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D2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9초

Pleckstrin homology domain of phospholipase D2 is a negative regulator of focal adhesion kinase

  • Kim, Mi Kyoung;Hwang, Won Chan;Min, Do Sik
    • BMB Reports
    • /
    • 제54권2호
    • /
    • pp.112-117
    • /
    • 2021
  • Phospholipase D2 (PLD2) has been implicated in the tyrosine kinase-mediated signaling pathways, but the regulation events are yet to be identified. Herein, we demonstrate that pleckstrin homology (PH) domain of PLD2 (PLD2-PH) exerts an antitumorigenic effect via the suppression of PLD2 and focal adhesion kinase (FAK). The kinase domain of FAK interacts with PLD2-PH and induces tyrosine 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of PLD2. Furthermore, PLD2 increase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FAK. However, ectopic expression of the PLD2-PH competes for binding to FAK and reduces the interaction between PLD2 and FAK, thereby suppressing FAK-induced PLD activation an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FAK. The PLD2-PH suppress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blastoma cells, as well as tumor formation in a xenograft mouse model. This study uncovers a novel role of PLD2-PH as a negative regulator of PLD2 and FAK.

Activation of Phospholipase D2 through Phosphorylation of Tyrosine-470 in Antigen-stimulated Mast Cells

  • 김영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92-498
    • /
    • 2005
  • PLDI 활성화 기전은 여러 보고가 있으나 PLD2 활성화에 대한 기전은 아직 연구의 대상이다. RBL-2H3 비만세포에서 HA-PLD2의 인산화 가능한 타이로신 잔기를 점돌연변이 시킨 DNA플라즈미드를 이용하여 11번, 14번, 470번의 타이로신이 항원자극에 의해 인산화 됨을 알아냈고 특히 470번 타이로신의 인산화가 PLD2 활성화에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세포사멸에서 Phospholipase D 동위효소의 기능적 역할 (The Functional Role of Phospholipase D Isozymes in Apoptosis)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78-1382
    • /
    • 2014
  • Phospholipase D (PL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지질인 인지질을 분해하여, 이차신호전달물질인 phosphatidic acid (PA)를 생성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생존신호전달등 세포내 다양한 생리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핵심단백질로 대두되고 있다. PLD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활성은 다양한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나타난다. PLD에 의해 생성된 PA는 세포사멸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세포사멸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고 있다.최근에, 세포사멸과정에서 PLD 단백질의 turnover dynamics에 관한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규명되었다. PLD는, 세포사멸시 활성화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caspases의 새로운 기질로 작용하여 세포사멸을 차별적으로 조절을 한다. Caspase에 의한 PLD동위효소의 차별적인 분해양상이 PLD의 효소활성과 세포사멸억제 기능을 조절한다. 그래서 PLD는 암치료의 표적분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된다. 본 리뷰논문에서, 세포사멸조절 PLD의 기능적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쥐뇌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포스포리파제 D에 대한 스퍼민의 영향 (Effect of Sperrnine on Phospholipase D Activity in Rat Brain Mitochondrial Preparation)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48-452
    • /
    • 2000
  • 포스포리파제 D(PLD)는 인지질의 말단염기를 가수분해하여 phosphatidic acid(PA)와 염기로 분리시키는 효소이다. 본 연구는 쥐의 뇌에서 분리한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PLD를 활성에 미치는 sper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올레산 존재하에서 spermine이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Ca^{2+}$, $Mg^{2+}$ 그리고 $Ba^{2+}$는 spermine의 영향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아민들은 별 효과가 없었으나 histamine경우 높은 농도에서 PLD를 활성화시켰다. Polylysine들도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그 길이가 길수옥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기질 특이성에 있어서는 phosphatidylcholine(PC)과 phosphatidylethanolamine(PE)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기질 특이성은 쥐 소장 미토콘드리아 PLD의 PE 특이성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설프히드릴 변형 화합물질들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시스테인 잔기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ysteine Residues in Cabbage Phospholipase D by Sulfhydryl Group Modifying Chemica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62-368
    • /
    • 2006
  • 포스포리파아제 D(PLD)의 8개의 시스테인 잔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프히드릴(SH)기와 반응하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동원하였다. 5,5-다이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는 시스테인 잔기의 SH기를 적정하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412nm에서의 환원된 DTNB의 값으로부터 자연 상태의 PLD는 1몰 당 4개의 SH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M의 요소 등으로 3차원 구조를 교란 시킨 변성된 PLD는 8개의 SH기가 적정되었다. 이 결과로 시스테인 잔기의 반(4개)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나머지 반은 내부에 가려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SH기 변형 시약인 p-클로로머큐리벤조산(PCMB),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아미드, 그리고 N-에칠마레이미드 등은 모두 PLD를 비활성화 시켰다. 이들 중 다이티오스라이톨(DTT)로 처리했을 때 유일하게 PCMB에 의해 비활성화 된 PLD는 가역적으로 그 활성이 회복되었다.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다이설파이드들을 이용한 노출된 SH기의 주위 환경을 검토한 결과 음전하나 전하를 띄지 않은 다이설파이드들이 양전하를 띈 시스타민 보다 더 효과적으로 PLD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시스테인 잔기의 산화-환원 전환이 PL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70% 이상 잃은 PLD 활성은 대부분 DTT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배추 PLD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모두 SH기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외부에 노출된 4개의SH기는 PLD 활성 조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terminal domain of PLD2 participates in degradation of protein kinase CKII β subunit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s

