junj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12호
    • /
    • pp.2241-2247
    • /
    • 2007
  • A new series of chiral bent-shaped liquid crystals with an asymmetric central core based on 1,6- dihydroxynaphthalene and chiral terminal chain prepared from (S)-(?)-2-methyl-1-butanol, 1,6-naphthalene bis[4-(4-alkoxyphenyliminomethyl)]benzoates [N(1,6)-n-O-PIMB(n-2)*-(n-4)O (n = 8-11)] were synthesized. Their mesomorphic properties and phase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electro-optical, polarization reversal current, and second harmonic generation measurements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lecular structure and phase structure. All odd n (n = 9 and 11) compounds, N(1,6)-9-O-PIMB7*-5O and N(1,6)-11-O-PIMB9*-7O exhibit antiferroelectric phase, whereas even n (n = 8 and 10) compounds was flexible, N(1,6)-10-O-PIMB8*-6O exhibits the ferroelectric phase but N(1,6)-8-O-PIMB6*-4O exhibits the antiferroelectric phase. These results come from the decrease of the closed packing efficiency within a layer and the lack of uniform interlayer interaction between adjacent layers, which were caused by the asymmetrical naphthalene central core. Thus, we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central core as well as the terminal chai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emergence of particular polar ordering in phase structures.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묘제 전개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the Changing Nature of Tombs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of Gyeongju in the Early Silla Phase)

  • 최병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154-201
    • /
    • 2016
  • 고대국가 신라가 성립하고 발전한 신라 조기와 전기에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었을 뿐만 아니라 신라 전체의 중앙의 중심고분군으로 기능하였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신라 고분문화 변동의 진원이었으며, 따라서 신라 고분문화 전개과정의 이해는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고분과 묘제들에 대한 실상의 파악이 그 출발점이다. 이글은 월성북고분군을 비롯하여 경주지역에서 전개된 신라 전기 고분문화의 전개과정을 살피려는 작업의 시작으로 작성되었다. 사로국 후기부터 목곽묘가 축조되어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 된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의 발생에 이어 신라 전기에는 적석목곽분이 출현하여 그 중심 묘제가 되었다. 적석목곽분은 매장주체부인 목곽, 목곽 주위의 사방적석에 더해 목곽의 뚜껑 위에 가해진 상부적석과 호석으로 보호된 고총 봉토가 묘광 내 목곽과 사방적석, 그 위의 저봉토로 이루어진 석재충전목곽묘와 차별화 된 것이다.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적석목곽분이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두 유형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며, 신라 조기 이래의 석재충전목곽묘와 점토충전목곽묘, 토광묘도 공존하였고, 신라 전기에 새로 발생한 수혈식석곽분도 축조되었다. 그러나 그 중 고총으로 조영된 것은 적석목곽분 뿐이었으며, 묘제들 사이에는 그 외 고분의 입지, 묘곽 형식의 분포, 구조 각부의 축조기법과 규모에서도 차등이 있었다.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부터 진행된 묘제 사이의 위계화가 신라 전기에는 한층 더 강화되었던 것이다.

세라믹 제조시 미세구조 변화의 해석:II. 단분산 입자계의 진동성형 (Analysis of microstructural evolutions during advanced ceramics processing: II. Vibratory deposition of monodisperse particulate system)

  • 김호연;김헌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05-611
    • /
    • 1998
  • 단분산 입자계의 진동성향시 공정조건에 따라 형성되는 침점체의 미세구조와 물성을 분석할 수 있는 전산실험 모델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진동성형 변수들인 진폭(amplitude), 침적시간(frequency), 진동횟수(cycle)가 형성되는 침적체의 회절구조 및 충전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형성되는 침적체의 비결정상으로부터 결정상으로의 상변이 조건이 결정되었다. 모델의 결과는 실제 실험결과를 만족시키는 진동횟수와 충전밀도의 경험식과도 부합하였다. 현 모델은 진동성형시 침적체의 조밀화 현상과 결정화 현상을 조사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 PDF

소각재 용융슬래그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s using Melting Slag of Incinerator Ash)

