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32

검색결과 3,771건 처리시간 0.032초

아이스플랜트(Mesembryanthemum crystallinum)의 3T3-L1 전지방세포 분화 및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활성 억제 (Inhibitory Effect of Cell Differentiation against 3T3-L1 Pre-Adipocyte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of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 강승미;김선정;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012-10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아이스플랜트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우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하고 추출용매에 따른 ACE 저해 활성과 3T3-L1 전지방세포에 대한 분화 억제 활성을 검증하였다. 아이스플랜트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32.57 mg/g이었으며, L-alanine 4.64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혈압저하 및 이뇨효과를 가지는 ${\gamma}$-aminobutyric acid는 2.60 mg/g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스플랜트 용매분획별 ACE 저해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과 chloroform 분획에서 각각 $33.17{\pm}3.20{\sim}88.19{\pm}3.20%$, $23.72{\pm}2.89{\sim}86.78{\pm}2.24%$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butanol, water 및 hexane 분획에서는 각각 $8.86{\pm}1.20{\sim}41.21{\pm}2.49%$, $3.24{\pm}1.50{\sim}36.01{\pm}1.38%$, $-2.46{\pm}0.37~31.28{\pm}2.86%$로 나타났다. Ethyl acetate 분획과 chloroform 분획은 양성대조군인 Captopril(R)($19.51{\pm}3.44{\sim}84.72{\pm}1.06%$) 및 Enalapril(R)($24.93{\pm}1.12{\sim}91.32{\pm}3.62%$)과 유사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구 생성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과 butanol 분획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53.00{\pm}0.45{\sim}65.75{\pm}0.31%$$44.16{\pm}0.29{\sim}63.32{\pm}0.36%$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chloroform 분획과 hexane 분획은 $38.33{\pm}0.09{\sim}56.55{\pm}0.50%$, $31.17{\pm}0.50{\sim}55.10{\pm}1.93%$, water 분획은 $26.32{\pm}2.27{\sim}49.48{\pm}0.05%$로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이스플랜트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고혈압과 항비만의 생리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뛰어나다고 판단된다.

고환 내 정자의 체외배양 중 운동성에 미치는 인간 난포액과 온도의 영향 (Effect of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Temperatures on the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Cultured In Vitro)

