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 Foa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일정 응력 반복압축이 발포체의 압축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etitive Compression with Constant Stress on the Compressive Properties of Foams)

  • 박차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4호
    • /
    • pp.258-265
    • /
    • 2005
  • 스포츠화 중창용으로 사용되는 PU, IP 및 PH 등 세가지 종류의 발포체를 일정한 응력으로 반복압축한 후, 반복압축에 따른 발포체의 압축력, 영구변형, 회복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발포체의 반복압축에 따른 최대압축력은 PU의 경우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P의 경우 최대 압축력은 크게 저하되었다. PU는 반복압축에 따른 발포체의 영구변형은 미소하였으나 PH의 경우 반복압축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 45인 발포체를 5만회 반복압축 한 경우 발포체의 영구변형은 PU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이용한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Polyurethane Foam Modified by Urushiol and Cardanol)

  • 김상범;강성구;조일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2호
    • /
    • pp.124-132
    • /
    • 2008
  • 항균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폴리우레탄 제조시 첨가하여 항균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이 항균 첨가물이 MDI와 화학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합성에 참여한다는 것을 FT-I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변화는 없었으며 우루시올과 카다놀로 각각 공중합된 폴리우레탄폼의 열적 안정성이 항균물질 미처리된 폼 보다 향상된 것을 TGA를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균을 균주로 이용하여 항균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균 감소율이 99%까지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균성이 지속적임을 알 수 있었다.

폴리우레탄 폼에 LMO를 고정화하여 리튬이온 회수를 위한 새로운 PU-LMO 흡착제의 제조 (Preparation of a Novel PU-LMO Adsorbent by Immobilization of LMO on Polyurethane Foam for Recovery of Lithium Ions)

  • 유해나;이민규
    • 청정기술
    • /
    • 제20권3호
    • /
    • pp.277-2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EVA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우레탄 폼(PU)에 LMO를 고정화한 PU-LMO를 제조하였다. XRD 및 SEM 분석을 통해서 EVA에 의해 LMO가 폴리우레탄에 잘 고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LMO를 제조시에 EVA/LMO의 최적비율은 0.26이었다. PU-LMO에 의한 리튬이온의 흡착 속도는 유사 2차 속도 모델식에 잘 부합하였다. 평형실험 데이터는 Langmuir 흡착 등온식에 잘 적용되었으며, 최대 흡착량은 17.09 mg/g이었다. PU-LMO는 리튬이온에 대한 분배계수($K_d$)가 다른 금속들의 $K_d$ 값에 비해 높게 나타나 뛰어난 리튬 이온 선택성과 높은 흡착량을 보였다.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Foam 제조기술 연구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Ecological Foam with Polyurethane Dispersion)

  • 서석훈;이재연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02-102
    • /
    • 2012
  •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기능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용도로 쓰임이 많기 때문에,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환경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그 쓰임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에 비해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 산업환경 변화에 순응하는 환경 친화적 소재를 사용하여 자동차, 선박, 철도 등 수송용 인테리어 내장재를 구성하는 기술로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유지 기술, 그리고 실내 쾌적감을 부여하기 위한 감성기술 및 심미적 요소를 부여하는 디자인 기술이 가미된 복합 기능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차용 시트 제품의 대부분은 습식 PU와 PVC를 사용하고 있고, 제조과정에서 용제와 가소제 사용 등으로 인해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많은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마땅히 대체할 소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Frothing 기법을 이용한 친환경 foam 제조기술은 기존의 습식 PU foam과 PVC foam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PUD foam의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보완된다면 상업적 용도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나노점토가 연질 폴리우레탄/점토 다공성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nocla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Flexible Polyurethane/Clay Nanocomposites)

  • 옥경민;김규헌;김경록;김동현;김춘환;박홍채;윤석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366-372
    • /
    • 2013
  • Flexible polyurethane/clay porous nanocomposite foams were synthesized using natural and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clays such as bentonite, closite 10A and closite 30B. The content of nanoclays was varied from 1 to 5 wt% of polyol. Dispersion of clay in Polyurethane(PU) matrix was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Cu-$K{\alpha}$ rays of wavelength $1.54{\AA}$) using an X-ray diffractometer. Also, we determined that the thermal resistance of PU foam increased with added clay, compared to that of pure PU foam. The cell size and the fraction of open cells of the precursor foam were controlled by the addition of clay to the polyurethane foam. Modified clays were found to be more efficient cell openers than the unmodified clay. In addition,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polyurethane/clay porous nanocomposites were examined. Increasing clay content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However, increasing the content over 5 wt% deteriorated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 found that the nanofillers(bentonite, closite 10A and closite 30B) improve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nanocomposite foam. The nanocomposite foam containing 3 wt% of closite 30B exhibited the best tensile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수송용 친환경 foam-skin 일체형 표피재 개발 (The Dvelopment of Ecological Uni-Skin for Transportation Industries)

  • 이재연;서석훈;김대영;박재경;이정남;권오경;구경모;김명순;심지현;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19-19
    • /
    • 2012
  • 최근 산업환경 변화에 순응하는 환경 친화적 소재를 사용하여 자동차, 선박, 철도 등 수송용 인테리어 내장재를 구성하는 기술로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 유지 기술, 그리고 실내 쾌적감을 부여하기 위한 감성기술 및 심미적 요소를 부여하는 디자인 기술이 가미된 복합 기능화 기술개발이 구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차용 시트 제품은 대부분 PU Foam을 시트원단에 불꽃으로 Lamination 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이러한 제조 방식은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되고 PU Foam을 제조하는 공정 및 불꽃으로 Lamination 하는 공정에서 많은 환경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등 환경적으로도 많은 문제점을 감수하면서 생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각종 원단의 표피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U와 PVC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용제와 가소제 사용 등으로 인해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많은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마땅히 대체할 소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실리콘수지는 기존의 PU와 PVC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응용기술 개발을 통해 충분히 적용이 가능한 소재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난연성을 가진 실리콘 내장 표피재에 불꽃으로 Lamination하는 공정을 배제한 친환경 PUD Foam을 바로 Back Coating함으로써 일체형 고 기능 친환경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친환경 복합화 기술 및 SEAT 원단과 표피재의 일체형 모듈화 공법개발을 이루고자 한다.

