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P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유역기반의 PMF 및 유사-유출량 산정 (Watershed-based PMF and Sediment-runoff Estimation Using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 유완식;이기하;김영규;정관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1-11
    • /
    • 2018
  • Probable Maximum Flood (PMF) is mostly applied for the designs of large-scale hydraulic structures and it is estimated by computing the runoff hydrograph wher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s inserted as design rainfall. The existing PMP is estimated by transferring the heavy rainfall from all watersheds of korea to the design watershed, however, in this study, PMP was analyzed by selecting only rainfall events occurred in the design watershed. And then, Catchment-scale Soil Erosion Model (CSEM) was used to estimate the PMF and sediment-runoff yield according to the watershed-based estimated PMP. Although the PMF estimated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existing estimated PMF in the Yongdam-dam basin, it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e 200-year frequency design flood discharge. In addition, sediment-runoff yield was estimated with a 0.05 cm of the maximum erosion and a 0.06 cm of the maximum deposition, and a total sediment-runoff yield of 168,391 tons according to 24-hour PMP duration.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단위도의 수정 방법 제안 (Suggestion of modification method of unit hydrograph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flood)

  • 이진욱;김소은;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9-309
    • /
    • 2021
  • 댐 설계 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으로 인한 홍수량인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이 고려되며,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단위도가 필요하다. 즉, PMF는 PMP를 입력으로 하여 단위도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을 통해 얻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PMP가 고려되더라도 적용되는 단위도에 따라 산정되는 PMF는 달라진다. PMP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평균적인 상황에 비해 단위도의 반응이 보다 빠르고 강해진다(한국개발연구원, 2007; 한국수자원공사, 2008; Kjedsen et al., 2016).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존재하지 않는다. 댐설계기준해설(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유역의 평균단위도로 PMF를 추정할 경우 실제보다 낮은 결과치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속 정보를 기반으로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해 보고, 이를 통해 대표단위도로부터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수정단위도를 적용하여, 기존 국내 기준 적용 결과 및 확률 강우량을 통해 산정되는 빈도홍수량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 PDF

위단열 가정을 기반한 가능최대강수량 산정의 불확실성 분석 (Analysis on uncertainty i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estimation with the pseudo-adiabatic assumption)

  • 김영규;손민우;김선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8-58
    • /
    • 2022
  • 본 연구는 수분최대화방법(Moisture-maximizing method)를 기반으로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을 산정하는 방법론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분최대화 방법은 특정 호우사상의 대기 수분 조건을 극대화하여 PMP 를 산정한다. 여기서, 대기 수분 조건은 대기 표면부터 상층부의 총 수분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가강수량(Precipitable water, PW)으로 표현된다. PW 는 라디오존데로부터 직접 관측 및 수집되지만, 장기간 수집이 어렵고, 수집된 자료는 다수의 이상치 및 결측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에서는 표면 이슬점을 이용하여 위단열 가정(Pseudo-adiabatic assumption)하에PW 를 간접적으로 산정하는 방법론을 기반한 PMP 산정을 권고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다수의 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PW 를 이용하는 방법과 표면 이슬점을 이용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산정된 수분최대화방법의 변수들의 편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따듯한 기후 특성을 나타내는 일본의 남부지역은 두 방법의 편차가 매우 작았지만, 추운 기후 특성을 나타내는 일본의 북부지역은 표면 이슬점으로 산정된 PW 가 실제 PW 에 비해 과소 산정되어 PMP 를 과대 산정시켰다. 특히, 이불확실성은 호우 발생 시 표면 이슬점이 18℃ 이하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불확실성을 밝히기 위해 실제 라디오존데로부터 관측된 대기 상층부의 대기 프로파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표면에서 가까운 대기 상층부의 위치에서 불규칙적으로 이슬점이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냈지만, 위단열 가정은 이를 묘사하기 어려웠다. 이는 결국 실제 PW 에 비해 이슬점을 이용하여 산정된 PW 가 과소 산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호우 발생 시 표면 이슬점이 18℃ 이하로 낮은 지역에서 산정된 PW 를 적용하는 수분최대화방법으로 산정된 PMP 는 낮은 신뢰도를 나타낸다.

