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S

검색결과 682건 처리시간 0.031초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P-SEBS/silicate composites)

  • 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88-1992
    • /
    • 2011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triblock copolymer)/실리케이트 복합체를 PP의 조성을 35, 40 그리고 45wt%로 변화시키며 실험실 규모의 Brabender Mixer를 이용하여 $200^{\circ}C$에서 용융상태에서 제조하였다. 실리케이트 조성은 5wt%로 고정하였다.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열적특성을 DSC와 T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P-SEBS 콤파운드의 용융온도는 SEBS 함량에 따라 $141^{\circ}C$까지 감소하였다. 실리케이트가 PP-SEBS에 첨가되었을 때 분해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TGA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콤파운드의 유변학적 특성을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는 PP-SEBS 콤파운드보다 shear thinning과 탄성특성이 증가하였다. 탄성특성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Van Gurp-Palmen 분석을 이용하였다.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과 재결정화 (Melt and Recrystallization Behavior of Syndiotactic Polypropylene and Isotactic Polypropylene)

  • 이상원;허완수;현욱;이동호;노석균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21-527
    • /
    • 2003
  •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sPP)과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iPP)은 용융과정에서 결정의 재배열이 나타나며 이와 같은 재결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결정화도와 결정구조의 변화, 동역학적 물성을 고찰하였고 DSC, FT-IR, SAXS, DM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된 조건에서는 sPP의 재결정화 현상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iPP는 용융으로부터 냉각되는 속도가 빠르게 될 수록 재가열시 재결정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iPP의 재결정화가 진행되는 동안 tan $\delta$가 0.119에서 0.101로 감소하여 탄성율이 증가한 결과를 보이나 결정화도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더욱이 재결정 현상이 진행되는 동안 SAXS 산란피크의 반가폭이 약 30% 감소하여 라멜라의 질서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Nylon6계 반응 상용화제에 의한 PP/PS 블렌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P/PS Blends with Nylon 6 Reactive Compatibilizers)

  • 서성식;이기윤;김성희;김동철;이승구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02
  • RPP(maleic-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와 OPS(oxazoline grafted polystyrene) 블렌드는 비혼화성으로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RPP와 OPS에 Nylon6를 반응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RPP, Nylons, OPS간의 반응을 반응토오크, FT-IR, DSC로 관찰하였다. 3성분계 반응의 결과물로 반응상용화제인 RPP/Nylon6/OPS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RPP/Nylon6/OPS의 반응은 RPP와 OPS가 1:1일 때 Nylons의 당량비가 0.66에서 최대 반응토오크를 얻었으며, Nylon6의 당량비가 1일 때 반응 효율이 크게 나타났다. RPP/Nylon6/OPS의 반응에 따른 몰폴로지의 변화를 관찰하여 반응정도가 높을수록 미세한 균일상을 얻었다. 블렌드의 물성은 Nylon6의 당량비가 1.5일 때 가장 높은 물성값을 얻었다. 만들어진 RPP/Nylon6/OPS 3성분계 블렌드를 PP/PS 단순 블렌드에 첨가하여 상용성을 고찰하였고 PP/Nylon6/PS 비혼화성 블렌드와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RPP/Nylon6/OPS가 PP와 PS 블렌드계의 반응상용화제로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MTT formazan의 발색에 미치는 zinc protoporphyrin의 영향 (Changes in Color Response of MTT formazan by Zinc Protoporphyrin)

  • 박경아;최현아;김미리;최유미;김현정;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54-759
    • /
    • 2011
  • 본 연구는 세포의 사멸 및 성장변화 등의 평가에 널리 이용되는 MTT assay에서 생성된 formazan dye에 미치는 ZnPP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ZnPP는 생체 내에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다양한 관련 실험에 인위적으로 첨가해주는 물질로서, MTT formazan dye의 빛에 의한 탈색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Formazan dye의 분해는 5와 $10{\mu}M$ ZnPP 존재 시 반감기를 기준하여 각각 10 및 20배 가량 가속화되었으며, 빛이 차단된 조건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ZnPP 구조 중 Zn는 formazan dye의 탈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porphyrin 구조와 공통적인 감광체 성질을 나타내는 MB에 의해서 ZnPP 존재 시와 유사하게 dye의 탈색을 가속화 시켰다. 이러한 ZnPP와 MB에 의한 formazan dye의 탈색반응은 NAC와 ${\beta}$-carotene에 의해 지연되었으나, BHT에 의한 저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는 세포 중에 존재하는 ZnPP 등의 감광체류가 MTT tetrazolium으로부터 환원된 formazan dye의 빛에 의한 신속한 분해를 유도하며, 관련 실험에서 빛의 차단 등의 조치와 함께 각별히 유의해야함을 시사한다.

