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32

검색결과 3,771건 처리시간 0.031초

생후 24시간 이내의 한우 혈액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lood Pictures within 24hrs after Birth in Korean Native Calves)

  • 김봉식;윤영순;김종형;김상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17
    • /
    • 1991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lood pictures within 24hrs after birth in Korean native calves. The hematologic values were examined from 300 heads healthy Korean native calves in the area of western farm of Chungnam provinc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Mean{\pm}SD$ values of serum total protein contents within 24 hrs after birth in Korean native calves were $8.42{\pm}0.92g$ / dl and 48.14{\pm}0.93g$ / dl, respectively. 2. $Meant{\pm}SD$ values of RBC count, WBC count, PCV and Hb contents within 24 hrs after birth in Koren native natives were 49.97{\pm}2.56{\times}10^3$ / mm^3$ and $9.88{\pm}2.93{\times}10^3/ mm^3, $ 439.56{\pm}15.42%$ and 441.66{\pm}7.09 %, $$ 12.79{\pm}1.59g$ / dl and 13.$63{\pm}1.87g$ / dl, respectively. 3. 4Meant{\pm}SD$ values of MCV, MCH and MCHC within 24 hrs after birth in Koren native calves were $43.41{\pm}3.09{\mu}mm^3$ and $43.88{\pm}3.31{\mu}mm^3, $ $14.05{\pm}1.22pg $and 414.36{\pm}1.6pg, $ $32.46{\pm}2.47g$ / dl and 432.96{\pm}3.17g$ / dl, respectively.

  • PDF

MCCF 배지를 이용한 해산 섬모충 Vorticella sp.의 cyst형성 (Cyst formation of the marine ciliate, Vorticella sp. using MCCF medium)

  • 정민민;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7-319
    • /
    • 1999
  • 해산어 종묘 생산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서 이용되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Vorticella는 로티퍼의 증식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배양조내에서 로티퍼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유해한 섬모충과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 연구에서는 Vorticella cyst의 형성과 보존에 MCCF(Marine Ciliate Cyst Formation) 배지가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Vorticella의 cyst 형성 과정은 MCCF 배지내의 사육수가 증발함에 따라 여과 섭식 활동의 정지, 배지 표면에의 잠복, 스파스모넴의 탈락 그리고 Cyst의 형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1년에 걸친 장기 보존후에도 배지중에 해수를 첨가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활동형 세포에의 복귀가 가능했다. 형성된 Vorticella cyst의 모양은 한쪽 길이가 다른 한쪽의 길이 보다 긴 타원형을 하고 있었으며, cyst의 크기는 장경이 $30.51 \pm1.98\;\mu$m (Avg. $\pm$ SD로 $28.35\~32.40\mu$m의 범위)이였고, 단경은 $28.89 \pm2.12\;\mu$m(범위는 $27\~32.40\mu$m)이였다. cyst로부터 활동형 세포로 복귀한 Vorticella sp.는 배양중인 배지내에 로티퍼 사육수의원심 분리 상등액을 넣어줌으로 16일간의 배양 기간중 최고 밀도가 912 $\pm$64개체/10ml (Avg. $\pm$SD)까지 증식하였다. 이 실험에서 Vorticella의 cyst 형성과 종 보존을 위하여 사용한 MCCF 배지는 cyst를 형성시키고 보존하는데 이용 가능한 배지임을 알 수 있다. 더욱이 Vorticella와 같은 해산 섬모충의 cyst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 가능하였다.

  • PDF

양성장에 따른 피조개, Anadara broughtonii의 성장 (Growth Comparison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between the Two Culturing Areas)

