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4.0

검색결과 15,986건 처리시간 0.044초

한방화장품의 눈가 주름 개선 효과 (The effect of enhancing eye-wrinkle applying traditional herb medicine cosmetics)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지중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35-340
    • /
    • 2011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흑삼, 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추출물을 이용한 한방소재로 에센스와 크림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4.8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에센스 사용 후 크림 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1cm^2$당 2mg씩,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4주 경과 후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에센스와 크림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22{\pm}0.85$에서 $2.38{\pm}0.32$, R2는 $3.08{\pm}0.83$에서 $2.22{\pm}0.32$, R3는 $2.29{\pm}0.64$에서 $2.29{\pm}0.64$, R4는 $0.44{\pm}0.14$에서 $0.44{\pm}0.14$, R5는 $0.98{\pm}0.21$에서 $0.98{\pm}0.21$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눈가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5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조성과 스테롤함량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 정보영;최병대;문수경;이종수;정우건;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2-197
    • /
    • 1999
  •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35종의 해산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 조성과 sterol 및 $\alpha$-토코페롤함량을 정량하여 종별로 비교하였다. 단백질함량은 복족류 ($17.2\pm4.30\%$ ), 갑각류 ($16.8\pm4.06\%$), 두족류 ($15.3\pm3.24\%$) 등 초식성 및 육식성의 무척추동물에 비교적 많았고, 2매패류 ($11.8\pm2.49\%$), 멍게류 ($8.20\pm1.00\%$) 등 plank-ton 식성의 경우에 적었으며, 특히 해삼류 ($3.94\pm1.13\%$)와 같은 니식자 (mud swallow)에서는 아주 적었다. 총지질함량은 $0.24\%(청삼)\~1.96\%(멍게)$의 범위로 비교적 적었다. 탄수화물함량은 멍게류 ($6.60\pm4.53\%$ ), 2매패류 ($3.15\pm1.82\%$), 복족류 ($3.02\pm1.61\%$)에서 비교적 많았고, 두족류 ($1.00\pm0.63\%$)와 갑각류 ($0.52\pm0.57\%$)에서는 아주 적어 보통 어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해삼류 ($92.0\pm1.94\%$)에서 가장 많았고, 복족류 ($77.0\pm1.95\%$)에서 가장 적었으며, 나머지는 $80\~82\%$로서 대체로 유사하였다. 수분함량과 단백질함량 및 지질함량, 그리고 단백질함량과 지질함량 사이에는 각각 y= -0.8716x+184.452 (r=-0.87, p<0.001), $y=128.52e^{-0.0601x}$ (r=-0.55, P<0.001), $y=6.3047e^{-0.0904x}$(r=-0.42, P<0.02)으로서 모두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sterol 함량은 (청삼 56mg/100g edible portion)에서 가장 적었고, 새조개 (216mg/100g)에서 가장 많았다. 동물그룹별로 보면 두족류 (148 $\pm$30.0mg) > 2매패 (121$\pm$35.0mg) > 복족류 (118$\pm$20.0mg) > 갑각류 (116$\pm$31.0mg) > 멍게류 (78.0$\pm$2.00 mg)> 해삼류 (62.0$\pm$8.00 mg)의 순으로 sterol 함량이 많았다. $\alpha$-토코페롤함량은 갑각류에서 1$\~$2 mg/100g를 함유하였으나, 나머지 무척추동물에서는 흔적 또는 1 mg/100g 이하였다.

  • PDF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이 보행 시 하지 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Intra-limb Coordination in Individuals Wearing a Knee Extension Constraint Brace during Walking)

  • 장윤희;정보라;강성재;류제청;김규석;문무성;고창용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7-21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 후 보행시 하지 내 협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7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32.3{\pm}2.7$ 세, $175.2{\pm}3.8cm$, $76.2{\pm}8.7kg$)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무릎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고 10m의 평지를 보행하였다. 이때 시공간적 파라미터, 하지의 각도, 하지 내 연속상대 위상(CRP)를 측정 및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시공간적 요인은 차이가 없었다 (all p > 0.05). 무릎보조기 착용 시 엉덩관절의 가동범위 및 각도 변화는 없었으나, 무릎관절의 가동범위는 감소하였으며 ($65.5{\pm}3.75^{\circ}$ vs. $60.5{\pm}3.5^{\circ}$, p < 0.05), 최대 굴곡 역시 감소하였다 (입각기: $31.9{\pm}4.6$ vs. $25.6{\pm}5.5$, 유각기: $76.7{\pm}3.1$ vs. $68.9{\pm}3.4$, all p < 0.05). 발목관절의 가동범위는 변화가 없었으나, 최대 배측굴곡 ($22.4{\pm}2.6$ vs. $19.2{\pm}2.1$, p< 0.05)은 감소하였으며, 최대 족저굴곡이 증가하였다 ($9.5{\pm}3.0$ vs. $15.7{\pm}2.2$, p<0.05). 대부분의 CRP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각기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사이의 CRP만 감소하였다 ($93.0{\pm}7.8$ vs, $84.7{\pm}4.9$, p < 0.05). CRP의 표준편차는 대부분 증가하였다 (유각기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사이: $25.1{\pm}6.7$ vs. $32.4{\pm}1.9$, 입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사이: $46.0{\pm}12.9$ vs. $80.1{\pm}31.1$, 유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사이: $34.5{\pm}4.1$ vs. $37.6{\pm}3.1$, all p < 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무릎 신전 제한형 보조기 착용은 관절의 각도, 하지 내 협응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보행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속초연안 해양환경의 시공간적 변동특성

