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O Typ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4초

화학반응성의 분자궤도론적 연구 (제8보). o-Terphenyl 형 화합물의 광학적탈수소 고리화 반응에 대한 섭동분자궤도론적 해석 (Determination of Reactivity by MO Theory (VIII). PMO Interpretation for Photocyclodehydrogenation of o-Terphenyl-type compounds)

  • 이익춘;이본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6-140
    • /
    • 1976
  • 오르토-터페닐계 화합물들의 광화학적 탈수소 고리화 반응을 섭동분자궤도론적으로 다루었으며 일차 들뜬 상태의 가동결합차수가 반응성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해석은 Woodward-Hoffman의 궤도함수 대칭성 보존법칙에도 부합된다.

  • PDF

건설 발주자 설계 요건관리 체계화를 위한 개념적 틀 및 정보특성 (Requirements Management Framework for Design Management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 정예흔;이윤섭;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15
    • /
    • 2020
  • 성공적 건설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해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하고, 전 생애주기를 포괄하여 각 사업 참여자의 전문기술을 통해 이를 프로젝트에 반영해야 한다. 이에 프로젝트 요건을 정보관리 차원에서 체계화 관리하기 위한 요건관리(Requirements Management)의 개념 정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분야 요건관리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요건정보 유형과 정보 분석기준을 제시하여 설계 요건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요건정보를 도출 및 분석하였으며, 발주자 설계관리 및 지식관리 관점에서 요건관리 시스템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메탄, 벤젠 및 톨루엔 제거용 바이오커버의 세균 군집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a Biocover for the Removal of Methane, Benzene and Toluene)

  • 류희욱;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12
  • Removal of methane, benzene and toluene was evaluated in a lab-scale biocover packed with a soil mixture of forest soil and earthworm cast (75:25 weight ratio).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biocover was characteriz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ane was removed at the upper layer of the biocover (-0.1 ~ -0.4 m), where the oxygen concentration was remarkably lower.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for methane and benzene/toluene were 90% and 99%, respectively. The pmoA gene copy numbers, responsible for methane oxidation, in the upper laye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lower layer. While type I methanotrohs dominated the lower layer, type II methanotrophs, such as Methylocystis and Methylosinus, were noted to be predominant in the upper layer. Benzene and toluene were removed from the lower layer (-0.6 ~ -0.9 m) as well as the upper layer. Moreover, the tmoA gene copy number, responsible for benzene/toluene oxidation, seen in the upper lay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seen in the lower lay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iocover packed with a soil and earthworm cast mixture is a promising method which could be utilized for the control of methan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ch as benzene and toluene.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A Case Report for a Korean Patient with Mucopolysaccharidosis IIIA Confirmed by Biochemical and Molecular Genetic Investigation)

  • 김보람;조성윤;손영배;박형두;이수연;송정한;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4-48
    • /
    • 2015
  • 뮤코다당증 제3A형(Mucopolysaccharidosis IIIA, Sanfillippo syndrome type A)은 heparan sulfate 대사에 관여하는 heparan N-sulfatase의 결핍으로 유발되는 리소좀 축적 질환이다. 본 연구는 대두증과 발달 지연을 보이는 5세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 소변의 glycosaminoglycan은 26 g/moL creatinine으로 증가되어 있었고(참고치: <7 g/moL creatinine), 소변의 전기영동 검사에서는 heparan sulfate 분획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측정한 heparan N-sulfatase 활성도는 0.2 pmol/min/mg protein으로 매우 감소되어 있었다(참고치: 9-64 pmol/min/mg protein). 중합효소연쇄반응-염기서열분석법에 의한 SGSH 유전자 검사에서는 c.1040C>T (p.S347F) 및 c.703G>A (p.D235N) 돌연변이가 각각 이형접합체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확진된 첫 번째 한국인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3가지 직교신호 발생 전압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ase Noise Characteristics of Three Quadratur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 문성모;조일현;이문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73-7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가지 형태의 CMOS 직교 신호 발생 전압 제어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여 위상 잡음 특성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구조는 PMOS를 이용하여 두개의 Colpitts 발진기를 구성한 후 이를 상호 결합시킨 구조이다. 두 번째와 세번째 구조는 각각 일반적인 LC VCO와 펼형 콜피츠 구조에 주파수 2분주기를 연결하여 직교신호를 얻는 구조이다. 모의실험 결과 콜피츠 구조를 사용한 구조가 LC 발진기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위상 잡음 특성이 6 dB 이상 개선되었다.

  • PDF

무인항공기 탑재 안테나 간 간섭을 고려한 안테나 최적 위치 분석 (Analysis of Optimum Antenna Placement Considering Interference Between Airborne Antennas Mounted on UAV)

  • 최재원;김지훈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6호
    • /
    • pp.32-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안테나 간의 간섭을 고려한 안테나 최적 위치 분석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분석은 전방향성 안테나들 중 운용 주파수 대역이 인접하고, 상호 간 이격거리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안테나들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을 수행한 안테나는 제어용 데이터링크, TCAS(Traffic Collision & Avoidance System), IFF(Identification Friend or Fo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RALT(Radar ALTimeter) 안테나들이다. 안테나 최적 위치 분석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안테나 용도, 형상 및 방사패턴을 고려한 안테나 초기 위치 선정 후 안테나 장착 시 무인항공기 구조물에 의한 안테나 방사패턴과 반사손실 특성 변화를 관찰하여 최적의 특성을 갖는 지점을 선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안테나 간의 결합특성과 송신 안테나의 불요파 세기 및 수신 안테나의 최저수신감도를 고려하여 안테나 간 간섭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섭이 발생할 경우, 간섭이 미발생하는 최소이격거리를 분석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 위치를 선정한다. 마지막 단계는 안테나 간 추가 거리 이격으로도 간섭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안테나 간 주파수 이격 분석을 통한 주파수 간섭 대책을 확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과정은 개발단계에서 안테나 간 간섭을 예측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0.18 ㎛ CMOS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뉴런 회로 설계 (Design of a Silicon Neuron Circuit using a 0.18 ㎛ CMOS Process)

