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hymeniopsis s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Pachymeniopsis sp.의 폐수 내 가용성 비소 제거 가능성 평가 및 토양세척공법에의 적용 (Removal of Arsenic in Waste Water using Pachymeniopsis sp. and Its Application to Soil Washing Process)

  • 정현규;김유범;최상일;김선구;김휘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2호
    • /
    • pp.6-11
    • /
    • 2011
  • In this report, we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that heavy metal ions could be removed using Pachymeniopsis sp., particularly soluble arsenic in leachate from soil contaminated by arsenic. We performed pilot scale of soil washing process based on our results. The adsorption of arsenic by Pachymeniopsis sp. indicated that it could be described with the Langmuir Model and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pH 3: 102.48 mg/g, pH 5: 98.32 mg/g, pH 7: 57.70 mg/g, pH 9: 43.34 mg/g) and increasing temperature (10$^{\circ}C$ : 60.38 mg/g, 20$^{\circ}C$ : 76.39 mg/g, 30$^{\circ}C$ : 112.12 mg/g). Our results revealed that soluble arsenic in leachate was removed from 24.03 mg/L to 0.6 ${\pm}$ 0.1 mg/L by Pachymeniopsis sp. for 48hours on pilot scale of soil washing process.

자외선이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Overview of UV-B Effects on Marine Algae)

  • 한태준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1-9
    • /
    • 1999
  • 산업활동의 부산물인 chlorofluorocarbons(CFCs)와 같은 물질들의 대기권 유입으로 오존층의 파괴가 극심해짐에 따라 자외선의 지표유입량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는데, 특히 중파자외선의 증가는 DNA, 단백질, 지질 등에 의한 흡수를 통하여 생물학적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근 측정 결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해수표면에 도달되는 중파자외선 광량의 1%가 수심 l0 m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해양생태계 생산성의 대부분이 해양 수심의 상위 2.5%에 해당되는 투광대에 의존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자외선에 의한 막대한 생태학적 폐해를 예견하게 해준다. 실내배양실험 연구에서 중파자외선은 대형해조류의 생장 및 광합성을 억제하고 광합성 색소를 파괴하는 등의 생물독성학적 효과를 보였다. 반면, 자외선의 피해로부터 해조류를 보호해 주는 몇 가지 기작이 밝혀진 바 있는데, 어린시기의 갈조류 다시마는 청색광에 의한 광재활성화 능력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고, 한국산 녹조 구멍갈파래와 홍조 도박류에서는 자외선을 강하게 차단하는 흡수물질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기능들이 해조류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해양생태계는 대기 중 CO$x_2$를 이용하여 1년에 약 100 Gt의 유기물질을 생산해내고, 인류가 소비하는 식품의 30%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자외선에 의한 생물량의 감소는 해조류 뿐만 아니라 먹이망에 의해서 복잡한 연결구조를 지닌 생태계 전체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에 대한 피해를 연구 평가하여 전략을 세우고 이를 예측하는 예보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절실히 부각된다.

  • PDF

주문진(主文津) 인공(人工) 방파제(防波堤)에 서식(棲息)하는 해조상(海藻相) 및 주기성(週期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at Joomoonjin Sea Bank)

  • 김양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29-46
    • /
    • 1991
  • 강원도(江原道) 주문진(注文津) 방파제(防波堤)에 부착, 서식하는 해조류(海藻類)를 1989년 8월부터 1990년 7월까지 종조성(種造成) 및 계절적(季節的) 주기성(週期性)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서 채집(採集) 동정(同定)된 해조류(海藻類)는 총 70종으로 녹조류(綠藻類) 7종, 갈조류(褐藻類) 21종 및 홍조류(紅藻類) 42종이었다. 상관적(相觀的) 우점종(優占種)은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도박류였으며, 이들 우점종(優占種)에 의하여 모자이크 식생류형(植生類型)을 보였다. S${\phi}$rensen의 류사도지수(類似度指數)를 이용하여 군집(群集)의 계절적 변화를 집낙분석(集落分析)한 결과 이 지역의 해조상(海藻相)은 수온상승(水溫上昇) 기해조상(期海藻相)(1-7월)과 수온하강기해조상(水溫下降期海藻相)(8-12월)으로 류사도(類似度) 45% 수준에서 크게 2개의 집낙(集落)으로 나누어진다. 또 수온상승기해조상(水溫上昇期海藻相)은 다시 겨울 해조상(海藻相)(1-4월)과 봄-여름 해조상(海藻相)(5-7월)으로 2개의 소집낙(小集落)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때 구분 수온은 $14^{\circ}C$였다. 또한, Cheney의 R+C/P수치에 의하여 밝혀진 해조상(海藻相)의 특징은 온대성(溫帶性)과 寒帶注(한대주)의 혼합해조상(混合海藻相)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