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

검색결과 3,000건 처리시간 0.033초

소랄렌의 광화학 반응에 대한 Ab initio 계산 (Ab initio Calculation for Photochemistry of Psoralens)

  • 김자홍;권오형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44-256
    • /
    • 2009
  • 소랄렌과 피리디민 염기와의 $C_4$-고리화 부가반응을 통한 가닥내 교차 결합(interstrand crosslinking) 에 의해 만들어진 소랄렌 복합체를 ab initio 방법인 HF와 DFT 6-31G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소랄렌과 피리디민 염기에 의해 만들어진 광생성물인 8-MOP< >Thy, Ps< >Cyt, Ps< >Thy, Ps< >Ps, Thy< >(3, 4)Ps(12, 13)< >Thy의 최적화된(optimized) 구조를 알 수 있으며, 8-MOP< >Thy은 (trans-syn) 구조, Ps(3, 4)< >Cyt은 (trans-anti) 구조, Ps(12, 13)< >Cyt은 (trans-anti) 구조, Ps(3, 4)< >Thy은 (trans-syn) 구조, Ps(12, 13)< >Thy은 (trans-syn) 구조가 가장 유리하다. Ps(3, 4)< >Thy과 Ps(12, 13)< >Thy의 Gibbs 자유 에너지 변화(${\Delta}{G^{\circ}}$)를 비교하면 Ps(12, 13)< >Thy의 광생성물(단일부가 생성물)이 이루어진 뒤에 Ps(3, 4)< >Thy의 광고리화 부가반응 생성물(이중부가 생성물)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Bispsoralen(psoralen dimer)에서는 Ps(12, 13)< >Ps(12, 13)(trans-anti) 구조가 가장 유리하며, Thy< >(3, 4)Ps(12, 13)< >Thy에서는 (cis syn)(cis anti) 형태가 가장 유리하다.

인삼과 무 엽록체의 광합성 전자전달 활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in Isolated Chloroplast of Korean Ginseng and Radish)

  • 김갑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11-118
    • /
    • 1990
  •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hloroplasts of Korean ginseng as a semi-shade plant and radish as a sun plant, effects of growth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PS) activity in chloroplasts and superoxide (O2.-) production in thylakoid membrane by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High-light chloroplasts of both plants showed higher PS activities than those grown under ow growth light intensity. High PS II and low PS I activities in ginseng chloroplasts (ratio of PS II/PS I : 1.1) were observed, but radish chloroplasts showed low PS II and high PS I activities (ratio of PS II/PS I : 0.3). PS II activity of both plants was little affected by temperature in range of 15-35$^{\circ}C$. Activities of whole -chain (PS II+I) in ginseng and PS I in radish were increased at high temperature (4$0^{\circ}C$). Preincubation of chloroplasts at 4$0^{\circ}C$ during 30 min, as a mild heat stress, caused rapid decrease in PS II and PS II+I activities of both plants. However PS I activity was not decreased in ginseng and rather increased in radish. O2.- production (NBT reduction) in Mehler reaction in the thylakoid membrane was inhibited by DCMU in both plants. DMBIB inhibited O2.- production in ginseng, but radish was insensitive to DMBIB. Electron flow system in ginseng thylakoid membrane was more susceptible to damage of photooxidation than that of radish.

  • PDF

Polysulfone으로 제올라이트 A를 고정화한 방사성 물질제거용 PS-zeolite 비드 제조 (Preparation of Novel PS-zeolite Beads Immobilized Zeolite with Polysulfone for Radioactive Materials)

  • 이창한;박정민;감상규;이민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5-151
    • /
    • 2015
  • 수중의 Sr과 Cs 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폴리술폰(polysulfone, PS)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고정화로서 PS-zeolite 비드를 제조하였다. PS-zeolite는 SEM, XRD, FT-IR, TGA를 이용하여 특성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PS-zeolite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PS 1.25 g과 제올라이트 A 2 g이었다. 용액 pH의 증가에 따라 PS-zeolite 비드에 의한 Sr과 Cs 이온의 제거효율은 증가하였지만, pH 4 이상에서 일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PS-zeolite 비드는 $Na^+$, $K^+$, $Mg^{2+}$$Ca^{2+}$와 같은 공존이온이 존재하더라도 Sr과 Cs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흡착과정에서 PS-zeolite 비드로부터 제올라이트 입자가 탈리되지 않았으며, PS-zeolite 비드는 SEM 이미지 상에서 구조가 유지되었다. PS-zeolite 비드에 의한 Sr과 Cs의 제거효율은 5회 흡착-탈착 실험을 반복하여도 90% 이상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로서 PS-zeolite 비드가 Sr과 Cs 이온의 흡착제로서 적용가능하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S-zeolite는 산업폐수처리를 위한 방사성 이온 제거용 흡착제로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보리 유식물 분리엽록체의 광합성 전자전달활성에 미치는 Dimethipin의 영향 (Effects of Dimethipin on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of Isolated Barley Chloroplasts)