  • 유성규;장영진;강경호;김영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7
    • /
    • 1990
  • 피조개의 성장 및 적정 양식장의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거제군 사곡리 앞바다에서 천연채묘한 치패를 사용하여 가덕도 및 남해의 피조개 양성장에서 성장비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개시시의 각장 1.38$\pm$0.32cm와 전중 3.39$\pm$0.30g의 피조개 치패를 17개월간 양성한 결과, 각각의 성장은 가덕도 6.41$\pm$0.30cm, 67.58$\pm$9.63g, 남해 7.20$\pm$0.30cm, 97.33$\pm$11.45g으로 자라나, 남해가 가덕도에 비하여 피조개의 성장이 좋았다. 두 양성장의 피조개 비만도는 가덕도에서 8$\~$9월, 남해에서는 3$\~$5월에 최대치를 보였다. 실험기간중 수온 및 비중은 가덕도에서 $4.9\~27.1^{\circ}C$, 1.0147$\~$1.0259, 남해에서는 $4.5\~26.3^{\circ}C$, 1.0191$\~$1.0263으로, 특히 비중에 있어서 가덕도가 남해에 비하여 낮았다. 입도분석에 의한 저질의 왜도는 남해에서 positive skewness를 나타낸 반면, 가덕도에서는 negative skewness를 보여 가덕도 앞바다의 조류는 남해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장간의 성장비교 및 환경 분석에 의한 남해 미조리 지선어장이 가덕도 장항 지선어장에 비하여 조건이 좋은 양성장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Cephonodes hylas (Linne) (Sphingidae: Lepidoptera))

  • 여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0-307
    • /
    • 1995
  • 치자나무의 실생묘포장에서 잎을 식해하는줄녹색박각시의 생활사를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남해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줄녹색박각시의 산란기간은 5월 하순부터 26일간이었고, 평균 20.4개의 알을 기주 식물의 잎 뒷면에 산란하였다. 산란후 14일부터 16일 사이에 부화하고, 부화율은 97.6%였다. 알은 타원형이고, 크기는 지름이 1.01mm 길이가 1.14 mm이고 난기간은 14.6일이다. 유충의 평균 길이는 1령이 $3.52\pm$1.01 mm, 2령이 $6.46\pm$0.45mm, 3령이 $13.19\pm$4.27mm, 4령이 $24.08\pm$2.22mm, 5령이 $43.71\pm$5.62 mm이고, 유충의 평균체중은 1령이 $13.34\pm$2.41mg, 2령이 $29.83\pm$6.88mg, 3령이 $76.64\pm$31.31mg, 4령이 $292.09\pm$107.70mg, 5령이 $2,144.84\pm$760.70mg이다. 유충기간은 7월부터 10월까지로 1령이, 12일, 2령이 36일, 3령이 32일, 4령이 16일, 5령이 20일로 총유충기간은 116일이었고, 유충기간 동안에 1마리의 유충이 실생묘 17.18주를 가해하였다. 제5령 유웅이 종령유충으로 평균 15 mm 땅속에 들어가 토립으로 집을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며, 번데기의 평균 길이는 33.6mm이고, 평균 체중은 2,032mg이다. 성충은 이듬해 5월 중순에서 하순까지 우화하는데, 성충의 성비는 암컷이 42.82%이고, 체색형의 비는 갈색형이 89.93%였다.

  • PDF

일부 농촌 성인 남녀의 식이, 혈액 및 뇨중의 납수준과 혈압, 혈청지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lood and Urinary Levels of Lead,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Korean Rural People on Self-Selected Diet)

  • 노숙령;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29-836
    • /
    • 1995
  • 우리나라 농촌 성인 남녀의 납 섭취량, 혈중 농도, 소변 중 배설량과 혈압, 혈청 지질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촌에 거주하고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3일간의 식이섭취조사 및 식이와 소변수거, 혈액체쥐를 통해 납의 섭취량, 혈중농도, 소변 중 배설량과 혈압 및 혈청 지질 함량을 측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납 섭취량, 혈중 수준 및 뇨중 배설량은 각각 $226.1{\pm}263.8\mu\textrm{g}/day,\;10.8{\pm}3.6\mu\textrm{g}/dl\;및\;36.5{\pm}9.5\mu\textrm{g}$이었다.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은 $113.0{\pm}16.9mmHg와\;76.7{\pm}12.1mmHg$였고,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beta}-lipoprotein$ 함량은 각각 $158.8{\pm}32.9mg/dl,\;104.6{\pm}48.8mg/dl,\;45.7{\pm{9.9mg/dl,\;92.2{\pm}28.5mg/dl\;및\;426.4{\pm}141.5\;mg/dl$인 것으로 나타났다. 납의 섭취량, 혈중 수준 및 뇨중 배설량과 혈압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납 섭취량과 에너지 및 당질 섭취량간에 유이한 정의 상관성이 있었다. 납과 혈청 지질수준과의 관계에서 납 섭취량과 HDL-콜레스테롤 함량간에 유의한 부의 상관성이 나타난 납의 섭취로 동맥경화 발생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납과 그밖의 지질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조사 지역과 규모면에서 많은 제한점이 있지만 앞으로 본 연구를 기본으로 다양한 지역과 납의 노출수준이 다른 많은 대상자 및 다양한 중금속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육상수조에서 계대사육한 시마연어, Oncorhynchus masou (Brevoort)의 종묘생산 (Seed Production from Pond Culture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Brevoort))

