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Q-6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8초

Power Disturbance Classifier Using Wavelet-Based Neural Network

  • Choi Jae-Ho;Kim Hong-Kyun;Lee Jin-Mok;Chung Gyo-Bum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6권4호
    • /
    • pp.307-314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wavelet and neural network based technology for the monitoring and classification of various types of power quality (PQ) disturbances. Simultaneous and automat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PQ transients, is recommended, however these processes have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so far. In this paper,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a power quality data acquisition system (PQDAS) is described. In this system, an auto-classifying system combines the properties of the wavelet transform with the advantages of a neural network. Additionally, to improve recognition rate, extraction technology is considered.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and P. quinquefolium on Hemodynamics and Body Temperature in Healthy Young Men (II)

  • Lee, Jee-Hwan;Cho, Jung-Ah;Ki, Chan-Young;Son, Yeon-Kyoung;Park, Jeong-Hill;Park, Man-Ki;Han, Yong-Nam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318-318
    • /
    • 2003
  •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PG) and P. quinquefolium (PQ) on hemodynamics such as blood flow rate (BF), blood flow velocity (BV), heart rate (HR),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nd body temperature (BT) in healthy young men. This is a randomized, single-blind study observed during 6 hrs after orally single administration of PG and PQ groups. (omitted)

  • PDF

감마선 조사된 녹즙의 In vitro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In vitro Genotoxicological Safety of Fresh Vegetable-Extract Juice by Gamma Irradiation)

  • 이현자;강근옥;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7-1236
    • /
    • 2001
  • 녹즙의 위생화와 저장.유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10kGy 감마선 조사된 녹즙(돌미나리, 당근, 케일 및 신선초)의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 검증의 일환으로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실험과 Escherichia coli PQ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다. 10 kGy로 감마선 조사된 녹즙은 위 세가지 in vitro 유전독성시험을 한 결과, 음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10 kGy로 조사된 녹즙은 어떠한 돌연변이도 유발시키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된 녹즙이 in vitro에서 유전독성학적으로 안전하였다.

  • PDF

Paraquat 투여 생쥐 간에서 홍삼 추출물이 항산화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Components on the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ouse Treated with Paraquat)

  • 이화재;김동윤;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82-189
    • /
    • 1999
  • 본 연구에서 홍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에 홍삼의 총사포닌 분획, 수용성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지용성 분획과 ascorbic acid를 투여(200mg/kg/0.1ml)한 후 paraquat(PQ) 100mg/kg을 복강투여 하였을 때 활성산소 라디칼의 생성을 촉진시킨 후 간에서 $H_2O_2$ 함량, SOD, catalase, GP의 량을 측정한 결과 총사포닌 투여군을 제외한 홍삼추출물 투여 후 PQ투여군 치가 PQ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H_2O_2$ 생성량이 유의성(p<0.01) 있게 감소 억제되었다. 한편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PQ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SOD는 홍삼추출물 투여 모든 군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하였고, catalase는 수용성 추출물과 지용성 분획 투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CP는 지용성 분획에서 유의성(p<0.01)있는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지질과산화에서 PQ처리는 지질과산화 경향 MDA량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홍삼추출물 투여는 PQ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지질과산화 경향에서 MDA량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인삼종자형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V. 고려인삼과 미국인삼 및 고려인삼과 죽절인삼 $F_1$의 화기 및 종자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Flower Organ and Seed in Ginseng Plant. IV.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in the Flower and Seeds of the $F_1$ Plants of the Combinations Panax ginseng ${\times}$ Panax quinquefolium and Panax ginseng ${\times}$ Panax japonicus.)