  • 박승윤;박진일;심정민;김영숙;진현국;황운기;김귀영;정창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80-281
    • /
    • 2006
  • 속초연안의 수온은 18개년 평균 표층수 $14.10\pm0.34^{\circ}C$, 저층수 $12.56\pm0.28^{\circ}C$, 염분은 표층수 $31.66\pm0.18$, 저층수 $32.68\pm0.10$, pH은 표층수 $8.05\pm0.01$, 저층수 $8.02\pm0.01$, BO는 표층수 $8.48\pm0.11mg/L$, 저층수 $8.16\pm0.12mg/L$, COD는 표층수 $1.54\pm0.07mg/L$, 저층수 $1.33\pm0.06mg/L$, SS는 표층수 $13.75\pm0.80mg/L$, $PO_4$-P는 표층수 $0.74\pm0.05{\mu}M$, 저층수 $0.61\pm0.04{\mu}M$, $NH_4$-N는 표층수 $2.49\pm0.18{\mu}M$, 저층수 $2.01\pm0.15{\mu}M$, $NO_2$-N는 표층수 $0.72\pm0.05{\mu}M$, 저층수 $0.58\pm0.04{\mu}M$, $NO_3$-N는 표층수 $4.39\pm0.24{\mu}M$, 저층수 $3.63\pm0.20{\mu}M$, DIN는 표층수 $7.64\pm0.38{\mu}M$, 저층수 $6.22\pm0.29{\mu}M$, DIN/DIP비 표층수 $23.91\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

  • PDF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rossbred and Indigenous (Desi) Dairy Cows under Rural Context at Sirajgonj District of Bangladesh

  • Paul, Ashit Kumar;Al-Maruf, Abdullah;Jha, Pankaj Kumar;Alam, M. Golam Shahi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9-32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120 different breed cows at selected areas of Sirajgonj district from March to July 2010 to compar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rossbred and Desi cows at farmer's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daily milk yield of Desi, Shahiwal ${\times}$ Desi, Friesian ${\times}$ Desi and Jersey ${\times}$ Desi cows was $2.3{\pm}0.2$, $4.9{\pm}0.9$, $6.0{\pm}1.0$ and $5.7{\pm}0.9$ liters, respectively. The milk yield of crossbred cows ($5.5{\pm}0.6$ liters/day)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Desi cows ($2.3{\pm}0.2$ liters/day). The average age at puberty of Shahiwal ${\times}$ Desi, Friesian ${\times}$ Desi and Jersey ${\times}$ Desi was significantly (p<0.01) lower than that of Desi breed. The crossbred cows had significantly (p<0.01) lower pubertal age ($20.4{\pm}1.2$) than Desi ($25.9{\pm}1.1$). The age at first calving in Desi cows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37.6{\pm}1.1$ months) than crossbred cows ($31.2{\pm}1.3$ months). The average gestation length of Desi, Shahiwal ${\times}$ Desi, Friesian ${\times}$ Desi and Jersey ${\times}$ Desi was $289.9{\pm}1.4$, $285.0{\pm}0.0$, $285.0{\pm}4.2$ and $282.1{\pm}2.4$ days,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overall reproductive performance of Friesian ${\times}$ Desi, Jersey ${\times}$ Desi and Shahiwal ${\times}$ Desi cows were better than that of Desi cow.