  • 신지수;손지온;이동률;김계성;정태규;김낙근;한지은;이우식;윤태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8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esticular sperm motility following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such as human follicular fluid (hFF) and temperature. Testicular tissues obtained from azoospermia (n=21) were minced into small pieces by blade and recovered sperm suspension were cultured in Ham's F10 with or without 40% hFF at different temperatures (Group I: 37$^{\circ}C$/with hFF, Group II: 32$^{\circ}C$/withGroup III: 37$^{\circ}C$/without, Group IV:32$^{\circ}C$ /without The motility and viability of sperm were monitored during culture for 48 hours. Initial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as 10.9$\pm$1.9%. After 24 hours culture, sperm motility was 23.5$\pm$2.1% (Group I), 8.1$\pm$1.1% (Group II), 10.4$\pm$ 1.4% (Group III) and 4.0$\pm$0.8% (Group IV), respectively. After 48 hours, the motility had been changed as 32$\pm$2.3% (Group I), 14.3$\pm$1.7% (Group II), 5.3 $\pm$1.4% (Group III) and 4.3$\pm$0.9% (Group IV). In hFF group (I and II), sperm mot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circ}C$ was high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circ}C$. But, sperm viability of group I cultured at 37$^{\circ}C$ was lower than those of group II at 32$^{\circ}C$ (54.4$\pm$4.1% vs. 59.4$\pm$3.7%) after cultured for 48 hours. We acquired the best motility of testicular sperm when performed in vitro culture for 48 hours in hFF supplemented medium at 37$^{\circ}C$. Increase of sperm motility by in vitro culture could be useful tool fur human TESE-ICSI program.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 관한 연구 (Can Endometriosis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 정병준;송현진;오익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9권3호
    • /
    • pp.223-227
    • /
    • 2002
  • 연구목적: 전반적인 자궁내막증이 체외수정시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특히 stage III-IV 자궁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 체외수정시술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진단복강경을 통해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체외수정시술을 시행 받은 91명 131주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stage III-IV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는 27명 34주기였다. 비교군은 이시기에 진단된 순수 난관원인으로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한 40명 56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사는 Student's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p<0.05를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자궁내막증 환자와 난관인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두 군간의 나이는 $31.6{\pm}3.3$, $32.6{\pm}3.6$세로 비슷하였다. 채취된 난자의 수 ($10.3{\pm}6.6$ vs $11.7{\pm}5.1$), 성숙난자 수 ($7.4{\pm}4.7$ vs $7.7{\pm}4.9$), 수정율 ($70.2{\pm}32.4%$ vs $73.7{\pm}20.0%$), Good embryo quality rate (8세포 (G1+G2)를 2PN의 개수로 나눈 값) (32.6% vs 32.4%) 및 배아이식 수 ($4.6{\pm}1.4$ vs $4.8{\pm}1.1$)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또한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도 각각 30.7%, 42.8%로 비슷하였다.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인자의 비교에서 성숙난자 및 채취된 난자의 개수는 각각 $8.8{\pm}4.9$, $7.7{\pm}3.9$, $11.3{\pm}7.0$, $11.7{\pm}5.1$개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정율은 stage III와 IV 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66.2{\pm}30.0%$ vs $73.7{\pm}20.0%$). Good qulity embryo rate (GQER)는 stage III-IV 자궁내막증 환자군에서 22.0%로 순수 난관인자의 32.4%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p=0.15, Chi-square test). 배아이식 수의 경우는 각각 $4.7{\pm}1.5$, $4.8{\pm}1.1$개로 차이가 없었다. 배아이식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의 경우는 stage III-IV군에서 25.0% (8/32), 난관인자 군의 42.8% (24/56)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p=0.06, Chi-square test),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내막증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체외수정시술시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등도 및 중증의 자궁 내막증을 갖는 불임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는 임신율에 나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체 요골동맥과 경동맥의 혈액에코박동지수: 나이 및 뇌졸중과의 관계 (Pulsatility Index of Blood Echogenicity of the Human Radial and Common Carotid Arteries: Relation with Age and Stroke)

  • 복태훈;콩치;남권호;최재철;팽동국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두 나이군의 인체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초음파 혈액 영상을 측정하여 혈액에코박동지수를 분석했고, 또한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의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 초음파 혈액 영상을 측정하여 혈액에코박동지수를 비교했다. 요골동맥의 혈액에코박동지수는 젊은 세대와 나이 많은 세대가 각각 $0.13{\pm}0.11$, $0.16{\pm}0.03$로 유사한 반면, 경동맥에서는 각각 $0.70{\pm}0.21$, $0.32{\pm}0.01$로 젊은 세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피험자 별로 더 높은 분산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와 대조군의 혈액에코박동지수는 요골동맥($0.22{\pm}0.02$, $0.16{\pm}0.03$)과 경동맥($0.35{\pm}0.02$, $0.32{\pm}0.01$) 모두 환자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섬유소원 농도 역시 요골동맥과 경동맥 모두 대조군($264{\pm}38$, $257{\pm}43mg/dl$)보다 환자군($336{\pm}61$, $340{\pm}126mg/dl$)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적혈구 응집과 뇌졸중의 상관성에 대한 초음파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적혈구 응집의 생체 내 측정은 임상학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 남 . 여자의 피부온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the Skin Temperature on the Adult Male. Female at Environmental Temperature)

