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hira aquatic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관엽식물의 생리적 반응 차이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O_3, SO_2, O_3+SO_2)$의 흡수능 비교 (Comparison of Absorption Ability by Difference of Physiological Response in Three Foliage Plants Exposed to $O_3 and SO_2$ SIngly and in Combination)

  • 박소홍;이영이;배공영;이용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1998
  • We compared absorption and adsorption rates of air pollutants by plants to eveluate the difference of absorption capacity of plant species and kinds of air pollutants, when foilage plants were exposed to $O_3$ and $SO_2$ singly and combiningly. Absorption and adsorption rates of three foliage plants exposed to $O_3$ and $SO_2$ singly and in combination varied a little according to plant species and kinds of air pollutants. But total absorption rate of Spathiphyllum patinii and Ficus benjamina was higher, and it was lower in Pachira aquatica. When exposed to $O_3$ and $SO_2$ at the same concentration, Pachira aquatica absorbed more $O_3$ than $SO_2$, in contrast to Ficus benjamina absorbing more $SO_2$. On the other hand, Spathiphyllum patinii absorbed as much $O_3$ as $SO_2$.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measured since absorption rates were affected by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s. Spathiphyllum patinii and Ficus benjamina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and Pachira aquatica showed lower values. And diffusive and stomatal resistences of Pachira aquatica were higher than those of two other species. These results showed that absorption capacity was affected by the difference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bsorption capacity of air pollutants increased in plants, such as Spathiphyllum patinii and Ficus benjamina, which had high $SO_2$ absorption rate. We found that plants showing high $CO_2$ absorption rates absorb a lot of air pollutnats.

  • PDF

한국미기록 흰개미붙이(흰개미붙이목, 흰개미붙이과)의 보고 (New Record of a Web-spinner, Oligotoma saudersii(Embiidina, Oligotomidae) in Korea)

  • Lee, Seunghwan;Han, Man-Jong;Woo, Kun-Su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121-125
    • /
    • 2002
  • 흰개미붙이목(Embiidina or Embioptera)의 1종, Oligotoma saundersii(Westwood, 1837)가 서울시 강남구 세곡동의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관엽식물 파키라, Pachira aquatica Aubl.(Bombacaceae)의 나무껍질에서 다수 채집되었다. 흰개미붙이목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목으로 본 종의 형태적 특징 및 생활사에 대해 소개하였다

관엽식물 파키라가 실내 온·습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ge Plant Pachira aquatica on the Change of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 손기철;김미경;박소홍;장명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3호
    • /
    • pp.377-380
    • /
    • 1998
  • 실내에 관엽식물을 배치하였을 때 실내 온도나 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물리적 환경이 유사한 두 공간을 설정하여 식물체의 유무, 배치방법, 화분의 wrap seal 유무에 따른 환경변화를 조사하였다. 계절에 따른 효과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실험을 여름과 겨울철 2회에 걸쳐 행하였다. 실내에서의 이용도가 높고, 광합성과 증산작용이 다른 관엽식물에 비해 활발한 Pachira aquatica를 사용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식물체의 배치여부는 실내의 온도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습도환경에는 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실험에 이용된 실내공간의 2.4%에 해당하는 용적의 식물체 배치로 3~5%의 습도조절이 가능했으며, 이러한 효과는 계절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여름에는 창측 일렬배치와 점재배치간의 습도상승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겨울에는 일렬배치가 점재배치에 비해 습도상승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Comparison of Indoor CO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64-870
    • /
    • 2010
  •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파키라($Pachira$ $aquatica$),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 배지와 하이드로볼 배지에 이식된 식물을 각각 밀폐 동화상에 넣고, 이산화탄소 500ppm 또는 1,000ppm을 주입하고, 광도는 50과 $200{\mu}mol{\cdot}m^{-2}{\cdot}s^{-1}$ 두 수준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1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광합성 속도(${\mu}molCO_2{\cdot}m^{-2}{\cdot}s^{-1}$)로 산출하였다. 주간에 모든 품종의 식물들이 밀폐 동화상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였다. 파키라($Pachira$ $aquatica$)와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가 이산화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초기 주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ppm일 때보다 1000ppm일때, 광도가 $50{\mu}mol{\cdot}m^{-2}{\cdot}s^{-1}$일 때보다 $200{\mu}mol{\cdot}m^{-2}{\cdot}s^{-1}$일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며,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광합성률을 비교해 보면, 파키라($Pachira$ $aquatica$), 헤데라($Hedera$ $helix$ L.),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같이 엽면적이 넓은 식물들이 상대적으로 엽면적이 작은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와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와 같은 식물들보다 높은 광합성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 주간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량에 비해 야간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지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광합성률에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서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주간에 식물이 광합성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부피가 크고 실내와 같은 저광 조건에서 활발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관엽식물에서 $SO_2$ 처리에 의한 이차독성물질 생성 및 항산화효소의 유도 (The Induction of Secondary Toxic Substances and Antioxidative Enzymes by $SO_2$ Fumigation in Foliage Plants)