  • PDF

Creager 기법을 이용한 지속시간별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Flood by Duration using Creager Method)

  • 강부식;류승엽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7-84
    • /
    • 2011
  • 각종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첨두홍수량을 추정시 합리식(rational formula) 및 가지야마(Kajiyama)공식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가능최대강수량(PMP)의 추정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미계측지역에서는 적용에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Creager 등이 1945년에 제시한 Creager방법은 비홍수량산정기법의 일종으로 유역면적과 PMF사이의 비선형성을 직접 수식화하여 제공하므로 PMP값이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PMF산정이 가능하며, 주로 중규모이상 다목적댐의 PMF 산정시 사용되어 왔는데, 국내에는 아직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PMP도를 이용한 강우-유출 모델로 산정된 상수전용댐과 다목적댐의 PMF를 이용하여 유역규모와 강우지속시간에 따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Creager 공식의 매개변수와 Creager 계수값의 결정범위 및 기준 등을 산정하여 국내 유역에 적용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과거 호우를 이용한 PMP 산정결과 및 기존결과와의 비교 (Study for Estimation of PMP and Comparison with previous result)

  • 이옥정;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39-53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과거 호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을 산정하고,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1973년부터 2014년까지 190개의 호우를 선정한 후 WMO(2009)에서 사용된 수문기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면적별($25km^2$, $100km^2$, $225km^2$, $400km^2$, $900km^2$, $2025km^2$, $4900km^2$, $10000km^2$, $19600km^2$), 지속시간별(1, 2, 4, 6, 8, 12, 18, 24, 48, 72시간)로 우리나라의 PMP를 산정하고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강유역, 낙동강유역, 금강유역, 영산강 유역의 PMP를 추정하였다. 또한 2000년에 산정된 PMP와 비교하여 그 값이 얼마만큼 변화되었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약 15년간의 극한강우 사상의 변화와 이에 따른 PMP 값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평가해 보았다.

  • PDF

시·공간성을 고려한 유역기반의 PMF 산정 (Basin-scale PMF Estimation Method by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 김영규;김연수;유완식;오성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9-139
    • /
    • 2016
  •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이란 대규모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고자 할 때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 등을 막기 위해 기준으로 삼는 설계홍수량이며, 통계학적으로는 약 10,000년 빈도에 해당된다. 우리나라의 호우 특성은 방위, 진행방향 및 위에 따른 해석이 매우 복잡하여 강우를 정형화하기 어렵다. Kim and Won(2004)은 이동성 호우의 경우 강우의 깊이-면적-지속기간(Rainfall Depth-Area-Duration)의 분석결과에서 상당한 오차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오차를 포함한 DAD의 산정결과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및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도 높은 DAD 분석을 통한 PMF 산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을 선정하고 각 지점의 시계열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공간분포화한 강우자료에 격자기반의 자동 강우장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DAD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PMP 산정방법에서는 한반도 전역에서 발생했던 130 mm이상의 호우사상을 선정한 후에 각 호우의 범위에 있는 우량관측소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PMP를 산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상대적으로 긴 지속기간의 경우 호우의 범위가 우리나라 전역을 포함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PMP 산정방법은 복잡하고, 기상이변이 잦지 않는 지역에서 산정된 PMP를 이용하여 PMF를 산정할 경우,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대산정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대상유역을 선정한 뒤, 유역 내에 발생했던 호우경보와 호우주의보를 기준으로 호우사상을 선정하여 DAD 분석 후 PMP를 산정하였다. 그 후, 강우-유출관계를 파악하여 PMF를 산정하였다.

  • PDF

CMIP6 SS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가능최대 강수량 (Statistical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based on CMIP6 SSP Scenario)

