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YLENE GLYCOL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4초

올레핀 배가스의 분리를 위한 중공사형 복합막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for Olefin Off-gas Recovery)

  • 김정훈;최승학;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5권2호
    • /
    • pp.157-1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폴리올레핀산업에서 배출되는 배가스 내에 존재하는 미반응 올레핀 단량체를 분리${\cdot}$회수를 위한 막분리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로 중공사형 복합막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이다. 중공사형 복합막의 제조를 위해 먼저 고분자 용액의 조성과 내부응고제의 조성을 변화시켜 다양한 구조와 투과도를 갖는 중공사 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위에 올레핀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투과${\cdot}$분리시킬 수 있는 고무상 고분자(폴리디메틸실록산) 선택층을 코팅 용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두께를 조절해 가며 중공사형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되어진 중공사 지지체와 복합막의 구조 및 코팅 두께는 전자주사현미경(SEM)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질소 등의 기체에 대한 단일가스 투과도를 측정하여 그 분리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적화된 중공사 복합막의 코팅 두께는 약 $10\;{\mu}m$이였으며, 올레핀의 투과도는 에틸렌의 경우 75 GPU, 프로필렌과 부텐의 경우 각각 200과 1,120 GPU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질소대비 올레핀의 이상 선택도는 에틸렌/질소가 6.4, 프로필렌/질소, 부텐/질소가 각각 17과 97로 선택층으로 사용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고유한 선택도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올레핀 배가스의 분리회수를 위한 새로운 중공사형 복합막이 성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ross-Linked PVP 게이트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with Cross-Linked PVP Gates)

  • 장지근;오명환;장호정;김영섭;이준영;공명선;이영관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3권1호통권38호
    • /
    • pp.37-42
    • /
    • 2006
  • 유기 박막트랜지스터(OTFTs)제작에서 PVP-게이트 절연막의 형성과 처리가 소자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 게이트 용액의 제조에서는 polyvinyl 계열의 PVP(poly-4-vinylphenol)를 용질로, 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인 poly(melamine-co-formaldehyde)를 경화제로 사용하여 유기 절연막의 cross-link를 시도하였다. MIM 시료의 전기적 절연 특성을 측정한 결과, PVP-기반 유기 절연막은 용액의 제조에서 PGMEA에 대한 PVP와 poly (melamine-co-formaldehyde)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낮은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내었다. OTFT 제작에서는 PGMEA에 대해 PVP를 20 wt%로 섞은 PVP(20 wt%) copolymer와 5 wt%와 10 wt%의 poly(melamine-co-formaldehyde)를 경화제로 추가한 cross-linked PVP(20 wt%)를 게이트 유전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작된 트랜지스터들에서 전계효과 이동도는 5 wt % cross-linked PVP(20 wt%) 소자에서 $0.31cm^2/Vs$로, 그리고 전류 점멸비는 10 wt% cross-linked PVP(20 wt%) 소자에서 $1.92{\times}1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Bactericidal Efficacy of Vital-Oxide®, Disinfectant Solutio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Brucella Ovis

  • Cha, Chun-Nam;Lee, Yeo-Eun;Kang, In-Jin;Yoo, Chang-Yeul;An, Sun-Jeong;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54
    • /
    • 2012
  • 살모넬라와 부루셀라는 가축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축산업과 식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와 베타인 염산염을 주성분으로 한 소독제 바이탈옥사이드의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효력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희석법을 이용한 살균효력시험은 $4^{\circ}C$에서 30분 동안 시험 세균을 희석 소독제에 노출시켜 소독제의 가장 효과적인 낮은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시험이다. 바이탈옥사이드와 시험 세균들을 처리조건에 따라 증류수, 경수, 그리고 유기물 등으로 희석하여 반응을 시켰다. 유기물 조건에서,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바이탈옥사이드의 살균력은 경수조건에서의 살균력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들에 의한 소독제의 살균 유효성분에 대한 저해작용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탈옥사이드는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와 같은 가축병원성 질병들에 대해 살균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소독제는 세균성 질병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등어튀김 중간수분식품(中間水分食品)의 저장안정성(貯藏安定性) (Storage Stability of Intermediate Moisture Deep-Fried Mackerel)