  • 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52-56
    • /
    • 2005
  • 8일간 생장한 보리 유식물에 72시간 동안 dimethipin을 처리하면서 엽록소 함량의 변화와 광합성적 전자전달 활성을 측정하였다. 10/sup -3/M dimethipin을 72시간 처리한 경우 엽록소 함량이 33%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7일간 암소에서 생장시킨 후 dimethipin을 처리한 보리 유식물은 녹화 48시간에 10/sup -4/M에서 대조구에 비해 43%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b 비율이 증가하였다. 24시간의 dimethipin처리는 PSⅡ+PSⅠ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0/sup -4/M dimethipin처리는 48시간 배양시 10% 그리고 72시간에는 25%의 PSⅡ+PSⅠ 활성을 억제하였다. Water splitting system을 제외한 PSⅡ+PSⅠ 활성은 10/sup -4/M dimethipin을 48시간 처리할 경우 16% 그리고 72시간에는 27% 억제되었다. 10/sup -4/M dimethipin을 24시간 처리할 경우 PSⅡ활성은 8%, 48시간에서는 13% 그리고 72시간에서는 18% 억제되었다. 10/sup -4/M dimethipin을 24시간 처리할 경우 PSⅠ활성은 4%, 48시간에서는 8% 그리고 72시간에서는 10% 억제되었다. 7일간 암소에서 자란 황백화된 보리 유식물을 녹화시간 6, 12, 24와 48시간에 dimethipin을 처리할 경우 PSⅡ+PSⅠ 활성은 5, 10, 10 그리고 11% 억제되었다. 반면에 water splitting system을 제외한 PSⅡ+PSⅠ 활성은 모든 처리시간에서 그 효과가 없었다. 또한 PSⅡ와 PSⅠ의 활성도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dimethipin에 의해 야기된 광합성적 전자전달활성의 억제는 엽록체 합성과정에서의 영향보다는 엽록체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엽록체 기능의 감소는 dimethipin에 의해 야기되는 30∼40%의 엽록소 함량감소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 그래핀과 나노 흑연이 폴리스티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및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raphene Oxide and Graphite Nanoplatelets on Rheolog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 Nanocomposites)

  • 염효열;나효열;이성재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502-509
    • /
    • 2014
  • 탄소기반 판상형 나노재료인 산화 그래핀(GO)과 나노 흑연(GNP)은 고분자재료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복합재료용 나노필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스티렌(PS)에 나노필러를 첨가한 PS/GO와 PS/GNP 나노복합재료를 라텍스 기법으로 제조한 다음 유변학적, 전기적 물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PS 입자는 무유화제 유화중합으로 중합하였으며, GO는 흑연으로부터 modified Hummers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친수성인 GO는 첨가제 없이 PS 수성 현탁액에 분산하였으며, GNP는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분산하였다. 나노필러에 따른 유변물성은 GO가 GNP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GO는 단일층으로 분산이 가능한 반면, GNP는 다수의 층이 겹쳐진 형태이므로 나노 규모의 균질한 분산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도성 통로가 형성되는 지점인 전기적 임계점은 PS/GO, PS/GNP 나노복합재료에 대하여 각각 0.50, 5.82 wt%로 나타났다. PS/GO 나노복합재료가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보여주는 이유는 성형 시 열처리에 의해 GO가 환원되기 때문이다.

Synthesis of Polypropylene-Polystyrene Copolymer via Ultrasonic Irradiation-Initiated Polymerization of Styrene in Polypropylene Solution

  • Kim, Hyungsu;Kim, Jihye;Kim, Miwha;Seyoung Oh;Lee, Jaewook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50-156
    • /
    • 2001
  • Polystyrenes(PS) were grafted onto polypropylene(PP) in the PP solution by ultrasonic irradiation-initiated polymerization of styrene. The resulting products consisted of mixtures of homopolymers and PP-PS copolymer because of the homopolymerization of styrene itself and copolymerization with PP. The dependency of the designated polymerization on sonication times was investigated to monitor the evolution lion of the copolymerization. Formation of the PP-PS copolymer was confirmed by FTIR analysis of the reaction products after a proper separation procedure of free PS and PP-PS copolymer.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for the formation of PP-PS copolymer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hase behavior of the PP/styrene mixture which was also influenced by sonication tim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P-PS copolymer as a compatibilizer for PP/PS blend, melt mixing of PP/PS/PP-PS was performed in a batch mixer. During the mixing, the average torque was higher for the blend containing PP-PS copolymer influencing compatibi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from FRIR analysis and torque measurement, the PS domain size remarkably decreased in the PP/PS/PP-PS blend.

