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2 phag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초

Biochemical Quantitation of PM2 Phage DNA as a Substrate for Endonuclease Assay

  • Joo, Yoo-Jin;Kim, Hee-Ju;Lee, Jae-Yung;Kim, 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99-102
    • /
    • 2004
  • Bacteriophage PM2 has a closed circular form of double stranded DNA as a genome. This DNA from the phage is a useful source for nick-circle endonuclease assay in the fmol range. Due to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of viral infectivity, storage conditions of the phag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uri-fication of PM2 DNA. The proper condition for a short-term storage of less than 2 months is to keep the PM2 phage at 4$^{\circ}C$; whereas the proper condition for a long-term storage of the PM2 phage for over 2 months is to keep it under liquid nitrogen in 7.5 % glycerol. The optimal conditions for a high yield of phage progeny were also considered with the goal to achieve a successful PM2 DNA preparation. A MOI(Multiplicity Of Infection) of 0.03, in which the OD$\sub$600/ of the host bacteria was between 0.3 and 0.5, turned out to be optimal for the mass production of PM2 phage with a burst size of about 214. Considerations of PM2 genome size, and the concentrations and radiospecific activities of purified PM2 DNA, are required to measure the endonuclease activity in the fmol range. This study reports the proper quantitation of radioactivity and the yield of purified DNA based on these conditions.

Use of Antibody Displayed Phage for the Detection of Dextran Using a Dipstick Assa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 Kim Du-Woon;Day Donal F.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316-1319
    • /
    • 2006
  • An antibody displayed phage collection (SBAE-2R), screened from a human synthetic phage antibody library (Fab 21ox),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dextran. The dextran-binding affinity was determined by serologically specif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a paper dipstick assay. The phage collection was distributed over the dextrancoated grids with 39$\pm$25 phages/$\mu$m$^2$ on the grids. Phages were not seen on dextran-coated grids exposed to the Fab 2lox phage library. The phage collection (SBAE-2R) produced 54$\pm$3 color normalized intensity (N.I.) from 125 ppm to 1,000 ppm of dextran and 5$\pm$1 (N.I.) for 63 ppm of dextran in a paper dipstick assay. This research extends the analytical options for dextran analysis by antibody displayed phage with a minimum of equipment usage.

대장균의 회분식 발효에 의해 생산된 덱스트란 결합 파아지를 활용한 설탕 제조공정 오염 검출 (Detection of Sugar Process Contamination Using Dextran Binding hages Produced by Batch Fermentation of Escherichia coli)