  • 한예지;지성현;양희성;이수현;송한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57-461
    • /
    • 2014
  • 생물학적 신경 세포의 모델링을 위한 펄스타입 실리콘 뉴런 회로를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집적회로로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뉴런 회로는 입력 전류신호를 위한 커패시터 입력단과, 출력 전압신호 생성을 위한 증폭단 및 펄스신호 초기화를 위한 MOS 스위치로 구성된다. 전압신호 입력을 전류신호 출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의 시냅스 회로는 몇 개의 PMOS와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범프회로를 사용한다. 제안하는 뉴런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2개의 뉴런과 시냅스가 직렬연결된 뉴런체인을 구성하여 SPICE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뉴런신호의 생성과 시냅스 전달특성의 정상적인 동작을 확인하였다.

고출력 위협신호 모의장치 개발 및 추적레이다 연동 (Development of High power Threat Signal Simulator and Interfacing Tracking Radar)

  • 곽용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85-9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체계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시험 대상 항공기에 실제 위협과 유사한 신호를 고출력으로 송신할 수 있는 위협신호 모의 장치를 설계하였다. 고출력 위협신호 모의장치는 광대역(UHF대역, L대역, S대역, X 대역)의 통신신호, 레이다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며, 추적 레이다와 연동을 통해 항공기에 정확하게 지향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개발된 장비의 신호의 세기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63 dBm, 93 dBm이상이며, 추적 정밀도는 0.1°이하로 요구되는 전기적/기계적 성능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고, 추적 레이다 연동을 통해 고출력 위협신호 모의장치의 안테나가 항공기 위치로 신호를 정확하게 지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유제트형 지상추진 시험설비를 사용한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마하 5 성능시험 (Mach 5 Performance Tests of Scramjet Engine Intake Using Free-jet Type Ground Propulsion Test Facility)

  • 이양지;양인영;이경재;오중환;최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20
    • /
    • 2022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자유제트형 지상추진시험설비인 스크램제트 엔진 시험설비의 마하 5 조건에서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성능분석 시험을 진행하였다. 스크램제트 엔진 흡입구의 대표적인 성능 인자인 전압력 회복률, 공기 포획율 측정을 위하여 격리부 후방에 설치되는 피토/정압 레이크가 설계 제작되었다. 격리부 후방에 장착된 레이크가 전방의 흡입구 램프와 격리부에 미치는 영향과 레이크로 측정된 흡입구의 성능 인자 분석 그리고 흡입구의 받음각 변화에 따른 벽면 정압력 분포 변화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끝으로 연소기에서의 압력 상승을 모사하는 장치인 흡입구 후방 배압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흡입구 불시동이 발생하는 시점을 확인하였으며, 본 논문에는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Keggin형 헤테로폴리산 촉매를 이용한 선박용 경유의 산화 탈황 (Oxidative Desulfurization of Marine Diesel Using Keggin Type Heteropoly Acid Catalysts)

  • 오현우;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25권1호
    • /
    • pp.91-97
    • /
    • 2019
  • 산화탈황반응은 디벤조티오펜(dibenzothiophenes, DBTs)과 같이 제거하기 어려운 구조의 황화합물들을 선택적으로 산화하여 설폭사이드(sulfoxide)와 설폰(sulfone) 등의 형태로 전환하고, 이들을 추출과 흡착에 의해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경유의 산화탈황반응을 회분식반응기에서 산화제 과산화수소($H_2O_2$)와 함께 다양한 헤테로폴리산 담지촉매에 의해 수행하였다. 제조 촉매들은 X-선 회절분석(XRD), X-선 형광분석(XRF), X-선 광전자분광분석(XPS) 및 질소 흡착등온선 등의 기법에 의해 특성분석이 이루어졌다. 유망한 지지체인 실리카에 30 wt% 담지된 헤테로폴리산 촉매 활성 순위는 황 제거율 기준으로, $30\;H_3PW_{12}/SiO_2$ > $30\;H_3PMo_{12}/SiO_2$ > $30\;H_4SiW_{12}/SiO_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헤테로폴리산의 고유 산세기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0\;H_3PW_{12}/SiO_2$ 촉매는 반응 온도 $30^{\circ}C$, 촉매량 $0.025g\;mL^{-1}$ (cat./oil), 반응 시간 1 h의 반응조건 하에서 약 66%의 가장 높은 초기 황 제거율을 보였다. 그러나 $H_3PW_{12}/SiO_2$ 촉매의 재사용성 실험을 통해 확연하게 활성이 저하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활성 성분인 $H_3PW_{12}$의 용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H_3PW_{12}/SiO_2$ 촉매로의 세슘 양이온($Cs^+$) 도입에 의한 용해도의 변화와 함께 촉매의 안정성이 개선되었으며, $Cs^+$ 이온교환 된 촉매는 최소 5회 이상 재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