  • 성기백;김경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8
    • /
    • 2007
  • 계대사육한 시마연어(Oncorhynchus masou)의 인공종묘생산시험에 관해 조사하였다. 1997년산과 1998년산 시마연어의 발안율은 각각 76.7%, 66.3%이고, 부화율은 24.3%, 20.2%였고, 부상율은 12.8%, 10.4%였다. 치어는 부화 후 22개월 만에 가랑이체장과 체중이 각각 27.4 cm, 체중 249.6 g, 28.1 cm, 체중 288.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은 21.2, 48.6%였다. 1997년산, 1998년산, 산천어의 상대성장식은 각각 $BW=0.0088FL^{3.0893}$, $BW=0.0076FL^{3.1248}$, $BW=0.0093FL^{3.0652}$로 나타났다. $0^+$어의 암수별 평균 가랑이체장과 체중을 보면, 체장은 각각 $9.32{\pm}1.19\;cm$, $9.07{\pm}1.02\;cm$이었고, 체중은 각각 $9.36{\pm}3.50\;g$, $8.57{\pm}3.04\;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34%를 차지하였다. $1^+$어의 smolt 된 암수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85{\pm}1.14\;cm$, $19.95{\pm}2.62\;cm$이고, 평균체중은 각각 $84.09{\pm}18.1\;g$, $86.33{\pm}41.2\;g$으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암컷이 91.3%를 차지한 반면, parr의 암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60{\pm}3.79\;cm$, $19.81{\pm}2.74\;cm$, 평균 체중은 각각 $101.88{\pm}60.9\;g$, $98.38{\pm}39.6\;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21.3%를 차지하였다. 생식선 숙도 지수는 10월에 최대값인 10.99를 나타냈으며, 수컷은 9월에 6.56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암수의 성숙 시기가 달랐다.

소나무 군락의 장기적 낙엽생산을 통한 영양염류 이입량 (Long Term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Input in Pinus densiflora Forest)

  • 원호연;이영상;한아름;김덕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29
    • /
    • 2018
  • 월악산 국립공원에서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5년간 낙엽생산량과 낙엽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량을 조사하였다. 잎, 가지, 생식기관, 기타로 분류된 낙엽의 5년간 평균 생산량은 각각 $1.940{\pm}0.21$, $0.505{\pm}0.15$, $0.259{\pm}0.09$, and $0.737{\pm}0.14t\;ha^{-1}yr^{-1}$ 이었으며 낙엽구성원의 비율은 각각 56.4, 14.7, 7.5, 21.4%, 로 잎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생산된 낙엽의 총량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2.810, 3.796, 3.268, 3.284, $4.045ton\;ha^{-1}yr^{-1}$ 으로, 5년간 평균 $3.441{\pm}0.4ton\;ha^{-1}yr^{-1}$의 낙엽이 생산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조사된 낙엽을 통해 입상에 이입되는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의 평균 이입량은 각각 $22.73{\pm}4.92$, $1.05{\pm}0.42$, $4.26{\pm}1.69$, $8.48{\pm}4.62$, $2.42{\pm}1.01kg\;ha^{-1}yr^{-1}$ 이었다.