  • 김두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17-621
    • /
    • 2008
  • Sequential passes through $Sephadex^{TM}$ columns were used to select phages that displays ligands for dextran ($\alpha$-1,6 linked linear chains) from a phage antibody library. Those phages that bound to the $Sephadex^{TM}$ in each iteration were replicated in E. coli. A phage preparation isolated on the third round selection produced 5.4 nephelos turbidity units (NTU) in a dextran specific immunonephelometric assay, a 2.2 fold higher value than the phage preparation from the first round selection. This phage gave $72\;{\pm}\;10$ normalized intensity (N.I.) in a dip-stick assay against high molecular size dextran (T2000, $2\;{\times}\;10^6) and significantly lower color ($30\;{\pm}\;6$ N.I.) against low molecular size dextran (T10, $10^4$). The presence of an Fab insert in each of these phages was confirmed using a $\beta-galactosidase linked assay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용균성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Cronobacter sakazakii와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의 생육저해 (Virulent Bacteriophage for Growth Inhibi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 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6-181
    • /
    • 2011
  • 즉석 편이식품에서 위해도가 가장 큰 C. sakazakii와 S. enterica Typhimurium을 박테리오파지로 제어하기 위하여 용균성 박테리오파지를 분리, 동정하였고 조제분유와 채소 주스에 이들 세균에 적용하여 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박테리오 파지는 돼지 분변에서 C. sakazakii와 S. enterica Typhimurium균을 용해시키는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였고 현미경과 그의 특성을 분석, 동정하였다. Cronobacter에 작용하는 ES2 파지와 Salmonella의 ST2 파지는 형태학적 특성이 각각 Myoviridae와 Siphoviridae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제한효소지도와 SDS-PAGE 분석에 의하여 서로 다른 파지임을 확인하였다. ES2 파지의 경우 latent period는 약 40분 정도였으며, ST2 파지는 약 30분 정도를 나타냈으며, burst size는 ES2 파지는 약 $52{\pm}5PFU/cell$, ST2 파지는 약 $21{\pm}3PFU/cell$로 나타났다. 열안정성은 $60^{\circ}C$에서 ST2 파지의 경우 100분 동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ES2 파지는 30분 이후부터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ST2 파지가 ES2 파지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분리 파지를 조제분유와 채소 주스에 직접 적용한 효과는 ES2에 의한 Cronobacter 제어는 접종 후 6시간까지는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균의 증식을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T2 파지에 의한 Salmonella는 생육저해가 잘 일어나 접종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C. sakazakii와 S. enterica Typhimurium의 생육저해는 이들 용균성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Isolation and Genomic Characterization of the T4-Like Bacteriophage PM2 Infecting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 Lim, Jeong-A;Lee, Dong Hwan;Heu, Sungg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83-89
    • /
    • 2015
  • In order to control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a novel virulent bacteriophage PM2 was isolated. Bacteriophage PM2 can infect 48% of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and 78% of P. carotovorum subsp. brasilliensis but none of atrosepticum, betavasculorum, odoriferum and wasabiae isolates had been infected with PM2. PM2 phage belongs to the family Myoviridae, and contains a large head and contractile tail. It has a 170,286 base pair genome that encodes 291 open reading frames (ORFs) and 12 tRNAs. Most ORFs in bacteriophage PM2 share a high level of homology with T4-like phages including IME08, RB69, and JS98.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erminase large subunits confirmed that PM2 is classified as a T4-like phage. It contains no integrase- or no repressor-coding genes related to the lysogenic cycle, and lifestyle prediction using PHACT software suggested that PM2 is a virulent bacteriophag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phage Preying an Antifungal Bacterium

  • Rahimi-Midani, Aryan;Kim, Kyoung-Ho;Lee, Seon-Woo;Jung, Sang Bong;Choi, Tae-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84-588
    • /
    • 2016
  • Several 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rice field soils,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Bacillus cereus was the most abundant. A strain named BC1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Bacteriophages infecting strain BC1 were isolated from the same soil sample. The isolated phage PK16 had an icosahedral head of $100{\pm}5nm$ and tail of $200{\pm}5nm$, indicating that it belonged to the family Myoviridae. Analysis of the complete linear dsDNA genome revealed a 158,127-bp genome with G + C content of 39.9% comprising 235 open reading frames as well as 19 tRNA genes (including 1 pseudogene). Blastp analysis showed that the proteins encoded by the PK16 genome had the closest hits to proteins of seven different bacteriophages. A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major capsid protein showed a robust clustering of phage PK16 with phage JBP901 and BCP8-2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

Lactobacillus plantarum을 용균시키는 Bacteriophoge SC921의 분리 및 특성

  • 윤성식;신영재;최학종;허송;오두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6-101
    • /
    • 1997
  • Among the lactic flora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acidity and characteristic flavor of Kimchi which is a traditional fermented Chiness cabbage. Homofermentative Lactobacillus plantarum is rod-shaped and to be known to ewert major role during later fermentation period. Once this strain establishes main flaora in the Kimchi fermentation process, it gives rise to excess acid production to reduce the taste and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As a primary work to increase the keeping quality using virulent Lactobaillus plantarum bacteriophages, it was isolated sucessfully from collected Kimchi samp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The new isolated phage, named SC 921, adsorbed to its host without Ca$^{2+}$, and nearly eliminated at 60$\circ $C of heat treatment for 5 min. This phages were atable at pH 4~ 10 but inactivated below pH 3.0 or pH 11.0 above. The latent period, rise period, and burst size of this phage was 100 min, 120 min, 31$\pm $2pfu/ml, respectively. Electron micrograph showed the phages particles were unusually oval feature of head (dia 80~ 120 nm) without contractile tail.

