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 시뮬레이션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3초

Matlab을 이용한 PV모듈의 I-V시뮬레이션 관한 연구 (Study on I-V simulation for PV module with matlab)

  • 홍종경;정태희;강기환;안형근;한득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1-6
    • /
    • 2009
  • This paper estimates numerically cell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V modul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hunt resistance, series resistance, temperature, irradiance. Series resistance $R_s$ including diode characteristic resistance $r_d$ is derived from the p-n junction diode model. I-V characteristics of this model with series resistance $R_s$ are simulated on Matlab. Finally, theoretical I-V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those of solar simulator. Those results agreed well within the manufacturer's maximum error range 3%

PV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손실요인 분석 (The Loss Factor Analysis for PV System Optimization)

  • 정영석;유병규;유권종;최주엽;소정훈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2-28
    • /
    • 2006
  • PV(Photovoltaic) 시스템의 국내 이용보급이 확대되면서 PV시스템의 최적화 및 운전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한 대책기술에 대한 실용화기술 확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V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한 성능개선을 위해서 실측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성능특성을 분석 평가하여 PV시스템의 손실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과 실측결과를 비교하여 PV시스템의 주요 손실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성능저하 및 문제점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DC전원공급 기능을 보유한 600W PV ESS (600W PV ESS with DC power supply function)

  • 팽성일;박운호;임용배;최규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DC 48V 전원 공급이 가능한 600W급 PV ESS( Energy Storage system)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PV 입력부는 100V이하의 전압 입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3레벨 부스트(Three level boost)컨버터로 구성하였다. 배터리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사용하였고 DC48V부는 벅 컨버터로 구성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의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과 600W PV ESS 시스템을 구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다양한 기상조건하에서의 AF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출력제어 시뮬레이션 (Output Control Simulation of PV-AF Generation System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 성낙권;박민원;유인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364-1366
    • /
    • 2002
  • The Photovoltaic(PV) generation system is a promising source of energy for the future. Since the need for renewable energy has been increased, the research of PV generation system has also been progressed. Recently, cost down of PV generation system has been accomplished and practical technologies of the solar energy developed, Moreover, grid connected PV generation system are becoming actual and general. Operational technology of the grid connected PV generation system is being a hot issue. Power output of PV system is directly affected by wether conditions. When AC power supply is needed, power conversion by an inverter and a MPPT control are necessary. In this paper, for stability improvement of PV generation system. Active filter(AF) function is added to PV generation system, and simulations of PV-AF system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are performed.

  • PDF

PV/T와 PV 시설을 통한 열 공유 측면의 지역별에너지 수요량과 생산량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Regional Energy Demand and Production in terms of Energy Sharing through PV/T and PV)

  • 권혁민;이태규;김정욱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80-387
    • /
    • 2019
  • 최근 태양열의 열 취득과 태양광의 전기에너지 취득의 상호 보완으로 태양광열(PV/T)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체로 PV/T의 에너지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건물을 모델링하여 연간 에너지 수요량을 산정하고 옥상면에 PV/T를 설치하여 PV/T와 PV의 에너지 생산량을 시뮬레이션별 Case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로 남부지방인 부산광역시의 에너지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또한 에너지 수요량에서 남는 에너지 생산량을 에너지 공유 시스템의 도입을 가정하였을 때 에너지 공급 가능 세대수를 산정한 결과 최대 3.3세대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박스형과 튜브형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의 성능 분석 (Numerical approach for comparative performance study of tube type and box type hybrid photovoltaic/thermal system)

