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emaker malfunc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완전방실블록 환자에서 쌍극의 영구박동기를 이식후 반복 발생된 증상이 단극으로 전환후 증상이 소실된 예 (A Case of Disappearing Symptoms Developed Repetitively in a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Patient Implanted Bipolar Permanent Pacemaker After Converting It into Unipolar System)

  • 권준영;최교원;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81-185
    • /
    • 1994
  • 저자들은 완전방실블록 환자에서 쌍극의 영구심장박동기를 이식후에도 계속되는 실신발작을 보여 단극의 영구심장박동기로 바꾼 후 그 증상이 소실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연령군에서의 영구 심외막 심박 조율 13년 경험 (Thirteen-year Experience of Permanent Epicardial Pacing in Children)

  • 한국남;임홍국;김웅한;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499-503
    • /
    • 2004
  • 배경: 본 연구에서는 소아연령군에서 과거 13년 동안 시행한 심외막 인공 심박 조율 수술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인공 심박동기의 평균 수명, 역치, 재수술의 원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영구 심박 조율기 또는 전극의 이식을 시행한 83명의 환아에게 시행한 121예의 수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환자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심박 조율기의 수명, 자극 역치, 저항, R파, P파, 감지 역치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 측정한 평균 심실 자극역치는 1.2$\pm$0.l (0.1∼5) mV, 평균 저항은 519.1$\pm$18.1 (319∼778) ohm, 평균 심실 R파 감지역치는 8.9$\pm$0.7 (4∼20) mV, 평균 P파 감지역치는 2.5$\pm$0.7 (0.4∼12) mV 이었다. 심박 조율기의 평균 수명은 64.7$\pm$3.7 (2∼196)개월이었다. 심박 조율기 무재수술률은 1년 94.6%, 2년 93.6%, 5년 80.8%, 7년 63.7%, 10년 45.4%였다. 재수술의 원인은 전지 고갈이 26예, 전극 이상이 9예 등이었다. 심박 조율기 삽입 후 이의 오작동과 관련된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다. 결론: 소아연령군에서 심외막 심박 조율기 삽입 후 재수술 없이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비율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19.1%의 환자만이 5년 내에 재삽입이 필요했다. 스테로이드 용출 전극의 재수술률은 6.7%로 이는 심외막 심박 조율기의 수명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부분 방실중격결손증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 최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760-764
    • /
    • 1987
  • Fifty seven patients underwent repair of a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from January 1980 to December 1986. The ostium primum atrial septal defect was closed with autologous or bovine pericardium. The cleft in the anterior mitral leaflet was present in 53 cases, absent in 4 cases. Of the 53 cases with a cleft in the anterior mitral leaflet, 48 received suture repair of the cleft, 3 received mitral valve replacement. There was no hospital death and all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a mean period of 26.4 months. Four required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due to complete heart block, and one of them died of sudden malfunction of pacemaker. Two received reoperation due to significant residual mitral insufficiency. Suture repair of the cleft in the anterior mitral leaflet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degree of mitral regurgitation. During follow-up period 49 patients were in NYHA class I, 7 patients were in NYHA class II. This report suggests that excellent result can be achieved from repair of the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by managing the left A-V valve as a bileaflet structure.

  • PDF

WCDMA 휴대전화 전자파가 인공심장 박동기 및 이식형 제세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dio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Emitted by WCDMA Mobile Phones on Pacemakers and ICDs)

  • 정재원;최수범;박지수;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호
    • /
    • pp.148-154
    • /
    • 2015
  • 제 2세대 (2G) 휴대전화인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휴대전화는 pacemaker 및 IC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가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3세대 (3G) 휴대전화인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전화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pacemaker 및 IC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5개의 pacemaker 및 3개의 ICD를 대상으로 ECG simulator를 이용한 in-vitro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실제 WCDMA 휴대전화 대신 WCDMA 모듈 (평균 출력 : 0.25 W, 주파수 대역 : 1950 MHz)을 사용했다. WCDMA 모듈 전자파가 pacemaker 및 ICD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각 이식형 의료기기들을 WCDMA 모듈에 최대한 근접 (3 mm 이내) 시킨 후 5분간 전자파에 노출 시켰다. 실험 결과 WCDMA 모듈 전자파가 5개의 pacemaker 및 3개의 ICD에 미친 어떠한 영향도 관찰 할 수 없었다. WCDMA 휴대전화는 GSM 휴대전화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 (1800-2200 MHz)에서 더 낮은 출력(0.01-0.25 W)을 방출하기 때문에, WCDMA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pacemaker 및 ICD 기기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난방지 시스템의 전자기장이 인공심장 박동기 등의 오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S Systems on Pacemakers and ICDs Malfunction)

  • 심영우;김종정;양동인;이문형;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6호
    • /
    • pp.44-49
    • /
    • 2009
  • EAS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시스템은 상품의 도난 방지를 위한 것으로 상품 판매 자동화 증가로 인해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AS 시스템의 전자기장 세기를 측정하였고, EAS 시스템이 pacemaker와 IC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반 성인 심장 높이인 130cm에서 6.3 kHz와 14.25 kHz EAS 시스템의 게이트 안쪽의 왼쪽, 바깥쪽의 오른쪽과 가운데 위치에서 전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였고, pacemaker와 ICD의 동작 여부를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 전자기장의 세기는 EAS 시스템에 따라 큰 차이가 났는데 14.25 kHz를 사용하는 EAS 시스템이 가장 강했다. Pacemaker는 고정시 세 위치 모두에서 파형 변화가 관찰되었고, ICD는 이동시와 고정시한 위치에서만 noise reversion, 심실세동이 관찰되었으며, 모두 전자기장 세기가 가장 센 14.25 kHz의 EAS 시스템의 전자기장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현재 국내에서는 시행되고 있지 않은 전자기장 방출에 대한 안내문 부착과 이식형 의료기기 시술을 받은 환자의 접근에 대한 위험성 경고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이어폰 및 헤드폰의 정자기장이 인공심장 박동기 및 이식형 제세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s of Earphones and Headphones on Pacemakers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

  • 정재원;최수범;박지수;김덕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1-36
    • /
    • 201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static magnetic fields of earphones and headphones on pacemakers an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s(ICDs). Five pacemakers and three ICDs were subjected to in-vitro test with three headphones which were an in-ear earphone, clip-on headphone, and closed-back headphone. Each implantable device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within 3 mm) to the ear-pad of each of the earphone and headphones for 3 min. As a result, no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pacemakers for the earphone and headphones during the test, but an effect was observed on one ICD for the clip-on and closed-back headphone during the test. When the ICD wa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the headphones, the ICD temporarily suspended functions of tachyarrhythmia detection and therapy. The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when the headphones were at least 2 cm from the ICD. Based on these findings, patients with ICDs should be advised to keep earphones and headphones at least 2 cm apart from their IC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