  • PDF

Isolation of Hafnia Species from Kimchi

  • Kwon, Eun-Ah;Kim, My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78-82
    • /
    • 2009
  • Eight commercially packaged kimchi products were examined over 15 days of storage at $4^{\circ}C$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Hafnia alvei (H. alvei). Additionally, 7 saeujeot products, as a possible ingredient sourc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bacteria's origin. Over the storage period, kimchi samples had decreasing pH levels, which stabilized at pH 4.2; acidity increased to $0.9{\pm}0.1%$. Lactose-nonfermenting bacteria, which H. alvei belongs to, gradually reduced in numbers over the kimchi storage. However, the relative frequency of H. alvei to lactose-nonfermenting bacteria tended to increase. From the kimchi samples, 58 H. alvei-presumptive colonies were selected. Forty three colonies turned out to be H. alvei and 15 colonies were identified as other strains or uncertain identifications when the API 20E system was used. From further test, 3 of the 43 colonies were H. alvei (-) against the phage test. Finally, H. alvei was isolated from saeujeot, indicating that this ingredient can be an originating source of H. alvei in kimchi.

기능성 식이섬유 소재의 생산기술

  • 김종태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심포지엄
    • /
    • pp.5-7
    • /
    • 2000
  • 국내에서의 식이섬유의 이용은 대부분 저분자량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음료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밀기울, 귀리, 옥수수 껍질 등으로 부터 얻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과 및 제빵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예방과 장기능 증진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장암과 변비같은 장질환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산 미이용 자원으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성 향상과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식품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폴리덱스트로스와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당류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큰 외화지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산 미곡 부산물인 밀기울 식이섬유 세포벽의 불용성 구조를 수용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기술과 얻어진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즉, 밀기울 세포벽의 수용화를 위한 가공처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용화가 수반되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식이섬유 소재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용화가 일어난 세포벽 성분의 분해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의 산업적 생산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효소처리, 산성하에서의 감압가열, 고점도 원료물질의 이송, 생물공학적 공정제어, 반응시간, 잔여 효소의 불활성화 및 재활용, 제조원가 상승 등과 같은 것을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압출반응공정의 조건과 생산된 소재 gluc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등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기로 한다.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vestigation can be separated into sa

  • PDF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 의생리 활성 기능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년도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
    • pp.39-57
    • /
    • 1999
  • Chitin은 새우나 게 등을 비롯한 해산 갑각류의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는 부패, 악취발생 등의 환경공해를 일으키며 처리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던 물질이지만 최근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chitosan 및 chitooligosaccarides로 가공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와 미이용 자원의 개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다당류이다. 더욱이 chitin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chitosan은 polycation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응집제로서 각종 공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료, 생호학, 화장품, 식품, 화학 공업 및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신소재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 chitosan은 생리적 기능은 우수하지만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점도가 높으며 떫은맛이 나기 때문에 식품을 비롯한 기타 응용분야에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애를 개선함으로써 chitosan 자체가 갖는 우수한 생리적 기능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항종양성을 비롯한 새로운 생리적 기능을 갖는 chitosan 유도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Chitosan 유도체 중에서도 chitooligosaccharides는 chitosan의 가수분해로 얻어지는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물에 잘 용해도며 점도가 낮고 용액이 단맛을 낼뿐만 아니라 chitosan이 갖지 않는 새로운 생리적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chitosan과 chitooligosaccarides의 생리 활성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에 대한 면밀한 사안이 밝혀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