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G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1초

Flexible sensor와 PPG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맥박 측정 장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lse measurement system of hybrid type using by flexible sensor and PPG)

  • 김신자;조성현;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4-446
    • /
    • 2009
  • 현재 대다수의 맥박(또는 심박) 측정 장치는 electrodes와 PPG로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electrodes는 착용자의 불편감과 수입 의존성에 의한 높은 가격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PPG는 동잡음에 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PPG와 flexible sensor를 동시 적용하여 상호 작용하게 함으로서 각 센서들의 단점을 보완 해줄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의 맥박 측정 장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FSR센서를 이용한 압력에 따른 PPG 신호 왜곡 보상 (Compensation of PPG signal distortion due to pressure using FSR sensors)

  • 이재호;이영재;임민규;박희정;이정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281-282
    • /
    • 2013
  •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PPG(photoplethysmography) 센서는 설계가 비교적 간편하며 사용이 편한 장점이 있지만, 움직임으로 인한 동잡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잡음으로 인한 센서와 손가락 사이의 밀착되는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여 왜곡된 신호를 보상하였다. PPG센서와 손가락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FSR(force sensing resistor)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압력과 왜곡된 PPG 신호 비교를 통해 왜곡된 PPG신호와 FSR센서에서 얻은 압력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신호처리를 통하여 왜곡된 신호를 보상 시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PPG신호를 보상하게 된다면 웨어러블한 환경에서의 적용뿐만 아니라 헬스케어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PPG 신호를 이용한 운동 중 맥박수 측정 (Heart-rate Measurement During Exercise Using PPG Signal)

  • 이근상;백용현;박영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0-175
    • /
    • 2010
  • A method of measuring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PPG) signal during exercise is proposed. PPG's are composed of strong base tones and their harmonics, and the strong base tones are trackable by the adaptive notch filter (ANF) which adjusts its coefficients to minimize the output power. The proposed heart rate measurement algorithm continuously notches the frequency component with the maximum power in the measured PPG, so that the fundamental frequency corresponding to heart rate is traced. We also presents methods of detecting degeneration and impulsive noise blocks to minimize the coefficient fluct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real PPG signals captured during exerci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capable of consistently tracking the heart rate embedded in the noisy PPG's.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purpurogallin in vitro and in vivo

  • Ku, Sae-Kwang;Bae, Jong-Sup
    • BMB Reports
    • /
    • 제47권7호
    • /
    • pp.376-381
    • /
    • 2014
  • Enzymatic oxidation of pyrogallol was efficiently transformed to an oxidative product, purpurogallin (PPG). Here, the anticoagulant activities of PPG were examined by monitoring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hrombin time (PT), and the activities of thrombin and activated factor X (FXa). And, the effects of PPG on express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PAI-1) and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were evaluated in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ctiv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Treatment with PPG resulted in prolonged aPTT and PT and inhibition of the activities of thrombin and FXa, as well as inhibited production of thrombin and FXa in HUVECs. In addition, PPG inhibited thrombin-catalyzed fibrin polymeriz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PPG also elicited anticoagulant effects in mice. In addition, treatment with PPG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PAI-1 to t-PA ratio. Collectively, PPG possesses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offers a basis for development of a novel anticoagulant.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igment-deficient Mutants from Azomonas agilis PY101

  • You, Kyung-Man;Lee, Sang-Hyeon;Park, Yo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45-49
    • /
    • 1999
  •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admium tolerance in a cadmium-resistant Azomonas agilis PY101 that produces a specific fluorescent pigment promoted by cadmium, we carried out Tn5 mutagenesis and isolated four pigment-deficient mutants. In these mutants, Ppg1, Ppg2, and Ppg3 remarkably reduced the pigment production to 15.3%, 11.2%, and 13.9%, respectively. Especially, Ppg4 mutant did not produce the pigment at all. None of the mutants grew in the presence of 1500 ppm of CdCl2 in growth medium, and they exhibited differential sensitivities to cadmium. Ppg1, Ppg2, Ppg3, and Ppg4 mutants were sensitive to 900 ppm, 1100 ppm, 1000 ppm, and 800 ppm of CdCl2, respectively. These mutants also showed noticeable increase, from 8.8-fold to 13.2-fold, in the size of growth inhibition zone compared with that of the will type after treatment with cadmium. Therefore, the pigment production of A. agilis PY101 was found to decrease the toxic effects of cadmium to the bacterium.

  • PDF

손목시계 형태의 투과형 PPG 측정 장치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ransmission type PPG Measurement Device in a Wrist Watch)

  • 김남섭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1-16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손목시계형 PPG 측정 장치의 구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PPG는 반사형 또는 투과형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손목시계의 형태의 PPG 측정 장치는 반사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동잡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사형의 경우 한쪽 손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여 측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활동성에도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장치에 클립형의 투과형 센서를 추가하여 손가락에 고정시킴으로써 측정 시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동잡음에 강건하도록 하였고, 한 손으로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활동성에 영향이 없도록 하였다. 제안된 장치는 측정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 적합하며 제안된 장치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해 기존의 장치와 같은 조건하에서의 측정된 신호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제 심박수 측정이 가능한 파형을 확인한 결과, 제안된 측정 장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해 20%의 성능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O2 Wearable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in PPG Signals