  • 황종규;양희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65-172
    • /
    • 1973
  • 종간, 속간의 잡종에서는 흔히 불임현상이 일어나는데 인삼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고려인삼(panax ginseng: P.G.)과 미국인삼(panax quinquefolium: P. Q.) 그리고 죽절인삼(Panax japonicus: P.J) 간의 교잡육종에서 P.G.${\times}$P.J.에서만 아주 희귀하게 종자를 얻을수 있고 다른 종합에서는 전혀 잡종 제이세대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하므로 본실험에서는 P.G.${\times}$P.Q.와 P.G.${\times}$P.J.의 교잡종의 화기 및 종자형성중의 유리아미노산의 소장을 추구함으로서 불임현상과 물질대사와의 관련성의 일단을 밝히고저 한다. 1. 두 교잡종의 시료에서 검출된 유리아미노산의 Chromatogram은 서로 유사한 pattern을 나타냈으며 그들의 양친이 나타내는 pattern과 유사하나 spot의 종류나 크기 정색도는 여러 가지 점에서 특이한 변화가 있다. P.G.${\times}$P.Q.에서 19종, P.G.${\times}$P.J.에서는 21종의 spot을 검출하였는데 전자에서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 alanine, Proline, Hydroxy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beta}$-Alanine, Cysteic acid, Tryptophan, Asparagine, Glutamine, ${\gamma}$-Amino butyric acid를 확인하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한 것 외에 Methionine과 한 개의 미지 spot를 얻었다. 2.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c acid와 Asparagine이 전체적으로 보아 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은 P.G. P.Q. P.J에서와 같으나 Asparagine이 소포자기와 화분성숙기에 최다량으로 나타나는 것은 이들의 양친의 경우에는 보지 못했던 특이한 일이다. 3. 홍숙기에 Cysteic acid가 감소되는 것은 P.Q. P.J.의 경우와는 유사하나 P.G의 경우와는 반대되는 현상이며 P.G.${\times}$P.J.에서 Methionine이 검출된 것도 특이하다. 4. Proline은 그들의 양친의 경우와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소포자기에서 아주 미약한 정색을 나타낼뿐이며 이 때에 Asparagine의 spot가 가장 크고 강한 정색을 나타내었는데 이제까지의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Proline의 양과 화분의 임성과는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런 관계가 인삼 종자 형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Proline이 결핍될 때 Asparagine의 축적이 있다는 많은 보고도 있다. 5. 교잡종에서의 결실불능의 원인을 Proline의 과소에 의한 것으로 보며 Proline이 약의 화분퇴화와 중요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찰된다. 6. 그밖에 여러 아미노산의 소장이 P.G. P.Q. P.J. 등의 자식계와 그들과의 잡종사이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생기는 것은 교잡에 의한 Gene-action system의 변혁에 따른 결과라고 추찰되는 것으로 Proline의 대사 및 생리적 영향과 더불어 보다 깊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암호해독을 위한 소인수분해 (Integer Factorization for Decryption)

  • 이상운;최명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21-228
    • /
    • 2013
  • 큰 반소수 n=pq의 소인수 p,q를 나눗셈 시행법으로 직접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인수분해 알고리즘은$a^2{\equiv}b^2$ (mod n)의 제곱합동을 찾아 p=GCD(a-b, n), q=GCD(a+b, n)의 소인수를 찾는 간접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n = pq에 대해 p와 q를 선택한 영역은 $l(p)=l(q)=l(\sqrt{n})=0.5l(n)$의 [$10{\cdots}01$, $99{\cdots}9$] 범위에서 $\sqrt{n}$을 기준으로 $10{\cdots}00$ < p < $\sqrt{n}$$\sqrt{n}$ < q < $99{\cdots}9$에 존재한다는 사실만이 밝혀졌다. 본 논문은 n으로 부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p의 범위를 보다 축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n=n_{LR}+n_{RL}$, $l(n_{LR})=l(n_{RL})=l(\sqrt{n})$으로 분할하여 $p_{min}=n_{LR}$, $q_{min}=n_{RL}$로 설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n의 정보로 p의 범위를 축소하는 방법은 $\sqrt{n}$의 정보로 p의 범위 축소 방법에 비해 최소 17.79%에서 최대 90.17%의 범위 축소 효과를 얻었다.

RNase P-dependent Cleavage of Polycistronic mRNAs within Their Downstream Coding Regions in Escherichia coli

  • Lee, Jung-Min;Kim, Yool;Hong, Soon-Kang;Lee, You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1137-1140
    • /
    • 2008
  • M1 RNA, the catalytic subunit of Escherichia coli RNase P, is an essential ribozyme that processes the 5' leader sequence of tRNA precursors (ptRNAs). Using KS2003, an E. coli strain generating only low levels of M1 RNA, which showed growth defects, we examined whether M1 RNA is involved in polycistronic mRNA processing or degradation. Microarray analysis of total RNA from KS2003 revealed six polycistronic operon mRNAs (acpP-fabF, cysDNC, flgAMN, lepAB, phoPQ, and puuCBE) showing large differences in expression between the adjacent genes in the same mRNA transcript compared with the KS2001 wild type strain. Model substrates spanning an adjacent pair of genes for each polycistronic mRNA were tested for RNase P cleavage in vitro. Five model RNAs (cysNC, flgMN, lepAB, phoPQ, and puuBE) were cleaved by RNase P holoenzyme but not by M1 RNA alone. However, the cleavages occurred at non-ptRNA-like cleavage sites, with much less efficiency than the cleavage of ptRNA. Since cleavage products generated by RNase P from a polycistronic mRNA can have different in vivo stabil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RNase P cleavage may lead to differential expression of each cistron.