  • 이응호;정숙현;조순영;차용준;김세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3-358
    • /
    • 1983
  • 어육을 이용한 중간수분식품의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고등어육을 원료로써 튀김중간수분식품의 가공조건을 검토하고, 그 최적조건으로 중간수분식품을 제조하여 함기(含氣)포장한 후 상온($25{\pm}2^{\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고등어 튀김중간수분식품의 가공조건은 물 45.9%, 식염 6%, sorbitol 40%, propyleneglycol 2.4%, 솔빈산칼륨 0.7%, 설탕 3%, 글루탐산나트륨 2%, 고추 가루 추출물 0.6ml로 된 침지용액에 고등어 육편을 넣어 $105^{\circ}C$에서 10분간 가열하고난 후 식혀서 빵가루를 입히고 $170{\pm}5^{\circ}C$의 기름에서 3분간 튀김하는 것이었다. 위와같은 가공조건에서 제조한 제품은 수분활성 0.86이었고, 저장 중의 품질변화를 과산화물값, TBA값, 색조, 생균수 및 관능검사 등으로 평가한 결과 상온($25{\pm}2^{\circ}C$) 저장 50일까지 품질에 큰 손상없이 저장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산 및 알칼리 공정으로 조제한 수리미 가열 겔의 물성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Heat-Induced Gels of Surimi from Acid and Alkali Process)

  • 최영준;박주동;김진수;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9-314
    • /
    • 2002
  • 알칼리 pH에서 어육 단백질을 녹인 후 등전점 처리를 통하여 단백질을 회수하고, 중성으로 pH를 조절하여 조제한 알칼리 수리미 가열 겔의 파괴강도와 변형값은 수세 과정을 통해 조제한 기존의 수리미 가열 겔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백색도 값은 수리미에 남아있는 혈색소와 육 색소로 인하여 낮게 나타났다. 산처리 수리미의 저장 modulus 값은 수분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알칼리 수리미의 경우는 증가하였다. 수리미의 최종 pH는 저장 modulus 값에 영향을 미치고 형태는 산처리와 알칼리 처리 수리미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Potassium bromide는 S-S 결합의 형성을 통해 가열 겔의 저장 modulus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처리 수리미는 파괴강도, 변형값 및 백색도에 미루어 어묵 grade의 연제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는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Poly(Amino Acid) Matrix를 이용한 스테로이드의 방출기구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for Release Mechanism of the Steroids in Synthetic Poly(Amino Acid) Matrix)

  • 김의락;강인규;조종수;이명재;정봉진;민경섭;원미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8-389
    • /
    • 1993
  • 합성 polypeptide인 poly(γ-benzyl-L-glutamate)[PBLG]를 A-segment로 하고, polyoxypropylene(POP)를 B-segment로 하는 AB 형태 블록공중합체와 polypropyleneglycol을 B-segment로 하는 ABA 형태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한 후, 이들 공중합체의 생식 호르몬인 progesterone, estrone, estradiol, testosterone의 고분자 매트릭스를 제조하여 이들 스테로이드의 방출량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PBLG-POP1와 PBLG-POP2의 매트릭스에서의 progesterone, estradiol 및 testosterone 방출속도와 ABA 형태의 GPG1 공중합체에서의 progesterone, estrone 및 testosterone 방출속도가 염기성용액보다 산성용액에서 더 빠름을 보았다. 한편 PBLG-POP1와 PBLG-POP2의 매트릭스에서의 estrone 그리고 ABA 형태의 GPG1의 매트릭스에서의 estradiol의 방출속도는 산성용액에서 보다 중성 및 염기성용액에서 더 빨랐다. 서로 다른 매트릭스에서의 방출차이는 GPG1 > PBLG-POP1 > PBLG-POP2이며, 방출속도는 스테로이드의 분자량에 반비례함을 보였다.

  • PDF

피록시캄의 피부투과 및 소염효력에 대한 알코올성 하이드로겔 시스템의 영향 (The Effect of Hydroalcoholic Gel System on Skin Permeation of Piroxicam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 기민효;신희종;이강우;이재욱;김정우;홍청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3호
    • /
    • pp.217-225
    • /
    • 1999
  •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ydroalcoholic gel system (lower alkanol concentration: 40-60%) compared to general hydrogel system (lower alkanol concentration: 10-35%) on transdermal delivery of piroxicam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Piroxicam was incorporated into a hydroalcoholic gel and a hydrogel containing polymers, solvents, and cosolvents. The pH of gel was about 6.3-7.3 and the solvent mixtures were composed of water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ethanol (35, 40, 50, and 60%). For the in vitro study, the skin permeation of piroxicam from the gel formulations was investigated using Franz modified diffusion cells fitted with hairless mouse skin. For the in vivo stud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droalcoholic gel wa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 products (piroxicam hydrogel and ketoprofen hydrogel) in rat and huma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determined using carrageenan induced foot edema model in rat. For the clinical study, it was evaluated from determining efficacy and acceptability with 98 patients suffering from musculoskeletal pain. A novel piroxicam hydroalcoholic gel was successfully formulated in the range of 40-50% of ethanol as solvent, more than 10% of propylene glycol, 5% of $Transcutol^{\circledR}$ and 1 % of benzyl alcohol. The skin permeation of piroxicam using hydroalcoholic gel system wa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hydrogel system $(flux\;:\;139.1-148.2\;{\mu}g/cm^2/hr\;vs.43.0-84.5 {\mu}g/cm^2/hr)$ in vitro. In carrageenan-induced edema model,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droalcoholic gel was better than that of piroxicam hydrogel for edema inhibition (75.1 % vs. 62.9%, p