  • 심부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7-246
    • /
    • 1997
  • With a view of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gning male's and female's clothes, heslthy males and females(five each)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temperature( $20{\pm}1.0^{\circ}C$ $28{\pm}1.0^{\circ}C$,$32{\pm}1.0^{\circ}C$ in the nude. Their adaptation of skin temperature, physilogical responses, oral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rates) and psychological reactions (thermal, comfort and perceptive sweat sensations) were analyzed to be as follows; The subjects's skin temperature had a similar look of adaptation, but the stability of skin temperature differed at the $20{\pm}1.0^{\circ}C$and at the $28{\pm}1.0^{\circ}C$ Males had higher skin temperatures at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but females showed a higher temperature change at the $20{\pm}1.0^{\circ}C$ and$28{\pm}1.0^{\circ}C$ and males at the $32{\pm}1.0^{\circ}C$ Thus females were more resistant to the cold, while male were more resistant to the heat. As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oral temperature and pulse rates also grew up. Females turned higher in oral temperature and lower in blood pressure, but both sexes had a normal range of physiological reactions. Even though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 were same changes in thermal sensation at and in perceptive sweat sensation at $28{\pm}1.0^{\circ}C$and in perceptive sweat sensation at$32{\pm}1.0^{\circ}C$ the two sexes had the same response in comfort sensation at the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

  • PDF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 남녀의 피부온 비교 (A comparision study on the variation of skin temperature on the adult male. female at environmental temperature)

  • 심부자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59
    • /
    • 1997
  •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gning male's and female's clothes, healthy males and females(five each)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temperature($20{\pm}1.0^{\circ}C$, $28{\pm}1.0^{\circ}C$, $32{\pm}1.0^{\circ}C$) in the nude. Their adaptation of skin temperature, physiological responses( rectal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rates) and psychological reactions(thermal, comfort and perceptive sweaty sensations)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subjects's skin temperature had a similar look of adaptation, but the stability of skin temperature differed at tha $20{\pm}1.0^{\circ}C$ and at the $28{\pm}1.0^{\circ}C$ Males had higher skin temperature at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but females showed a higher temperature change at the $20{\pm}1.0^{\circ}C$ and $28{\pm}1.0^{\circ}C$ and males at the$32{\pm}1.0^{\circ}C$ Thus females were more resistant to the cold, while males were more resistant to the heat. As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rectal temperature and pulse rates also grew up. Females turned higher in rectal temperature and lower in blood pressure, but both sexes had a normal range of physiological reactions. Even though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were same changes in thermal sensation at $28{\pm}1.0^{\circ}C$and in perceptive sweat sensation at $32{\pm}1.0^{\circ}C$, two sexes had the same response in comfort sensation at the three environmental temperatures.

  • PDF

카드뮴이 BALB/c 마우스의 면역반응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1. 세포성 면역반응 (Effect of cadmium on immune responses and enzyme activities of BALB/c mice 1. Cellular immune responses)

  • 윤창용;김태중;송희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43-552
    • /
    • 1995
  • 카드뮴이 BALC/c 마우스의 세포성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여러 농도의 카드뮴이 첨가된 음료를 장기간 동안 자유급식하고, 비장내 T helper 및 T suppressor cell의 분포도,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 및 시험관내에서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세포의 증식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군의 6주간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이 27.0%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의 체중증가율은 각각 28.54%, 28.31%, 20.49% 및 18.04%로 나타났다. 2. 체중당 비장무게(mg/g)는 대조군이 $4.34{\pm}0.23$이었으며,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4.20{\pm}0.54$, $4.80{\pm}0.87$, $4.25{\pm}0.32$$4.40{\pm}0.32$이었다. 또한 총비장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24.29{\pm}5.98$)에 비해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에서 각각 14.1%, 35.7%, 16.6% 및 22.0%증가하였다. 3. 총 $CD_4{^+}$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9.15{\pm}2.24$, 25, 50, 100 및 200ppm $CdCl_2$, 투여군은 각각 $10.40{\pm}2.04$, $12.04{\pm}3.08$, $10.20{\pm}3.16$$10.80{\pm}1.48$ 이었으며, 총 $CD_8{^+}$ 세포수(${\times}10^7$)는 대조군이 $2.32{\pm}0.56$, 각 실험군의 총세포수는 $2.54{\pm}0.27$, $3.12{\pm}0.80$, $2.25{\pm}0.70$$2.24{\pm}0.28$ 이었다. 한편, $CD_4{^+}/CD_8{^+}$ 비율은 50ppm 투여군($3.88{\pm}0.01$)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3.97{\pm}0.02$)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4. 카드뮴 처리군의 SRBC에 대한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은 25 및 5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및 p<0.01), 100 및 200ppm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5. 시험관에서의 Con-A 및 LPS에 대한 비장림프구 증식반응은 LPS의 경우 카드뮴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으나 Con-A에 대한 증식반응은 저농도($10^{-7}-10^{-6}M$)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6. $CdCl_2$에 대한 비장세포의 세독독성은 $10^{-4}M$에서 특히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카드뮴이 세포성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세포 아군의 분포도를 변화시키므로써 면역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강원도산 벌꿀의 무기물 , HMF 및 비타민에 관한 연구 (Minerals, HMF and Vitamins of Honey Harvested in Kangwon Area)