  • 서미루;김성훈;권지혜;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9-169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해 집중호우, 홍수 등 극한 강우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극한 강우의 빈도가 증가함으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가능최대강수량의 경우 대규모 수공 구조물, 댐의 설계나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 산정에 사용 되며, 세계 기상 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tion, WMO)는 가능최대강수량 산정 방법으로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 방법, 포락 곡선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 산정방법으로는 Hershfield가 제안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Hershfield가 제안한 방법의 경우 빈도계수를 사용하며, Hershfield(1961)는 빈도계수의 값을 15로 제안하였으나, 1965년에 빈도계수는 강우 지속시간과 평균에 따라 5~20 값을 갖는 노모그래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계수 산정 방법, 노모그래프를 이용한 빈도계수의 값 2가지를 산정한 후 국내 가능최대강수량 보고서와 비교하여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 산정 방법을 결정한 후, 결정된 빈도계수 산정 방법을 SSP시나리오에 이용하여 미래의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소양강 다목적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검토 (Hydrological Stability Analysis of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 고석구;신용노
    • 물과 미래
    • /
    • 제28권3호
    • /
    • pp.187-19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 전에 건설 완료된 우리나라 최대 다목적댐인 소양강 다목적댐의 치수능력을 재검토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악의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수문 기상학적 방법으로 산정한 소양강 다목적댐유역의 72시간 지속 가능 최대 강수량(PMP,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은 760.0mm 이며 재산정된 가능 최대 홍수량(PMF, probable maximum flood)은 18,100$m^3$/s이다. 이는 댐 계획 당시 1,000년 빈도 홍수량의 최대치 13,500$m^3$/s 보다 1.34배 크게 나타났다. 가능 최대 홍수량을 설계 홍수량으로 채택할 경우의 4개 대안; 1) 하수 제한수위를 낮추는 안, 2) 비상 여수로를 추가하는 안, 3)기존 댐을 증고시키는 안, 4) 상류에 홍수조절용댐을 건설하는 안 등을 검토한 결과 경제성과 치수 관리 능력 효율면에서 소양강 다목적댐의 수문학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개선 방안은 비상 여수로를 추가하는 안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 여수로에 부가하여 비상 여수로를 추가하는 방안이 보다 더 구체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의 재현기간 추정 (Estimation of the return period of statistical method for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 김상단;심인경;이옥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0-180
    • /
    • 2018
  • 가능최대강수량(PMP)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 기준이 되는 강수량으로, 최근 대규모 거대재난에 대비한 대피계획수립에 PMP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PMP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PMP를 추정하기 위해 Hershfield의 통계적 방법에 대한 간단한 대안이 제안되었다. PMP는 물리적인 강우량 상한계로, 확률론적 개념과는 모순적이다. 또한, Hershfield의 PMP는 연 최대 시계열 평균의 선형함수로 주어지는 모양 매개변수를 가지는 GEV 분포의 약 60,000년 빈도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rshfield의 방법을 확률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기상청 ASOS 및 AWS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각 지점자료 중 10년 이상의 자료를 사용하여 Hershfield 방법을 적용하여 PMP를 산정하였다. 각 지점의 빈도계수를 구하여 우리나라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의 형태를 적용하였고, 분포형의 매개변수 값을 추정하였다. 또한, Hershfield의 빈도계수와, 우리나라 자료에 해당하는 빈도계수가 몇 년 빈도로 계산되는지 각각 확인해 보았다. ASOS 및 AWS 자료를 이용하여 연 최대 강수량 시계열 평균과 모양 매개변수의 관계 공식 또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자료(57년)인 서울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인 분포함수와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구한 분포함수를 비교하여 도시하였다.

  • PDF

동화지구 절계 수문량 재추정 (Reestimation of Hydrologic Design Data in Donghwa Area)

  • 권순국;이재형;정재성;전일권;김민환;이경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6호
    • /
    • pp.3-10
    • /
    • 2004
  • The fundamental study of hydrologic redesign of Donghwa area located in a sccond tributary of Seomjin river was performed. The amounts of hydrologic design were estimated using the available cumulated hydrology data provided by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KARICO).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water resources in Donghwa area was also widely surveyed. The probability rainfalls,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and probability floods were estimated and subsequently their changes analyzed. The amount of 200 year frequency rainfall with l day duration was 351.1 mm, 2.5 % increased from the original design value, and The PMP was 780.2 mm. The concentration time was reestimated as 2.5 hours from existing 2.4 hours.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method was used to estimate effective rainfall- The runoff curve number was changed from 90 to 78, therefore the maximum potential retention was 71.6 mm, 154 % increased from the original value. The Hood estimates using SCS unit hydrograph showed 8 % increase from original value 623 $m^3$/s to 674 $m^3$/s and The probable maximum Hood was 1,637 $m^3$/s. Although the Row rate at the dam site was increased, the Hood risk at the downstream river was decreased by the Hood control of the Donghwa 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