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7초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에 의한 점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of Ignition due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 김윤석;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8
    • /
    • 2016
  • 국내외의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을 취급하는 대형설비에서의 폭발위험장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와의 공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폭발위험장소의 안전관리는 크게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이 누출되어 폭발분위기를 형성할 때 점화원을 제어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방폭시스템이 있다. 제도와 기술로 인해 전기적 점화원에 대한 방폭설비는 상당히 보급되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열적 점화원의 경우,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기술개발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의 점화 위험을 보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국제표준과 사고사례 및 위험분석보고서를 연구하고, 국내 중부권 공정안전관리제도 대상 사업장의 디젤엔진의 불꽃방지기 등 안전장치 적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석유화학 산업에 적용함에 있어,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 점화원의 위험인식을 통해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대한 안전관리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화학공정산업에서 안전문화 이행과 영향 변수 (Safety Oimate Practice and its Affecting Variables in the Chemical Process Industry)

  • 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7-133
    • /
    • 2006
  •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안전 분위기를 확인하여 공장과 근로자의 안전문화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아내고 더 나아가 화학공장의 안전문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요소를 찾는데 있다. 이 논문에 사용된 질문표는 영국의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 의 질문표를 근간으로 문헌 조사를 통하여 경영자와 근로자로 분류하여 개발하였다. 안전문화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수 분석을 하였으며 공장규모, 사고 발생, 사고 및 상해 경험과 심각성, 그리고 고용기간 등과 같은 영향변수들은 ANOVA(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적용하여 테스트하였다. 빈도수 분석의 결과 일반적으로 경영자와 근로자 모두가 안전문화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주된 문제점들로는 부적당한 안전 보건 절차와 규칙, 생산에 대한 압력, 그리고 규칙위반으로 나타났다. 또한 ANOVA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용기간'은 다른 안전 문화의 수준을 만드는 유일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전문화의 조사로부터 공장들의 안전 문화요소에 대한 주요 3가지 문제점과 안전문화수준을 발견하였으며 안전 이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2가지 영향요소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