  • 유승철;김환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13-420
    • /
    • 2008
  • In order to utilize cinder melting slag as a filter media to control the quality of early rainwater, its environmental stability was verified by heavy metal elution experiment and improved by pre-treatment. Possibilities of improving its function as an absorbent was considere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melting slag before and after the pre-treatment were analyzed by heavy metal equilibrium and stationary-phase column experiments, which in turn were analyzed by comparison experiment with activated carbon. As a result of heavy metal elution experiment, every metal item existed in a much lower amount than the criteria or was not detected, implying that there is no problem recycling it. Absorption equilibrium experiment showed that the time for pre-treatment melting slag to reach the equilibrium was reduced, while the absorbed amount was greatly increased. Stationary-phase column experiment assures us that the elimination rate was not changed much by influx rate, pH and the change in packing volume rate, indicating that this melting slag can be used not only as a filter media to control the quality of early rainwater but also in many areas of water-processing.

Conformational Transition of Poly(γ-benzyl-L-glutamate)-Poly(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in Bulk

  • Choi, Young-Wook;Park, Young-Mi;Choo, Jae-Bum;Cho, Chong-Su;Sohn, Dae-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795-799
    • /
    • 2007
  • The bulk properties of poly(γ-benzyl-L-glutamate)-poly(ethylene glycol), PBLG-PEO, diblock copolymer were investigated. The helical transition from 7/2 to 13/5 for pure PBLG was at 120 oC while those of GE-1 and GE-2, which contain flexible PEO block 40 wt% and 60 wt% respectively, were shown at 135℃ on DSC experiments. FT-IR and XRD experiments were shown that the diblock copolymers maintained their α-helical structure in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25℃ and 175℃. Increasing relative size of coil part resulted in the increase of intermolecular packing distances. Due to well-maintained helical structure, lyotropic LC phases were observed for the PBLG-PEO block copolymer by the polarized optical microscope (POM). Especially, GE-3 copolymer, which has 12.5 wt% PEO contents, showed the smectic C phase. The competition of favorable aggregation energy between rod-rod and coil-coil, and unfavorable aggregation energy of rod-coil give rise to change the supramolecular structure in mixed solvent.

Chain Ordering Effects in the Nematic-Isotropic Phase Transition of Polymer Melts

  • Han Soo Kim;Hyungsuk Pak;Song Hi L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2호
    • /
    • pp.199-206
    • /
    • 1991
  • A statistical thermodynamic theory of thermotropic main-chain polymeric liquid crystalline melts is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ttice model by a generalization of the well-known procedure of Flory and DiMarzi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silenko et al., the theory of orientational ordering in melts of polymers containing rigid and flexible segments in the main chain is taken into account. When the ordering of flexible segments in the nematic melt is correlated with that of rigid mesogenic groups, the former is assumed to be given as a function of the ordering of rigid mesogenic cores. A free energy density that includes short-range packing contributions is formulated. The properties of the liquid-crystalline transiton are investigated for various cases of the system. The results calculated in this paper show not only the order-parameter values but also the first-order phase transition phenomena that are similar to those observed experimentally for the thermotropic liquid-crystalline polymers and show the transitional entropy terms which actually increase upon orientational ordering. In the orientational ordering values, it is shown that mesogenic groups, flexible segments, and gauche energy (temperature) may be quite substantial. Finally, by using the flexibility term, we predict the highly anisotropic mesophase which was shown by Vasilenko et al.

Crude N2O로부터 정제된 N2O 분리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2O Separation Process from Crude N2O)

  • 조정호;이택홍;박종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467-473
    • /
    • 2005
  • 액상의 아산화질소($N_2O$) 혼합물은 주요 불순물로써 공기, 일산화탄소, 수분, 이산화탄소와 NOx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저온에서 고체화하여 고 순도의 $N_2O$를 얻어내는 것은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식 증류공정에 기초하여 고 순도의 $N_2O$ 제품을 얻어내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였다. 99.999% 이상의 고 순도의 $N_2O$ 제품을 얻어낼 수 있는 연속식 증류공정을 모델화하기 위하여 intalox wire guaze 타입의 SCH-80S의 충진탑을 사용하였다. Peng-Robinson 상태방정식을 사용하여 연속식 증류탑과 냉동 사이클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전산모사 결과는 상용성 화학공정모사기인 Aspen Plus로 모사한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