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AP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A 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 Compared to a Basic Hearing Aid for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Mild-to-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 Choi, Ji Eun;Kim, Jinryoul;Yoon, Sung Hoon;Hong, Sung Hwa;Moon, Il Joon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2호
    • /
    • pp.91-98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unctional hearing with the use of a 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 (PSAP) or a basic hearing aid (HA) among sensorineural hearing impaired listener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participants with mild-to-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26-55 dB HL; pure-tone average, 0.5-4 kHz) were prospectively included. No participa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HAs or PSAPs. Audiograms, speech intelligibility in both quiet and noisy environments, speech quality, and preference were assessed in three different listening conditions: unaided, with the HA, and with the PSAP. Results: The use of PSAP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re-tone thresholds at 1, 2, and 4 kHz compared to the unaided condition (all p<0.01). In the quiet environment, speech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wearing a PSAP compared to the unaided condition (p<0.001), and this improvement was better than the result obtained with the HA. The PSAP also demonstrated similar improvement in the most comfortable levels compared to those obtained with the HA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a noisy environment when wearing the PSAP (p=0.16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orted speech quality produced by either device or in participant preference for the PSAP or HA.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 suggests that PSAPs provide considerable benefits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a quiet environment and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compensate for mild-to-moderate SNHL.

A 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 Compared to a Basic Hearing Aid for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Mild-to-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 Choi, Ji Eun;Kim, Jinryoul;Yoon, Sung Hoon;Hong, Sung Hwa;Moon, Il Joon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1-98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unctional hearing with the use of a personal sound amplification product (PSAP) or a basic hearing aid (HA) among sensorineural hearing impaired listeners. Subjects and Methods: Nineteen participants with mild-to-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SNHL) (26-55 dB HL; pure-tone average, 0.5-4 kHz) were prospectively included. No participa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HAs or PSAPs. Audiograms, speech intelligibility in both quiet and noisy environments, speech quality, and preference were assessed in three different listening conditions: unaided, with the HA, and with the PSAP. Results: The use of PSAP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re-tone thresholds at 1, 2, and 4 kHz compared to the unaided condition (all p<0.01). In the quiet environment, speech intelligi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wearing a PSAP compared to the unaided condition (p<0.001), and this improvement was better than the result obtained with the HA. The PSAP also demonstrated similar improvement in the most comfortable levels compared to those obtained with the HA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a noisy environment when wearing the PSAP (p=0.16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orted speech quality produced by either device or in participant preference for the PSAP or HA.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 suggests that PSAPs provide considerable benefits to speech intelligibility in a quiet environment and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compensate for mild-to-moderate SNHL.

뇌졸중 후 후유증: 피로, 우울, 감정조절 장애, 분노 조절 장애를 중심으로 (Post-stroke fatigue, depression, emotional incontinence, and anger-proneness)

  • 최스미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6-91
    • /
    • 2005
  • Stroke patients often develop post stroke sequelae when they survive. Post stroke fatigue and emotional disturbances including depression are common along with motor dysfunction. However, medical personnel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emotional changes and the presence of fatigue following strokes. Post-stroke fatigue was common, occurring in 57% of the patients in our series. The post-stroke fatigue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pre-stroke fatigue, physical disability and post stroke depression (PSD) although the relation to the lesion location remains elusive. The prevalence of post-stroke emotional disturbance has been reported to range from 12% to 64%. The wide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post stroke depression may be related to methodological heterogeneity in items such as the criteria for depression, the timing of assessment, and the study population. Emotional incontinence, which is characterized by inappropriate or excessive laughing or crying is also common. The incidence of and factor related to this post-stroke emotional incontinence (PSEI) also remains unclear. We reported that out-patients with single, unilateral stroke, 18% had PSD and 34% had PSEI. Although both PSD and PSEI were related to motor dysfunction and location (anterior vs. posterior cortex) of the lesion, the latter was a stronger determinant for PSD. PSEI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subcortical strokes than was PSD. Another manifestation of post stroke patients is the occurrence of post stroke anger proneness (PSAP). They may become easily irritated, impulsive, less generous, and prone to be angry or aggressive at others. We also have reported the PSAP which seems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PSEI. The lesion distribution appears to be also similar. Both PSEI and PSAP respond well to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uggesting that these symptomsmay be possibly related to the alteration of serotonin after brain injury. Likewise, PSAP also produces a great deal of frustration and embarrassment among patients and caregivers. In summary, emotional disturbances such as depression, emotional incontinence, anger-proneness and fatigue are fairly common but under-recognized sequelae of stroke. These emotional disturbances de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and caregivers,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overall prognosis. Therefore, these problems must be appropriately recognized and alleviated. Finding strategies to relieve the symptoms is imperative by understanding the causative factors in individual patient.

