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 power generation system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8초

가정용 10kWh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Residential 10kW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 송인범;정두용;김동성;이수원;서광덕;원충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a grid, battery and PV array. Considering a daily load profile, radiation and battery, operation modes are divided. An algorithm is presented based on modes. In the paper, operation modes and algorithms a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s.

  • PDF

데이터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모듈온도 및 발전량 예측 (Prediction of module temperature and photovoltaic electricity generation by the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김용민;문승재
    • 플랜트 저널
    • /
    • 제17권4호
    • /
    • pp.41-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발전 출력 및 모듈온도 값을 기상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해보고 실측 데이터와 날씨, 일사량, 주변온도, 풍속별로 비교 분석해보았다. 날씨별 예측정확도는 눈이 오거나, 새벽에 해무가 끼는 날의 데이터를 가장 많이 보유한 맑은날의 데이터의 예측정확도가 가장 낮았다. 일사량에 따른 모듈온도와 발전량의 예측정확도는 일사량이 커질수록 정확도가 떨어졌으며, 주변 온도에 따른 예측정확도는 모듈온도는 주변 온도가 커질수록, 발전량은 주변온도가 낮을수록 예측정확도가 떨어졌다. 풍속은 모듈온도와 발전량 모두 풍속이 높아질수록 예측정확도가 감소하였지만, 풍속이 영향 다른 기상조건에 의한 영향보다 미미하여 그 상관관계를 정의하기가 어려웠다.

전류제어신호를 이용한 MPPT제어기에 대한 연구 (Study on MPPT control using current control signal)

  • 강태경;강주성;고강훈;권순걸;서기영;이현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80-282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simple MPPT control scheme of a Current-Control-Loop Error system Based that can be obtains a lot of advantage to compare with another digital control method, P&O and IncCond algorithm, that is applied mostly a PV system. An existent method is needed an expensive processor such as DSP that calculated to change the measure power of a using current and voltage sensor at the once. Therefore, it is applied a small home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required many expenses. But, a proposed method is easy to solve the cost reduction and power unbalance problems that it is used by control scheme to limit error of a current control of common sensor. This proposed algorithm had verified through a simulation and an experiment on battery charger using PIC that is the microprocessor of a low price.

  • PDF

대용량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병렬운전 기법 (Control of Parallel Operation for PV PCS)

  • 김규태;권정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2-49.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태양광 PCS의 병렬운전 알고리즘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dc-link 전압을 이용하여 PCS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PCS는 정격용량 또는 그 근처에서 최대 효율을 낸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일사량이 적을 시 일부 PCS만 작동하도록 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인다. 항상 모든 PCS가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수량만 작동하도록 하고, 작동하는 PCS도 순차적으로 바꿔서, 전제 시스템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일부 PCS가 고장이 날 경우 다른 PCS가 작동하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이 멈추지 않고 계속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수치 계산을 통한 다목적 BIPV 시스템의 운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Methods of Multipurpose BIPV System by Numerical Analysis)

  • 김의종;김헌중;서승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49-55
    • /
    • 2006
  • The Multipurpose BIPV System(MBIPVS) was evaluated as an effective passive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thermal performance and the efficiency of PV power generation in the previous papers. To achieve the performance better, the operation method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physical conditions in each occasion. Thus, we cheesed the reference operation methods in each season set by the overview of the meteorological data for last 6 years, In-choen, and compared them with the various alternatives that we had made up with for improving thermal performance. The results from adopting various alternatives on MBIPVS showed that the appropriate operational model would be effective to the energy savings ; we could reduce the total loads 1,051.0[kWh] in summer and 108.9[kWh] in winter.

배전선로의 분산 전원 상시 연계용량 기준 상향 타당성 연구 (Increasing Hosting Capacity in KEPCO Distribution Feeders)

  • 조성수;심준보;임현옥;김현진;김성만;주상도;송종협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5권4호
    • /
    • pp.311-321
    • /
    • 2019
  • 정부의 재생e 3020 이행계획 및 제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과 함께 국내 분산 전원 연계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16년 10월 시행된 1 MW이하의 분산 전원 접속 보장 제도의 시행 이후, 배전 계통의 분산 전원 연계 신청이 급증함에 따라 송배전 설비부족으로 분산 전원 접속 지연이 일어나는 문제와, 이로 인해 국내 분산 전원의 70 %가 연계되어 있는 배전 계통의 신증설 투자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배전 계통의 분산 전원 수용력(hosting capacity) 확보 방법은 물리적인 배전 설비 추가 확충 이외에는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인데, 이러한 방식은 아래와 같은 어려움이 따른다. 첫째, 분산 전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태양광은 일조량이 풍부하고 지가가 저렴한 야외, 산악지역에 보급되므로 배전선로 경과지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지중 구간이 증가하여 공사비가 증가하며, 태양광 야외 지역 위치로 공사 거리, 기간이 증가하게 된다. 둘째, 지자체의 공사 인허가 비협조 사례가 증가하여 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어 민원이 야기된다. 셋째, 배전선로 공사 자체에 1년 이상의 공사기간이 소요되므로 분산 전원을 적기에 접속시킬 수가 없으며, 넷째, 접속 신청은 지속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배전 설비 확충 비용 또한 지속 증가 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물리적 설비확충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접속 대기를 최소화하면서도 공사(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은 설비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것이며, 본 연구는 이러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 배전 계통의 분산 전원 연계 현황, 태양광 최대 출력 실적, 최소 부하, 선로 특성의 분석을 통해 배전선로의 분산 전원 상시연계용량 기준을 상향하기 위한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배전선로의 분산 전원 상시연계용량 기준을 위한 상향(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Effects of Partial Shading on PV System applied to the Offshore Plant