  • 이영이;강연지;이용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4-49
    • /
    • 2001
  • 식물의 대기오염 피해에 이차독성물질이 관여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관엽식물 파키라(Pachira aquatica), 스파티필룸 (Spathiphyllum patinii) 및 헤데라(Hedera helix)에 $1\;{\mu}L/L$$SO_2$를 2일간 처리한 결과, 광합성 및 수분이용효율과 같은 생리활성 변화에 있어 파키라가 저감율이 가장 높았으며, 스파티필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시피해 역시 파키라, 헤데라의 순으로 발현되었으며 스파티필룸에서는 가시피해가 나타나지 않아 $SO_2$에 대한 감수성이 파키라가 내성종, 스파티필룸이 민감종으로 대별되었다. 한편, 에틸렌과 활성산소 모두 $SO_2$ 처리에 의해 파키라에서 높게 유도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헤데라, 스파티필룸의 순으로 나타나 $SO_2$에 대한 식물반응의 종간차이에 이차독성물질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같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식물체내 이차독성물질 생성은 대기오염에 대한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함으로서 피해의 진전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다양한 관엽식물의 근권부 박테리아 집단이 실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terial Population from Rhizosphere of Various Foliage Plants on Removal of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천세철;류명화;문영숙;신미호;손기철;정일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76-483
    • /
    • 2010
  • 실내식물 9종의 근권부 하이드볼 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집단이 공기중 벤젠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다. 여러 식물 근권부의 배양토에서 배양된 세균 집단은 벤젠을 제거할 수 있었는데, $Spathiphyllum$ $wallisii$ Regel, $Pachira$ $aquatica$, $Ficus$ $elastica$, $Dieffenbachia$ sp. 'Marrianne' Hort., $Chamaedorea$ $elegans$ 식물들은 벤젠의 초기농도를 1.000으로 기준하였을 때, 세균 집단이 전혀 없는 배지의 대조구 초기 농도 대비 잔류율이 0.596이었으나 상기 언급한 식물들은 0.741-1.000으로서 벤젠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LSD, $P$=0.05). 이와 같은 경향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톨루엔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 $aquatic$ 근권부의 배양토로부터 배양된 세균 집단을 $P.$ $aquatica$, $F.$ $elastica$, $S.$ $podophyllum$에 접종하였을 때 접종하지 않은 식물들에 비하여 벤젠과 톨루엔을 현저히 제거하는 효과가 나타나, 근권부의 미생물 집단을 이용하여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제거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실내 환경 개선에 적합한 식물 선발을 위한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관엽식물들의 생리적 반응 (Plant Physiological Responses in Relation to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CO2 Concentration for the Selection of Efficient Foliage Plants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28-936
    • /
    • 2010
  • 본 연구는 관엽식물 8종을 선정하여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식물의 광합성률을 포함한 생리반응을 살펴 보고, 그에 따른 실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식물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 시서스, 디펜바키아, 스킨답서스, 싱고니움을 사용하였으며, $16^{\circ}C$$22^{\circ}C$ 온도조건하에서 광도는 PPFD 0, 25, 50, 75, 100, 150, 300, 또는 $600{\mu}mol{\cdot}m^{-2}{\cdot}s^{-1}$의 수준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또는 $1,000{\mu}molCO_2{\cdot}mol^{-1}$의 수준으로 조절하여 휴대용 광합성 측정기(Li-6400, Li Cor, USA)로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효율과 증산율을 측정하였다. 광도, 엽육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그리고 온도에 따른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은 매우 다양했다. 약광(PPFD $0-100{\mu}mol{\cdot}m^{-2}{\cdot}s^{-1}$)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디펜바키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광(PPFD $200-600{\mu}mol{\cdot}m^{-2}{\cdot}s^{-1}$)에서는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이 높은 광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암반응과 관련된 탄소고정효율은 시서스와 싱고니움을 제외한 6종의 관엽식물들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에서 광합성률이 높은 식물은 헤데라와 스파티필름이었으며, $22^{\circ}C$에서 자란 벤자민 고무나무와 파키라도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다. 한편, 헤데라, 스파티필름은 증산율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광,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낮은 상대습도가 특징인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실내 환경을 고려했을 때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 등을 이용하는 것이 실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관엽식물의 오존($O_3$)흡수능에 관여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Rerated to Absorption Ability of Foliage Plants Exposed to $O_3$)