SIFT의 descriptor를 위한 sin/cos 프로세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in/cos Processor for Descriptor on SIFT)

  • 김영진;이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4-52
    • /
    • 2013
  •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은 현재 비디오 감시카메라, 자율 주행시스템 등과 같은 영상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IFT 알고리즘에서 연산량과 연산시간이 가장 많이 필요한 부분이 descriptor의 sin/cos 함수를 연산하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SIFT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descriptor를 위한 sin/cos 함수를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 Verilog-HDL 언어를 사용하여 FPGA로 구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한다. Xilinx Spartan 2E(XC2S200E-PQ208-6) 를 사용하여 구현하였을때, 149 Slices에 233 LUTs가 소모되었으며, 최대 주파수는 60.01MHz로 동작하였다. 또한 descriptor에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와 비교 하였을 때 40배 정도의 빠른 성능 향상을 얻었다.

Pd-ZSM-5 촉매 상에서 메탄의 연소 (Catalytic Combustion of Methane over Pd-ZSM-5 Catalysts)

  • 엄기태;박진우;하재목;함현식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878-883
    • /
    • 1998
  • Pd-ZSM-5 촉매 상에서 메탄의 연소반응을 수행하였다. 담체는 저온상압법으로 합성한 ZSM-5를 이용하였다. 담체인 ZSM-5의 $SiO_2/Al_2O_3$ 몰비 변화에 따른 메탄의 전환율 변화를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합성한 Pd-ZSM-5 촉매의 메탄 전환율을 상업화된 Pd-ZSM-5(PQ Co.) 및 $PdO/{\gamma}-Al_2O_3$와 비교하여 보았다. $SiO_2/Al_2O_3$ 몰비 변화에 따른 메탄의 연소반응실험 결과 $SiO_2/Al_2O_3$ 몰비가 작을수록 높은 메탄의 전환율을 보였으며, Pd을 정량화시켜 메탄의 연소속도를 비교한 결과, 역시 $SiO_2/Al_2O_3$ 몰비가 작을수록 빠르게 나타났다. 합성한 Pd-ZSM-5가 상업화된 Pd-ZSM-5(PQ Co.)보다 우수한 메탄 전환율을 나타냈다. 촉매 특성 분석 결과들로부터 메탄의 연소반응에서 촉매에 흡착하는 산소의 결합세기가 반응속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Orang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a Spirobenzofluorene-type Phospine Oxides as Host Materials

  • Jeon, Young-Min;Lee, In-Ho;Lee, Chil-Won;Lee, Jun-Yeob;Gong, Myoung-S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0호
    • /
    • pp.2955-2960
    • /
    • 2010
  • Spiro-type orange phosphorescent host materials, 9-diphenylphosphine oxide-spiro[fluorene-7,9'-benzofluorene] (OPH-1P) and 5-diphenylphosphine oxide-spiro[fluorene-7,9'-benzofluorene] (OPH-2P)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a lithiation reaction followed by a phosphination reaction with diphenylphosphinic chloride. The EL characteristics of OPH-1P and OPH-2P as orange host materials doped with iridium(III) bis(2-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pq)_2acac$) were evaluated.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a of the ITO (150 nm)/DNTPD (60 nm)/NPB (30 nm)/OPH-1P or OPH-2P: $Ir(pq)_2acac$ (30 nm)/BCP (5 nm)/$Alq_3$ (20 nm)/LiF (1 nm)/Al (200 nm) devices show a narrow emission band with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75 nm and $\lambda_{max}$ = 596 nm. The device obtained from OPH-1P doped with 3% $Ir(pq)_2acac$ showed an orange color purity of (0.580, 0.385) and an efficiency of (14 cd/A at 7.0 V). The ability of the OPH-P series to combine a high triple energy with a low operating voltage is attributed to the inductive effect of the P=O moieties and subsequent energy lowering of the LUMO, resulting in the enhancement of both the electron injection and transport in the device. The overall result is a device with an EQE > 8% at high brightness, but operating voltage of less than 6.4 V, as compared to the literature voltages of ~10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