한국산 골드키위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 정창호;이원재;배송환;최성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59-865
    • /
    • 2007
  • 한국산 골드키위를 기능성 식품 재료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골드키위의 pH 4.43${\pm}$0.16, 당도 17.01${\pm}$0.04$^{\circ}Brix$ 및 총산도 0.82${\pm}$0.02%이었으며, L값 49.80${\pm}$0.24, a값 -6.79${\pm}$0.02 및 b값 19.72${\pm}$0.18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은 수분 78.62${\pm}$2.26%, 조단백 1.34${\pm}$0.25%, 조지방 0.70${\pm}$0.06%, 조섬유 1.99${\pm}$0.13%, 조회분 0.99${\pm}$0.26% 및 가용성 무질소물 16.36${\pm}$1.23%이었다. 무기성분은 Na, Ca 및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0${\pm}$1.58 mg%, 23.84${\pm}$2.10 mg% 및 265.86${\pm}$5.00 mg%였다. 골드키위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으로는 sucrose(1.04${\pm}$0.18%), glucose(2.17${\pm}$0.21%) 및 fructose(1.86${\pm}$0.11%)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86.51${\pm}$5.58 mg%)였고, 가장 낮은 아미노산으로는 tyrosine(15.00${\pm}$4.91 mg%)이었다. 유기산은 quinic acid(6.65${\pm}$0.21 mg/g), malic acid(1.62${\pm}$0.13 mg/g) 및 citric acid(4.82${\pm}$0.21 mg/g)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0.27${\pm}$0.06 mg/g 및 0.047${\pm}$0.002 mg/g이었다. 골드키위 물추출물 농도 25 mg/mL일 때 86.87%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은 1.96으로 나타났고,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Effect of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on Survival Rate of Semen and B6D2F1 Mice Developmental Capacity

  • Lee, Dan-Bi;Park, KeeSang;Seo, Byoung B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7-37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on survival rate of semen and development ability of B6D2F1 mice embryo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survival rate of semen ($59.0%{\pm}0.1$ vs. $47.6%{\pm}0.1$), in vitro fertilization rate ($90.7%{\pm}0.1$ vs. $90.7%{\pm}0.1$), developmental rate ($90.0%{\pm}0.1$ vs. $90.0%{\pm}0.1$), and blastocysts formation rate ($53.1%{\pm}0.2$ vs. $52.3%{\pm}0.2$) between groups. (NS; P>0.05). However, the zona hatched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circ}C$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37^{\circ}C$ group ($47.8%{\pm}0.1$ vs. $25.6%{\pm}0.2$; p<0.05). When it comes to cell numbers of blastocysts, the % ICM (/total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4^{\circ}C$ compared to the $37^{\circ}C$ ($27.0%{\pm}0.1$ vs. $18.3%{\pm}0.1$; 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cell numbers ($72.7{\pm}31.6$ vs. $62.0{\pm}36.6$), ICM cell numbers ($17.0{\pm}7.8$ vs. $14.6{\pm}8.6$), TE cell numbers ($55.8{\pm}29.8$ vs. $64.0{\pm}24.4$), the ratio of ICM:TE ($1:4.2{\pm}4.1$ vs. $1:6.4{\pm}7.2$) between two groups (NS; P>0.05). Taken altogether,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best developmental ability of B6D2F1 mice embryos in the transfer temperature of epididymis. Also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data to maximize culture condition for in vitro fertilization on B6D2F1 mice. In futu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sults herein might be applied for in vitro culture of human embryos.

중년 남성 비만의 혈압 및 혈액 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middle-Aged men Obesity)

  • 이현옥;박혜순;승정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6-371
    • /
    • 1996
  • 우리나라 일부 중년 남성의 혈압 및 혈청지질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40세 이상의 중년남성 1,52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군 453명과 대조군 1,071명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군의 평균 시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169.4$\pm$5.2cm, 76.3$\pm$6.1kg, 26.6$\pm$1.4kg/$ extrm{cm}^2$ 이었다. 대조군은 각각 169.0$\pm$7.1cm, 63.7$\pm$7.0kg, 22.2$\pm$1.9kg/$\textrm{cm}^2$로 비만군의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높았다.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은 비만군은 124.0$\pm$20.5mmHg, 81.9$\pm$14.0mmHg였고 대조군은 119.2$\pm$18.1mmHg, 78.6$\pm$12.5mmHg로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숙의 경우, 비만군은 202.1$\pm$34.7mg/dl, 210.0$\pm$121.8mg/dl, 43.4$\pm$10.3mg/dl, 116.7$\pm$33.5mg/dl, 3.8$\pm$1.2였고, 대조군은 193.9$\pm$36.0mg/dl, 162.9$\pm$120.0mg/dl, 46.4$\pm$11.0mg/dl, 115.0$\pm$35.5mg/dl, 3.4$\pm$1.6을 LDL-콜레스테롤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지혈증의 경우 비만군은 혈청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모두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동맥경화지수가 3.0 이상인 경우도 비만군은 77.3%로 대조군의 57.0%보다 높았다.