  • PDF

감광제에 의한 수용액 및 토양 중 제초제 quinclorac의 광분해 촉진효과 (Accelerating effect of some photosensitizers on photodegradation of the herbicide quinclorac in aqueous solution and soil)

  • 안기창;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2-18
    • /
    • 2000
  • 제초제 quinclorac의 수중 및 토양중 잔류량을 인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광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6종의 감광제를 선발하여 수중 및 모래에서의 광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자연광 조건하에서 증류수중 quinclorac의 분해는 암조건과 비교할 때 차이가 없어 직접적인 광분해는 용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Methanol 용액에서 quinclorac의 광분해율은 40.3%였으나, 감광제 PS-1 (방향족 ketone), PS-3 (quinone), 그리고 PS-6 (반도체 광촉매)가 함유되어 있는 용액 및 현탁액에서 quinclorac의 광분해율은 각각 96.6%, 72.7%, 그리고 95.7%로서 가장 양호한 광분해 촉진효과를 보였다. 한편 모래에서는 감광제 PS-1, PS-3 그리고 PS-6중에서 PS-3가 64.1%로 가장 양호한 광분해 촉진효과를 보였다. Methanol중 quinclorac의 광분해산물로 5종의 화합물이 그리고 감광제 PS-1에서는 3종의 분해산물이 GC-MS로 구명되었고 aldehyde기를 보유한 광분해산물은 sodium 3,5-dinitrosalicylate의 환원반응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토양에 처리된 quinclorac은 30 ppm 이상의 감광제 PS-3 처리로 광분해되어 남아있는 quinclorac 잔류물은 강피를 방제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감광제 PS-1, PS-3, PS-6가 수용액 및 토양중 quinclorac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광분해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국내공공공사의 잠정금액(Provisional Sum) 집행기준 (Guidelines for Provisional Su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5호
    • /
    • pp.157-165
    • /
    • 2005
  • 최근 국내 공공건설사업에 Provisional Sum(이하 PS)이라는 단어를 잠정공사비 또는 미확정설계공종이라 번역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PS에 대한 정의 및 집행주체, 정산방법 등에 대한 기준이 계약조항이나 관련법규에서 규정되지 않은 채 적용되고 있어 분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PS의 정의 및 업무범위, 정산방법 등에 대한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자료 및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PS의 집행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집행기준의 도출과정에서 관련법규 및 유권해석 내용과의 부합성을 제시하고 해외공사에서 적용된 사례와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본 기준이 합리적인 해석과 처리방법임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PS 항목의 집행주체는 발주자이나 별도 발주는 가능치 않으며, PS 항목은 수량과 단가를 모두 정산할 수 있으며, 순공사비에 포함되는 PS 항목에 대해서는 간접비의 적용이 가능하나 물가변동(에스컬레이션)은 적용되지 않는 것이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술폰화된 PolySEBS/PS Blending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Sulfonated PolySEBS/PS Blending Films)

  • 장석용;한신호
    • 공업화학
    • /
    • 제19권2호
    • /
    • pp.205-208
    • /
    • 2008
  • 저가인 aromatic elastomer polymer인 polySEBS와 PS의 방향족 작용기에 술폰기를 도입시킴으로써 sulfonated polySEBS과 sulfonated PS를 얻었다. 이 술폰화된 고분자를 활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이온 교환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sulfonated polySEBS/sulfonated PS blending films를 제조하였다. 이 필름들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sulfonated polySEBS와 sulfonated PS의 혼합비에 따라 $10^{-2}{\sim}10^{-3}S/cm$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sulfonated polySEBS 10.0 g에 sulfonated PS를 0.5 g 첨가하여 제조한 film이 0.75 meq/g의 이온교환용량 및 25%의 함수율과 함께 가장 우수한 0.07 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냈다.

감광제에 의한 원예작물중 잔류농약의 인위적 경감 (Artificial diminution of the residual pesticides on horticultural crops using photosensitizers)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박주형;이준수;박정옥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7-53
    • /
    • 1999
  • 원예작물중 농약잔류물을 인위적으로 경감시키기 위하여 몇몇 감광제 (photosensitizer, P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균제 iprodione, bitertanol, chlorothalonil, myclobutanil, 및 dichlofluanid를 사과와 오이에 살포한 후 선발된 감광제를 살포하고, 살포 후 0, 1, 3, 7, 15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감광제로는 PS-1 (방향족 ketone), PS-2 (방향족 amine), PS-3 (quinone), PS-4 (무기화합물), PS-5 (유기산염) 및 PS-6(반도체 광촉매)이 선발되었다. 사과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4%로 감소하였고, bitertanol은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78%로 감소하였으며, chlorothalonil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1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56과 54%로 감소하였다. 한편 오이에 살포된 iprodione의 경우 감광제 PS-1과 PS-2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각각 대조구의 44와 67%로 감소하였고, myclobutanil의 경우 감광제 PS-6을 처리한 후 15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5%로 감소하였으며, dichlofluan김의 경우 감광제 PS-1를 처리한 후 3일에 그 잔류량은 대조구의 44%로 감소하였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방향성 ketone인 감광제 PS-1은 사과와 오이에 잔류하는 농약잔류물의 광분해에 그 효과가 탁월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