  • PDF

청력검사와 적합 프로파일 기반의 청력 보정 시스템 (A Hearing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Hearing Test and Fitting Profiles)

  • 김형욱;이영록;박동규;한창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110-1118
    • /
    • 2018
  • Personal sound amplifiers(PSAPs) provide accessible and affordable healthcare to individuals with hearing disability. Many studies are in progress for affordable PSAP development, but still people do not have a best fitting profile for the PSAP depending on their hearing test. As a result, they do not have a personalized and profiled music and sound, which are very helpful for those who has hearing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vice and mobile system to provide music with an equalizer value according to the hearing condition of an individual to prevent the hearing los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frequency band of the equalizer in a smart phone, we developed bluetooth controlled equalizer based on the fitting profiles.

IP-기반 고정형 VoIP 긴급통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P-based Fixed VoIP Emergency System)

  • 고상기;천지훈;최선완;강신각;허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4호
    • /
    • pp.245-252
    • /
    • 2008
  • VoIP 망에서 긴급통화 서비스는 기존의 유 무선 전화 서비스와 같이 필수 사항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National Emergency Number Association (NENA)는 기존의 유 무선망에서의 긴급통화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프로시져를 개발하고 있다. 반면에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서는 착발신이 모두 IP 환경을 고려한 긴급통신 프로토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 결과, 두 모델 간에 불일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NENA 구조를 채택하여 수정하고, 수정된 모델에 IETF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는 SIP 기반 VoIP 긴급통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특히, 긴급 호를 다루는 재난방재센터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는 기존 통신 환경 및 인터넷 환경 모두를 고려한다. 본 시스템은 유닉스 환경에서 구현된다.

와이브로 망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구조 (An Architecture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in WiBro Networks)

  • 이계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1-56
    • /
    • 2011
  • 우리나라 주도의 와이브로 기술은 가장 먼저 4G 고지에 도달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 유망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중 가장 유력한 주자 중 하나이다. 모바일 와이맥스로 국제 표준화 되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해외 많은 나라에서 구축되고 있다. 와이브로 망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은 대국민 기반 서비스일 뿐 아니라, 번호 이동을 통해 다른 통신망의 음성 가입자를 유인하는데 전제가 되는 긴요한 서비스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모바일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브로 망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국제 호환성을 위해 WiMAX Forum (WMF)에서 표준화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과의 인터페이스는 우리나라 긴급 교환망 구조 및 현 긴급 서비스 시스템과 무리 없이 연동되도록 고안되었다.

와이브로 모바일 VoIP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구조 (An Architecture Supporting Emergency Service in WiBro Mobile VoIP Networks)

  • 이계상;이일진;강신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4-416
    • /
    • 2010
  • 우리나라 주도의 와이브로 기술은 가장 먼저 4G 고지에 도달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 유망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중 유력한 주자이다. 모바일 와이맥스로 국제 표준화 되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해외 많은 나라에서 구축되고 있다. 긴급 서비스 지원은 대국민 기반 서비스일 뿐 아니라, 다른 통신망의 음성 가입자를 번호이동으로 유인하는데 전제되는 긴요한 서비스이다. 본 논문은 와이브로 망을 이용한 모바일 VoIP 서비스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다. 제안되 구조는 국제 호환성을 위해 WiMAX Forum (WMF)에서 표준화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PSAP과의 인터페이스는 우리나라 긴급 교환망 구조에 무리 없이 연동되도록 고안되었다.