  • PDF

Digoxin을 투여한 만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24시간 Ambulatory ECG의 유용성 (The Clinical Value of the 24-hour Ambulatory ECG Monitoring in Patients with Chronic Atrial Fibrillation)

  • 양창헌;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99-107
    • /
    • 1989
  • 저자들은 1987년 9월부터 1989년 4월사이 약 19개월간 영남대학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만성 심방세동 진단하에 치료받고 있던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digoxin치료를 받은 20명과 치료를 받지 않은 10명에 대한 24시간 ambulatory ECG를 시행하여 두 집단간의 심박수의 변화 및 가장 긴 정지기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대상환자 34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5.7{\pm}13.8$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48.0{\pm}32.4$/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48.1{\pm}8.4$회/min.($mean{\pm}S.D.$)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차이의 평균치는 $99.9{\pm}29.0$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95{\pm}1.06sec.$($mean{\pm}S.D.$)이었으며 이중 4명은 가장 긴 정지기가 4.0sec.이상으로 sick sinus syndrome을 배제할 수 없어서 비교대상집단에서는 제외시켰다. 2) 대상환자 34례중 27례에서 심실성 기외수축이 있었으며 100회/24hours이내가 11례(40.7%)로 가장 많았고, 변성전도(aberrant conduction)는 전례에서 다 나타났다. 3) Digoxin(0.25mg/day)으로 치료받은 20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8.4{\pm}13.7$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52.5{\pm}33.1$회/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48.9{\pm}8.5$회/min.($mean{\pm}S.D.$) 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평균치는 $103.6{\pm}31.7$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55{\pm}0.50$sec.($mean{\pm}S.D.$)이었다. 4) Digoxin으로 치료받지 않은 10례의 평균 심박수의 평균치는 $78.0{\pm}10.7$회/min.($mean{\pm}S.D.$), 가장 빠른 심박수는 $154.5{\pm}26.8$회/min($mean{\pm}S.D.$), 가장 느린 심박수는 $50.6{\pm}7.1$회/min.($mean{\pm}S.D.$)이었고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평균치는 $103.9{\pm}22.2$회/min.($mean{\pm}S.D.$), 가장 긴 정지기는 $2.66{\pm}0.39sec.$($mean{\pm}S.D.$)이었다. 5) Digoxin으로 치료받은 20명과 치료받지 않은 10명의 두 집단간의 평균 심박수, 가장 빠른 심박수, 가장 느린 심박수, 가장 빠른 심박수와 가장 느린 심박수의 차이, 가장 긴 정지기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이상을 요약하면 하루 0.25mg의 digoxin투여로 만성 심방세동 환자의 심박수는 잘 조절되었으며 만성 심방세동 환자의 치료유무 결정 및 치료약제에 대한 반응등을 평가하는데 ambulatory ECG가 유용하고 안전한 검사법으로 사료된다.

  • PDF

NEAR-INFRARED PHOTOMETRIC STUDY OF THE GALACTIC OPEN CLUSTERS NGC 1641 AND NGC 2394 BASED ON 2MASS DATA

  • Kim, Sang-Chul
    • 천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15-123
    • /
    • 2006
  • We present $JHK_S$ near-infrared CCD photometric study for the Galactic open clusters NGC 1641 and NGC 2394. These clusters have never been studied before, and we provide, for the first time the cluster parameters; reddening, distance, metallicity and age. NGC 1641 is an old open cluster with age $1.6{\pm}0.2$ Gyr, metallicity $[Fe/H]=0.0{\pm}0.2$ dex, distance modulus$(m-M)_0=10.4{\pm}0.3\;mag(d=1.2{\pm}02\;kpc)$, and reddening $E(B-V)=0.10{\pm}0.05$ mag. The parameters for the other old open cluster NGC 2394 are estimated to be $age=1.1{\pm}0.2$ Gyr, $[Fe/H]=0.0{\pm}0.2$ dex, $(m-M)_0=9.1{\pm}0.4\;mag(d=660{\pm}120\;pc)$, and $E(B-V)=0.05{\pm}0.10$ mag. The metallicities and distance values for these two old open clusters are consisten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metallicities and the Galactocentric distances of other old open clusters. We find the metallicity gradient of 53 old open clusters including NGC 1641 and NGC 2394 to be ${\Delta}[Fe/H]/{\Delta}R_{gc}=-0.067{\pm}0.009\;dex\;kpc^{-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