  • Kim, Woo-Chan;Chang, Jin-Wook;Kwon, Hoon;Lee, Won Joo;Kwak, H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91-198
    • /
    • 2022
  • 반려동물의 상태 측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호흡과 맥박의 체크이다. 반려동물의 호흡과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반려동물에게서 산소포화도(SpO2)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PPG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입력되는 PPG 신호는 산소포화도뿐만 아니라 여러 정보가 섞여서 입력되기 때문에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PPG 신호로부터 산소포화도 정보를 분리하여 추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PG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측정 장치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이 웨어러블 측정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PPG 신호에서 산소포화도 정보를 분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PPG계 Polyurenthane Methacrylates의 합성과 경화특성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PPG-type Polyurethane Methacrylates)

  • 김주영;서경도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27-638
    • /
    • 1992
  • 분자량과 관능기수가 각각 다른 4가지의 polypropylene glycol(PPG)과 toluene-2, 4-diisocyanate(2, 4-TDI)를 이용하여 polyurethane prepolymer(NCO terminated)를 합성한 후 NCO기 말단에 2-hydroxyethyl methacrylate(2-HEMA)를 반응시켜 PPG계 polyurethane methacrylates 수지를, PPG대신에 bisphenol A(BPA)를 이용하여 BPA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PG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에 반응성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 중합개시제인 cumene hydroperoxide(CHP) 중합금지제인 hydroquinone(HQ)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량변화에 따른 토오크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BPA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와 블렌드하였을때의 조성비에 따른 토오크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토오크 측정결과, TEGDMA 40wt%, cumene hydroperoxide 4wt%, hydroquinone 200 ppm이 첨가되었을 때, 가장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으며, PPG계와 BPA계를 블렌딩하였을 때는 PPG/BPA가 4/6일 때 가장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성희석제인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TEGDMA), 중합개시제인 cume hydroperoxide(CHP), 중합금지제인 hydroquinone(HQ)를 동일하게 첨가한 후, 분자량과 관능기수가 다른 PPG계 polyurethane dimethacrylate 수지들의 열경화시의 토오크강도를 측정한 결과, 관능기수가 같은 수지들(PD750, PD1000, PD2000)의 경우에는 분자량이 적은 수지(PD750)일수록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기수가 많을수록(PT 700) 큰 토오크강도를 나타내었다. 개시제만을 첨가한 후, 열경화를 통해서 얻어진 PPG계 수지들의 겔들을 DSC분석을 통해서 Tg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경화시 분자량이 가장 적고, 관능기수가 가장 많은 PT 700이 가장 큰 폭의 Tg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분자량이 가장 큰 수지인 PD 2000이 가장 적은 폭의 Tg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g를 통해서 가교점간 분자량 Mc를 측정한 결과, 가장 큰 폭의 Tg를 보인 PT 700가 가장 적은 Mc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PT 700이 경화시 가장 조밀한 망목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diacrylate 막의 이산화탄소 기체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O_2$ Throug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Membrane)

  • 임지원;남상용;이선용;윤태일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50-257
    • /
    • 2004
  • 이산화탄소 분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PEG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와 PPG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를 광학 중합반응(Photopoly merization)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EG와 PPG는 분자량이 각각 258과 540이었다. PEG와 PPG의 질량 혼합비(wt%)를 9:1, 8:2, 7:3, 6:4, 5:5로 변화시키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25^{\circ}C$에서 PEG/PPG (9:1)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28.9 barrel 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도($PCO_2$/$PN_2$)는 57.9로 나타났다. 같은 온도에서 PEG/PPG(5:5)로 조성을 변화시켰을 때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40.4 Barrer, 기체선택도($PCO_2$/$PN_2$)는 51.8를 나타냈다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5:5 > 6:4 > 7:3 > 8:2 > 9:1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35^{\circ}C$로 승온을 하는 경우에 PEG/PPG (9:1)는 45.4 Baller, 선택도($PCO_2$/$PN_2$)는 48.2을 나타냈으며, PEG/PPG (5:5)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78.9 Barrer을 나타내고 선택도($PCO_2$/$PN_2$)는 33.2로 나타났다. 각각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기체선택도($PCO_2$/$PN_2$)는 PPG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U-헬스케어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PMAF 기반의 PPG 신호의 동잡음 제거 (Motion Artifacts reduction from the PPG based on the Improved PMAF for the U-Healthcare System)

  • 이한욱;이주원;정원근;전재철;이건기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5호
    • /
    • pp.28-34
    • /
    • 2008
  •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환경의 실현을 위해 실시간의 생체 정보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생체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는 대부분 PPG 신호를 얻어 피측정자의 상태 모니터링에 활용하고 있다. PPG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핑거프로브를 손가락에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핑거 프로브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동잡음으로 인하여 정확한 PPG신호를 얻기가 매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핑거프로브를 없앤 U-헬스케어를 위한 손목형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감시 요소 중 하나인 PPG 신호의 동잡음 제거를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개발한 시스템은 핑거프로브를 없앤 대신 밴드스트립에 LED와 포토센서를 장착하여 손목의 동맥혈관의 혈류 변화량으로부터 PPG를 얻도록 설계하였다. 그러나 밴드스트립에 위치한 센서는 핑거프로브에 위치한 센서에 비해 많은 동잡음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 동잡음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 제기된 PPG 신호의 유사 주기성을 이용한 PMAF(Periodic Moving Average Filter) 방법을 개선한 새로운 동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