  • 김복남;김택제;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5-679
    • /
    • 1994
  • Minerals, hydroxymethyfufural (HMF) and vitamins in native bee-honey (NBH) harvested from four different areas of Kangwon, korea were analyzed . Ash content of NBH varied from 0.26 to 0.50 %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0.32$\pm$ 0.17% and those of FBH varied from 0.15 to 0.58%(0.32$\pm$0.37) . Among analyzed minerals, the concentration of K,Ca, Mg, Fe and P except Na in NBH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in FBH. The amounts of K and NA in NBH were 1200-3200ppm(2000 $\pm$770ppm) and 35-50ppm(38$\pm$6ppm), and those in FBH were 1100-3300ppm(1900$\pm$ 1700ppm) and 32-72ppm(49$\pm$17ppm),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Na to K ratio expressed as Na/Kx10$^3$ was 20$\pm$4 for the NBH and 41$\pm$25 for the FBH. HMF levels in NBH were 0.50$\pm$0.22mg% which was twice as much as those in FBH. Ascorbic acid and riboflavin in NBH were present at the range of 2.2-4.0mg% and 0.17-0.24mg% , respectively, of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from the FBH.

  • PDF

서울시 일원 약수의 수질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Mineral Water in Seoul Area)

  • 최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3권1호
    • /
    • pp.69-74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and pollution in the mineral water located in Seoul area. 15 sites were pointed out by random sampling and tested monthly for 14 items from July to December in 1986. 1. 14 sites were suitable for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but 1 site was not suitable for its pH (5.4). 2. The range of mineral element and concentration were as follows: $$K\;(1.1\pm0.19\~2.38\pm0.45ppm)$$ $$Na\;(5.14\pm0.32\~11.2\pm0.58ppm)$$ $$Ca\;(4.36\pm0.53\~14.44\pm0.53ppm)$$ $$Mg(1.58\pm0.32\~6.34\pm0.77ppm)$$ 3. Among the heavy metals, Fe, Zn, Mn, Cu, were detected small amount but Pb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 4. Fluoride concentrations were the range of $0.13\pm0.03\~0.42\pm0.03ppm$.

  • PDF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ickness of Egg Shell and Egg Shell Membrane in Silky Fowl)

  • 하정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1983
  • 본 시험은 오골계의 난각과 난각막의 두께변화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시란 120개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의 조사항목은 12개로서 그 평균 성적은 다음과 같았다. 오골계의 란중은 36.58$\pm$0.446g, 난각중량은4.53$\pm$0.079g. 첨단부의 난각 두께는 0.32$\pm$0.006mm, 중단부의 난각두께는 0.32$\pm$0.047mm, 순단부의 난각두께는 0.30$\pm$0.056mm, 첨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중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0$\pm$0.001mm, 둔단부의 난각막의 두께는 0.053$\pm$0.001mm, Breaking strength는 3.06kg$\pm$0.010, 란의 세로길이는 4.80$\pm$0.024cm, 란의 가로길이는 3.82$\pm$0.010그리고 세로/가로는 1.26$\pm$0.005이었다. 2) 12개 조사항목간에서 상관계수를 구하고, 그 유의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난각막의 항목만 제외한 타 항목은 모두 고도의 유의성을 가졌으나. 특이하게 난각막은 타 항목과 유의성이 없었고, 그 계수는 부상관의 수치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