  • 바타라이 수절라;김대현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9-18
    • /
    • 2011
  •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photovoltaic/thermal hybrid solar system, PV/T)은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집열판의 단일화를 통한 전기 및 열에너지의 동시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기존 태양광 모듈의 온도 상승에 따른 효율 저하의 문제점을 보완 및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온수 생산이 가능한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액체형 PV/T 시스템의 대표적인 두 형태인 박스형과 튜브형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두 시스템의 열 및 전기적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링은 에너지 평형식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각 부분의 온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수립되었으며 계산된 결과를 기준으로 전기, 열, 및 전체효율을 도출해 내고, 이를 바탕으로 두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박스형 PV/T 시스템의 최고 온수 온도는 $52^{\circ}C$로 예측되었고, 반면에 튜브형은 $48^{\circ}C$에 머물렀다. 또한 열효율은 박스형이 최대 51%, 튜브형이 41%, 전기효율은 박스형이 약 14%, 그리고 튜브형이 13%로 나타났으며, 전체효율은 박스형이 73%, 그리고 튜브형이 64%로 나타나 박스형 PV/T 시스템이 튜브형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박스형이 튜브형보다 태양광 모듈과 온수와의 접촉면적이 넓어 더 많은 열전달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실계통 적용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ulation Model of PV Generation System for its Application to Real Power System)

  • 이계병;손광명;전인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0-7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전력회사의 실배전 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제시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실배전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이를 실배전 계통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PSCAD/EMTDC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적용 후 변전소로부터의 전력공급을 감소시킴으로써 부하 말단전압이 개선됨을 보였다. 또한 부하모선의 전압을 보상함으로써 부하 측의 전력품질이 개선됨을 보였다.

그림자 영향을 고려한 태양광 패널의 최적 접속 구조 (Optimum Connection Structure for PV Panel Considering Shadow Influence)

  • 정우용;김용중;김효성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210-212
    • /
    • 2019
  • 태양광발전에서 PV panel의 출력 전압 및 전류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전원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PV panel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PV array를 구성한다. 이때, PV array에 부분적인 그림자가 발생할 경우 최대발전전력은 PV array의 접속 구조와 블록킹 다이오드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PV panel의 직병렬 접속에 따른 PV array의 6가지의 접속 구조와 블록킹 다이오드 유무를 고려하여, 부분적인 그림자가 발생할 경우 발전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접속 구조를 제시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아파트 입면형 PV적용방식의 발전성능효과해석 연구 (A simulation analysis of PV application method effect on electric power performance in an apartment wall facade)

  • 서정훈;허정호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5-32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ilding integrated PV application method on power generation. PV modules were integrated to a hypothetical apartment building facade in Seoul, Korea. Three different design options of PV panel mounted on exterior wall were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cooling effects through ventilation.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RNSYS coupled with COMIS were executed to evaluate the design options. Their facade configurations are such as vertically installed PV panels with or without air gap between PV rear surface and exterior wall surface, and the tilted PV panels attached to the exterior wall at an angle of to the horizontal. Parametric results show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regardless of the air 9ap width between PV rear surface and exterior wall surface. Special strategies which could effectively cool a PV panel to increase the electric power are required if we prefer to a vertical facade configuration in a building integrated PV installation.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no reason for architect to install vertically PV panels with air gap unless active strategies are considered.

EMTDC/PSCAD를 이용한 PV Array의 부분음영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 (Dvelopment of Simulation Method for Partial Shadow of PV Array using EMTDC/PSCAD)

  • 박해용;박영길;박민원;유인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308-310
    • /
    • 2005
  •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photovoltaic(PV) energy system are making rapidly progress around the world and specially this country, too due the deregulation law for the renewable energy system seems to be born sooner or later. In PV generation system, the partially shaded PV array is the one of the worst case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total PV generation system. The partial shaded condition is the result of shadowing by cloud and dust building of on the surface of the panel. Some structural elements, such as antennas, booms etc. is also the reason of the shadowing. Even if only a small part of PV is shaded, the overall generation power of PV is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fore, several researchers who are focusing on the PV generation system take a time for the research related with the shadowing problem of PV array. In this paper, authors have developed the method which users can achieved the modeling of partially shaded PV array with. With several papers authors have already announced the availability of the EMTDC/PSCAD PV panel model component. This research result is the developed version of the previous pap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