  • PDF

당뇨화 다밀도 안창의 충격특성 (Impact Characteristics of Multi-Density Insoles for DM Shoes)

  • 금영광;정임숙;강성재;김영길;김명웅;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일정한 충격하중을 제공하여 충격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당뇨화 안창의 소재에 대한 감쇠지수, 중앙주파수, 반발계수 등을 통하여 6종류의 당뇨화 소재와 3종류의 다밀도 당뇨화 안창의 충격특성을 측정하였다. Podian, Plastazote black, Plastazote white, Flexible PU foam, Podialene 200 blue, Podia flex 소재 중에서 감쇠지수와 반발계수는 Podian이 우수하였으며, Flexible PU foam 소재의 중앙주파수가 가장 작음을 알 수 있었다. 3종의 다밀도 안창인 AP 안창, OS 안창, PW 안창을 각각 세 부위로 나누어 안창의 종류와 부위별 충격특성을 비교한 결과 발뒤꿈치 부분이 충격완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발계수와 중앙주파수에서는 OS 안창이 AP 안창보다 충격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보였으나, 감쇠지수는 서로 유사한 견과를 보였다. PW 안창은 두 겹의 폴리우레탄이 전체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부위별로 유사한 충격흡수정도를 나타내었다.

슬러리 코팅 공정으로 제조된 Fe 폼의 기공 특성에 미치는 바인더 함량의 영향 (The Effect of Binder Content for the Pore Properties of Fe Foam Fabricated by Slurry Coating Process)

  • 최진호;양상선;김양도;윤중열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39-444
    • /
    • 2013
  • Fe foam with above 90% porosity and 2 millimeter pore size was successfully fabricated by a slurry coating process. In this study, the binder contents were controlled to produce the Fe foam with different pore size, strut thickness and porosity. Firstly, the slurry was prepared by uniform mixing with Fe powders, distilled water and polyvinyl alcohol(PVA) as initial materials. After slurry coating on the polyurethane(PU) foam the sample was dried at $80^{\circ}C$. The PVA and PU foams were then removed by heating at $700^{\circ}C$ for 3 hours. The debinded samples were subsequently sintered at $1250^{\circ}C$ with holding time of 3 hours under hydrogen atmosphere. The three dimensional geometries of the obtained Fe foams with open cell structure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micro CT(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the pore morphology, size and phase.

Effect of Blowing Agents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polydimethylsiloxane Hybrid Foam

  • Asell Kim;Hyeonwoo Jeong;Sang Eun Sh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8권4호
    • /
    • pp.208-215
    • /
    • 2023
  •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polyurethane-polydimethylsiloxane (PU-PDMS) hybrid foams containing different types and contents of physical blowing agents (PBAs) were investigated. Two types of blowing agents, namely physical blowing agents and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TEM), were applied. The apparent density was measured using precisely cut foam samples, and the pore size was measured using image software. In addition, the microstructure of the foam was confirmed vi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thermal conductivities related to the microstructures of the different foams were compared. When 0.5 phr of the hydrocarbon-based PBA was added, the apparent density and pore size of the foam were minimal; however, the pore size was larger than that of neat foam. In contrast, the addition of 3 phr of TEM effectively reduced both the apparent density and pore size of the PBAs. The increase in resin viscosity owing to TEM could enhance bubble production stability, leading to the formation of more uniform and smaller po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M is a highly efficient PBA that can be employed to decrease the weight and pore size of PU-PDMS hybrid foams.

슬러리 코팅 공정으로 제조된 Fe 폼의 기공 특성에 미치는 Fe 및 Fe2O3 분말의 혼합 비율의 영향 (The Effect of Fe and Fe2O3 Powder Mixing Ratios on the Pore Properties of Fe Foam Fabricated by a Slurry Coating Process)

  • 최진호;정은미;박다희;양상선;한유동;윤중열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6-270
    • /
    • 2014
  • Metal foams have a cellular structure consisting of a solid metal containing a large volume fraction of pores. In particular, open, penetrating pores are necessary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in high temperature filters and as a support for catalysts. In this study, Fe foam with above 90% porosity and 2 millimeter pore size was successfully fabricated by a slurry coating process and the pore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e Fe and $Fe_2O_3$ powder mixing ratios were controlled to produce Fe foams with different pore size and porosity. First, the slurry was prepared by uniform mixing with powders, distilled water and polyvinyl alcohol(PVA). After slurry coating on the polyurethane(PU) foam, the sample was dried at $80^{\circ}C$. The PVA and PU foams were then removed by heating at $700^{\circ}C$ for 3 hours. The debinded samples were subsequently sintered at $1250^{\circ}C$ with a holding time of 3 hours under hydrogen atmosphere. The three dimensional geometries of the obtained Fe foams with an open cell structure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micro CT(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the pore morphology, size and phase. The coated amount of slurry on the PU foam were increased with $Fe_2O_3$ mixing powder ratio but the shrinkage and porosity of Fe foams were decreased with $Fe_2O_3$ mixing powder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