  • PDF

AgBF4/Al(NO3)3 혼합염이 포함된 PEO/PDMS-g-POEM 블렌드 기반의 올레핀 분리막 (Olefin Separation Membranes Based on PEO/PDMS-g-POEM Blends Containing AgBF4/Al(NO3)3 Mixed Salts)

  • 김상진;정정표;박철훈;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5권6호
    • /
    • pp.496-502
    • /
    • 2015
  • 촉진수송은 기존의 고분자 막에서는 힘든, 투과도와 선택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중 한 가지이다. 촉진수송 분리막을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는 기존의 증류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써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테트라플루오로붕산은/질산알루미늄의 혼합염이 포함된 고분자 블렌드 기반의 촉진수송 올레핀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자유 라디칼중합법을 이용하여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매질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g-폴리옥시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가지형 공중합체 질량 대비 70%를 혼합하였을 때, 혼합기체 선택도 및 투과도는 5.6 및 10.05 GPU에 도달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막의 올레핀 분리 성능이 향상된 이유는, 분리막에 첨가된 은이온이 올레핀 기체분자의 선택적인 촉진 수송을 하였고, 또한 고투과성의 고분자 블렌드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은이온의 은나노입자로의 환원을 억제시키는 질산알루미늄의 첨가로 인해 복합막의 장시간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젖소에 있어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가 혈장 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ubacute Ruminal Acidosi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Lipopolysaccharide in Dairy Cattle)

  • 손혜인;백성광;문주연;안의영;이현준;손용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13-318
    • /
    • 2013
  • 본 시험은 젖소 4두에 대하여 제1위체류형 센서(Indwelling probe)를 정치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아급성제1위과산증(SARA)의 강도를 조사함과 동시에 pH가 혈 중 내독소(Lipopolysaccharide; LPS)의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섬유성탄수화물(Non-fiber carbohydrates, NFC)을 기준으로 적정 수준의 NFC를 포함하고 있는 정상 사료군(Normal diet, ND)과, 아급성제1위과산증(Subacute ruminal acidosis, SARA) 유발가능 사료군(Acidogenic diet, AD)의 2개 처리구에 각 2두씩 배치하여 Cross-over 설계로 사양실험을 반복 실시하였다. 제1위체류형 센서는 장시간에 걸친 제1위 내 pH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얻어진 결과에서 AD 급여는 반추위내용물의 pH를 낮추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반추위 내 pH의 저하는 혈 중 LPS의 농도가 증가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혈 중 LPS 농도는 급성 또는 만성형을 불문하고 과산증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착유우용 사료첨가물로 많이 이용되는 소디움벤토나이트(NaB)와 프로필렌글리콜(PG)의 급여는 반추위 내 pH의 저하를 완충시켜 궁극적으로 SARA의 강도를 완화시키고 혈 중 Lipopolysaccharides (LPS) 농도의 증가를 줄여 줌으로써 내독소에 의해 발생하기 쉬운 제엽염 등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미지 센서 컬러 필터용 다이온 성분을 포함하는 신규 황색 퀴놀린 유도체 (New Yellow Quinoline Derivatives Including Dione Moiety for Image Sensor Color Filters)

  • 박선우;오세영;강유나;권혁민;대선우;이찬규;김대원;장민식;박종욱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80-85
    • /
    • 2023
  • 이미지 센서 컬러 필터에 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노란색 퀴놀린-다이온 염료 파생물을 설계하고 합성했습니다. 합성된 화합물은 퀴놀린과 디온 그룹으로 구성된 기본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재료는 상업적 장치 제조 공정을 모방한 조건에서 광학적, 열적 특성을 기반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들의 관련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제조된 두 화합물 사이에서 2-(3-hydroxyquinolin-2(1H)-ylidene)-1H-indene-1,3(2H)-dione (HQIDO)이 다음과 같은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습니다.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용매에서 0.5 wt%보다 큰 용해도, 각각 298 ℃의 높은 분해온도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컬러 필터 재료. 결과는 HQIDO가 이미지 센서 착색제에서 노란색 염료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