  • 박소홍;배공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37-544
    • /
    • 1998
  • We selected Spathiyhyllum patinii and Pachira aqkatica, since the former has high O3 absorption while the latter low absorption, and analyzed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diffusive coefficient, transpiration rate, photosynthetic rate, and CO2 absorption rate, which affected O3 absorption capacity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as absorption capacity and the other factors; photosynthetic rate, diffusive resistance, stomatal resistance and CO2 absorption rate. Therefore model formula for estimation of O3 absorption rate in plant was formulated by making use of these factors. There was difference for the estimation of O3 absorption rate according to plant species. In case of Spathiphyllum patinii, photosynthetic rate is an optimal factor for estimation of O3 absorption capacity. On the other hand, stomatal resistance and diffusive resistance are optimal factors of Pachira aquatica among various physiological ones. And we knew that CO2 absorption rate is a potential factor to evaluate gas absorption capacity regardless of plant species. But considering efficiency and practicality, diffusive resistance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the estimation of O3 gas absorption.

  • PDF

외국식물의 배치변화에 따른 폼알데하이드와 VOCs 농도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Formaldehyde and VOCs by Positions of Foreign Plants)

  • 송정은;김용식;손장열
    • KIEAE Journal
    • /
    • 제8권2호
    • /
    • pp.53-58
    • /
    • 2008
  • With architectural technology, a building has been a far dense and close. So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has become pleasant, but the quality of indoor air has been degraded. Using synthetic products f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furniture indoors escalates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t indoor air, threatening the health of the residents.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indoor air, many methods are designed, and of late, concern has been increased about the effect of air purification using air purifying plants.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Aglaonema brevispathum, Pachira aquatica and Ficus benjamiana, which were verified as air-purifying plants by NASA.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air contaminants by plant studied in a full scale mock-up model. The variations of concentratio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Formaldehyde were monitored. In most cases, the effect was excellent in Toluene and formaldehyde in summer.

Evaluation on the Potential of 18 Species of Indoor Plant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 Jeong, Na Ra;Kim, Kwang Jin;Yoon, Ji Hye;Han, Seung Won;You, Soo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37-646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PM) reduction under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eaves in 18 different species of indoor plants. Methods: First, a particular amount of PM was added to the glass chambers (0.9×0.86×1.3 m) containing the indoor plant (height = 40 ± 20 cm), and the PM concentration were measured at 2-hour intervals. The experiment with the same conditions was conducted in the empty chamber as the control plot. Results: The range of PM reduction per unit leaf area of 18 species of experimental plants was 3.3-286.2 ㎍·m-2 leaf, total leaf area was 1,123-4,270 cm2, and leaf thickness was 0.14-0.80 mm and leaf size 2.27-234.47 cm2. As time passed, the concentration of PM decreased more in the chamber with plants than in the empty chamber. Among the 18 indoor plants, the ones with the greatest reduction in PM2.5 in 2 hours and 4 hours of exposure to PM2.5 were Pachira aquatica and Dieffenbachia amoena. As the exposure time of PM increased, the efficiency of reducing PM2.5 was higher in plants with medium-sized leaves than plants with large or small leaves. The effect of reducing PM2.5 was higher in linear leaves than round or lobed leaves. Plants with high total leaf area did not have advantage in reducing PM because the leaves were relatively small and there were many overlapping parts between leav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leaf characteristics and PM 2.5 reductions, all leaf area and leaf thickness showed a negative and leaf siz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M reduction. Conclusion: The PM reduction effect of plants with medium-sized leaves and long linear leaves was relatively high. Moreover, plants with a large total leaf area without overlapping leaves will have advantaged in reducing PM. Plants are effective in reducing PM, and leaf characteristic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PM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