Tunneling Layer의 두께 변화에 따른 유기 메모리의 특성

  • 김희성;이붕주;신백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6-366
    • /
    • 2013
  • 건식 박막증착 공정인 플라즈마 중합법을 이용하여 유기 재료인 Styrene을 절연 박막으로 제작하였다. 플라즈마 중합된 Styrene (ppS) 절연 박막의 정밀한 공정 제어를 위해 bubbler와 circulator를 이용하여 습식 공정과 비교하여도 절연 특성이 뛰어난 pps 절연 박막을 증착하고, 이를 활용하여 gate 전극으로 ITO, insulator layer로 pps, floating gate로 Au, tunneling layer로 ppMMA와 pps, semiconductor로 Pentacene, source/drain 전극으로 Au를 사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ppMMA와 pps의 서로 다른 tunneling layer의 두께 변화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 PDF

열가소성 고무를 사용한 RUBBER SHEET의 제조 및 물성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Rubber Sheet using Thermoplastic Elastomer)

  • 천승한;한민현;문일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2호
    • /
    • pp.122-127
    • /
    • 2003
  • 환경에 유해한 PVC 재질의 바닥재나 시트를 대체하기 위하여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SEBS)과 같은 열가소성고무를 사용하고 polypropylene(PP) 등의 폴리머와 오일, 무기물 및 안정제 등을 혼합하여 내충격성 또는 탄성이 우수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컴파운딩 연구를 진행하였다. SEBS와 오일의 혼합물에서 경도는 오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감소하였고, SEBS/oil/PP의 조성물에서는 PP의 함량이 증가하면 인장강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신율은 PP가 50phr상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PVC 소재의 바닥재나 시트를 대체 사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SEBS 혼합물의 조성물에서도 인장 및 인열강도, 그리고 경도는 PP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용융지수는 PP 함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전력 DRAM 구현을 위한 boosted voltage generator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boosted voltage cenerator for low power DRAM)

  • 이승훈;주종두;진상언;신홍재;곽계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530-533
    • /
    • 1998
  • In this paper, a new scheme of a boosted voltage generator (BVG) is designed for low powr DRAM's. The designed BVG can supply stable $V_{pp}$ using a new circuit operting method. This method controls charge pumping capability by switching the supply voltage and ring oscillator frequency of driving circuit, so the BVG can save area and reduce the powr dissipation during $V_{pp}$ maintaining period. The charge pumping circuit of the BVG suffers no $V_{T}$ loss and is to be applicable to low-voltage DRAM's. $V_{pp}$ level detecting circuit can detect constant value of $V_{pp}$ against temperature variation. The level of $V_{pp}$ varies -0.55%~0.098% during its maintaining period. Charge pumping circuit can make $V_{pp}$ level up to 2.95V with $V_{cc}$ =1.5V. The degecting level of $V_{pp}$ level detecting circuit changes -0.34% ~ 0.01% as temperature varies from -20 to 80.deg. C. The powr dissipation during V.$_{pp}$ maintaining period is 4.1mW.W.1mW.

  • PDF

포장재에 따른 양송이버섯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due to Their Packaging Materials during Their Storage)

  • 이다움;장민선;조순덕;전창성;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3
  • 본 연구는 소포장 된 양송이버섯의 저장 및 유통시 선도 유지를 위하여 예냉처리 후 포장재질(PE, PP, PS 용기+PVC wrapper)에 따른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중 포장재질 별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 PS 용기+PVC wrapper 처리구에 비하여 PP 처리구와 PE 처리구의 중량감소율은 약 10배가량 낮았으며, 포장 내 기체조성 측정결과 포장재질별 포장 내 기체조성은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Hunter L 값을 측정한 결과 저장 5일까지 PS 용기+PVC wrapper 처리구의 L값이 가장 높았으나, 저장기간이 경과 할수록 PP 및 PE 처리구의 L값이 더 높게 유지되었다. ${\Delta}E$ 측정결과 PP 처리구가 PE 처리구보다 색 변화가 적었으며 PS 용기+PVC wrapper는 다른 포장재질에 비하여 색 변화가 약 29% 더 많이 일어났다. 경도 측정에서 PE 처리구와 PS 용기+PVC wrapper 처리구에 비해 PP 처리구에서 경도가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다른 처리구보다 PP 처리구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높았다. 또한 PP 처리구의 경우 저장 11일째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PP film으로 양송이버섯을 포장할 경우 품질유지 및 선도 연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