  • PDF

긴급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SIP에서의 호 서비스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ll Service Mechanism on SIP for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s)

  • 이규철;이종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93-300
    • /
    • 2007
  •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서비스가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 전화서비스가 기존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 전화서비스를 대체하는 서비스로 자리 잡아 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해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 이슈 중 하나가 인터넷 전화서비스가 PSTN의 911과 같은 긴급전화서비스 제공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에서도 PSTN의 전화서비스와 같이 911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기본 VoIP 911 호 (Basic 911 또는 B-911)는 위치 정보 혹은 콜백 번호 없이 LEA(Law Enforcement Agency)의 일반 접근라인으로 라우팅 되고, 향상된 VoIP 911호 (Enhanced 911 또는 E-911)의 경우는 위치정보와 콜백 번호정보를 가지고 911 전용 네트워크상으로 라우팅 되어 지역 911 분배센터에 도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VoIP기반 인터넷 전화망에서는 긴급전화서비스를 별도의 서비스로 다루고 있지 않거나 성능이 PSTN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이며, 해당 호의 위치정보 및 콜백 번호정보 등이 파악되지 못해 가장 인접한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긴급전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기반의 긴급전화서비스 메커니즘을 제안하며, 실제 구현을 통하여 PSAP로의 효율적인 접근과 해당호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더넷 기반 기업 인터넷 전화망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개선된 위치 정보 제공 방식 (An Enhanced Location Offering Mechanism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in Ethernet-based Enterprise VoIP Networks)

  • 이계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63-2669
    • /
    • 2010
  • 지난 5년여 동안, 우리나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800만 여명을 넘어서는 가입자를 확보할 정도로 괄목할 만한 급성장을 해 왔다. 최근 들어서는 개인 가입자 보다는 기업 또는 기관 가입자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렇게 규모가 커진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서 119와 같은 긴급서비스의 적절한 지원은 매우 긴요하다. 현 우리나라 인터넷 전화망에서 긴급 서비스 호가 접수대에 착신 시 제공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가입 시 입력되거나 단말 이동 사용 시 갱신된 정보에 의존한다. 사용자의 개입이 요구되는 이러한 수동 위치 제공 방식은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태만히 하거나 잘못 입력하는 경우 구조 및 구급에서 치명적인 실패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기반 기업 인터넷 전화망에서 긴급 서비스 지원시 네트워크에서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개선된 위치 정보 제공 방식을 제안한다.

RFID를 이용한 VoIP 긴급서비스 모델 (A VoIP Emergency Services Model with RFID)

  • 김진홍;이길섭;이승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202-204
    • /
    • 2005
  • 통신 네트워크 발전 추세에 따라 데이터와 음성회선을 통합하고 PSTN을 통한 전화 서비스보다 저렴한 통신비용과 다양한 부가서비스 구현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진 VoIP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VoIP서비스의 긴급서비스에서 위치식별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VoIP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으로 부여된 발신전화번호 정보를 송출하지 않아 발신자의 위치 및 해당지역 PSAP의 식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물 내 LAN 환경에서 VoIP 단말기와 연결하는 실내의 모든 이더넷 포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지정된 VoIP 단말기와 연계시킴으로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단말기 이동시마다 위치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oIP서비스에 서 RFID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 위치를 식별하는 긴급서비스 지원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가입자 위치정보 획득 및 관리, 호 라우팅 등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VoIP 망에서 단말기 이동에 대한 위치 확인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