월악산 굴참나무림의 낙엽생산과 낙엽을 통한 영양염류 이입량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Input via Litterfall in Quercus variabilis Forest at Mt. Worak National Park)

  • 원호연;남궁정;표재훈;문형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73-580
    • /
    • 2011
  • 월악산 국립공원 내의 굴참나무림에서 2005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4년 동안 월별 낙엽 생산량과 낙엽을 통해 임상에 이입되는 영양염류의 양을 조사하였다. 2005, 2006, 2007, 2008년의 낙엽생산량은 각각 5.181, 5.372, 5.314, 5.361 ton $ha^{-1}yr^{-1}$이었으며, 4년 동안의 평균 낙엽생산량은 5.307${\pm}$0.09 ton $ha^{-1}yr^{-1}$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낙엽 구성원 중 잎, 가지, 생식기관 그리고 기타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67.5${\pm}$1.9, 13.3${\pm}$0.8, 10.1${\pm}$0.5, 9.1${\pm}$1.2%로 잎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소에서 4년 동안 낙엽을 통해 임상에 이입되는 질소, 인, 칼륨,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의 평균 이입량은 각각 44.47${\pm}$6.70, 2.50${\pm}$0.25, 12.26${\pm}$0.30, 17.23${\pm}$2.32, 9.56${\pm}$0.54 kg $ha^{-1}yr^{-1}$이었다.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the Olive Leaf (Olea europaea L. var. Kalamata) Extracts on the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 Ha, Ju-Yeon;Goo, Sun-Young;Sung, Jung-Suk;Shin, Han-S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965-970
    • /
    • 2009
  • Oleuropein content of olive leaf extracts (OLE; ethanol extract) was evalua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Oleuropein contents were $4.21{\pm}0.57$, $3.92{\pm}0.43$, $0.32{\pm}0.03$, $5.76{\pm}0.32$, and $32.47{\pm}0.25$ mg/100 g for ethanol extract, and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 respectively. The removal of DPPH free radical increased in OLE and all 5 fractions of OLE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OLE in vitro, 80%(v/v) ethanol OLE, $H_2O_2$, or combined treatment of 80%(v/v) ethanol OLE and $H_2O_2$ were applied on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cells. Cells were damaged by oxidative stress decreased their viability follow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H_2O_2$, but co-treatment of OLE and $H_2O_2$ showed an increase in cell growth about 20% compare to the cells treated with $H_2O_2$. OLE suppresses cytotoxicity induced by $H_2O_2$ in dose dependent manner. OLE treatment on MEF cells was also examined by analyzing cell cycle and apoptotic rate using flow cytometry. Apoptotic and necrotic cell accumulation was decreased in addition of OLE to $H_2O_2$ compare to the oxidative damaged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LE suppresses cytotoxicity induced by $H_2O_2$ and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on MEF cells.

Association of Vitamin D Level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Breast Cancer

  • Thanasitthichai, Somchai;Chaiwerawattana, Arkom;Prasitthipayong, Ar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2호
    • /
    • pp.4881-4883
    • /
    • 2015
  • A population-based relationship between low vitamin D status and increased cancer risk is now generally accepted. However there were only few studies reported on prognostic impact.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 vitamin D on progression of breast cancer,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vitamin D levels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0 cases of breast cancer diagnosed during 2011-2012 at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of Thailand. Vitamin D levels were measur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linical and pathological data were accessed to examine prognostic effects of vitamin D. We found that the mean vitamin D level was $23.0{\pm}6.61ng/ml$. High vitamin D levels (${\geq}32ng/ml$) were detected in 7% of patients, low levels (<32 ng/ml) in 93% Mean vitamin D levels for stages 1-4 were $26.1{\pm}6.35$, $22.3{\pm}6.34$, $22.2{\pm}6.46$ and $21.3{\pm}5.42ng/ml$ respectively (P=0.016) and 24.1 and 21.3 ng/ml for lymph node negative and positive cases (P=0.006). Low vitamin D level (<32 ng/ml) was significantly found in majority of cases with advanced stage of the disease (P=0.036), positive node involvement (P=0.030) and large tumors (P=0.038). Our findings suggest that low and decreased level of vitamin D might correlate with progression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