  • Lee, Ji Young;Yang, Hyang Kweon;Oh, Jin Seo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2호
    • /
    • pp.152-158
    • /
    • 2015
  • Unlike photovoltaic systems installed on land, photovoltaic systems applied to the offshore plant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is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For single point mooring plan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 reliable power supply to be installed in different directions of photovoltaic panel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sun by rotation of the plant itself. Differences of installation angle between photovoltaic panels make a difference of the intensity of radiation irradiated on each photovoltaic panel, and it brings loss of generation quantity due to the partial shading. In order to provide a photovoltaic system suitable for offshore plant, the modeling which contains multiple photovoltaic panels controlled by single controller is performed. Then, it was examined how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hotovoltaic system change about the difference of the intensity of radi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ltitude of the sun. Finally, through the simulation, a development model of the photovoltaic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offshore plant is suggested.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영특성 및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Design Factors of Floating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 김현한;김광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0호
    • /
    • pp.1532-1539
    • /
    • 2017
  •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a new concept in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That is similar to land based photovoltaic technology except floating system. So the system needs buoyant objects, mooring, ect, besides modules and supports, and that is able to withstand in water level changes and wind strength. Therefore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much different from land photovoltaic system.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has been operating two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that's capacity is 100 kW and 500 kW respectively since in summer 2011 for commercial generation, and have construction project for 2,000 kW in Boryeong multipurpose Dam and other areas. Furthermore K-water was developing a tracking-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t Daecheong multipurpose Dam and developed and installed an ocean floating photovoltaic demonstration plant at Sihwa Lake in October 2013 for R&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at structure of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nclude buoyant structure, mooring system and auxiliary device. Especially the rope which is in part of mooring should be always maintain tension under any water level. Also we explain about structure design concept to wind load in an every loading condition and a kind of structure materials and PV structure types used in water environment. Especially ocean floating PV system is affected by tidal current and typhoon. So there are considering the elements in design. Finally we compare with floating and land photovoltaic on power amount. As a result of that we verified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more about 6.6~14.2 % efficiency than a general land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Conversion System for Photovoltaic Generation)

  • 박정환;장수형;이성근;안병원;김윤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37-442
    • /
    • 2001
  •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부와 발생 전력을 계통에 연계하는 진력변환장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부는 승압용 컨버터부와 DC전력을 AC로 변환하는 인버터부로 구성된다. 종래 인버터의 주회로 방식은 저주파 트랜스나 고주파 트랜스를 사용하는 방식이 채러되었으나, 최근 이러한 방식에 비해 소형 경량화가 기대되는 트랜스리스 방식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의 승압부는 2상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하여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리플을 줄여, 각 전력 소자의 전압 스트레스를 줄이고, 입력 리액터를 소형화한다. 그리고, 인버터 부의 출력 고조파 성분을 저감하기 위해 정현파 PWM에서 얻어진 스위칭 시간을 기본값으로 하여 푸리에 급수로 유도한 PWM 스위칭 시간을 채택하였고, PSpice를 이용하여 변환기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휴대폰과 인터넷을 이용한 풍력-태양광 복합발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OF WIND-PHOTOVOLTAIC HYBRID GENERATION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INTERNET)

  • 허정초;문채주;장영학;임정민;김태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89-91
    • /
    • 2007
  • In this paper, a remote monitoring system of wind-photovoltaic hybrid generation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internet has been developed. Many kinds of data can be acquired, analyzed and saved automatically by this system. The hybrid system is composed of 1[kW] PV with DC/DC converter, battery banks and 5[kW] wind power system with power inductor and AC/DC converter. In addition, wind monitoring sensors, voltage and current meters, current transformers and potential transformers are used as accessory instruments. All of these signals are fed into DAQ (Data Acquisition) board after converting the data which have been processed by many types of converters, dividing circuits and signal conditioning circuits. These data can not only be displayed on a computer, transmitted using the server program to remote computer and saved on a computer as a file day by day but also be sent as a CDMA message. The monitored-data can be downloaded, analyzed and saved from server program in real-time via mobile phone or internet at a remote place. All of the programs were designed with LabVIEW softwa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