  • Lee, Young-Hoon;Uhm, Jong-Su;Yoon, Soo-Hyun;Kang, Ji-Young;Kim, Eun-Kyung;Kang, Beom-Sik;Min, Do-Sik;Bae, Young-Seuk
    • BMB Reports
    • /
    • 제44권9호
    • /
    • pp.572-577
    • /
    • 2011
  • Elevated phospholipase D (PLD) expression prevent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However, the roles of PLD isoforms i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re incompletely understood. Here,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PLD2 and protein kinase CKII (CKII) in HCT116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s. PLD2 interacted with the CKII${\beta}$ subunit in HCT116 cells. The C-terminal domain (residues 578-933) of PLD2 and the N-terminal domain of CKII${\beta}$ were necessary for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oteins. PLD2 relocalized CKII${\beta}$ to the plasma membrane area. Overexpression of PLD2 reduced CKII${\beta}$ protein level, whereas knockdown of PLD2 led to an increase in CKII${\beta}$ expression. PLD2-induced CKII${\beta}$ reduction was mediated by ubiquitin-dependent degradation. The C-terminal domain of PLD2 was sufficient for CKII${\beta}$ degradation as the catalytic activity of PLD2 was not requir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terminal domain of PLD2 can regulate CKII by accelerating CKII${\beta}$ degradation in HCT116 cells.

Activation of Phospholipase D in Rat Thymocytes by Sphingosine

  • Lee, Young-kyun;Choi, Myung-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0호
    • /
    • pp.1451-1489
    • /
    • 2002
  • Sphingosine is known to regulate a wide range of cell physiology including growth,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hingosine on the phospholipase D (PLD) activity in rat thymocytes. Sphingosine potently stimulated PLD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lcium, while deple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by BAPTA/AM treatment completely blocked activation of PLD by sphingosine. Sphingosine-induced increase of the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was confirmed using a fluorescent calcium indicator Fluo-3/AM. A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 inhibitor U73122 partially inhibited the stimulation of PLD by sphingosine. When mouse PLD2 gene was transfected into mouse thymoma EL4 cells, which lack intrinsic PLD activity, sphingosine could stimulate PLD2 significantly while overexpression of human PLD1 had no effect. Taken together, the sphingosine-stimulated PLD activity in rat thymocytes is dependent on the mobiliz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and appears to be due to the PLD2 isoform.

인간 교세포주에서 CoCl2에 의한 phospholipase D의 조절기전 (Regulation of Phospholipase D by CoCl2 in Human Glioblastoma Cells)

  • 이승훈;민계식;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91-698
    • /
    • 2006
  • 본 연구에서 최근 세포내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중요한 효소로써 PLD 동위효소에 대하여, $CoCl_2$가 PLD 동위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중간에 매개되는 단백질로써, PLD1은 p38 MAP kinase, PKA와 $PKC-{\delta}$의 조절을 받고 PLD2는 p38 MAP kinase와 PLC의 조절을 받으므로 그 활성 기전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oCl_2$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 종에 의한 염증상태가 유도될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CoCl_2$가 PLD 동위효소를 매개로 하여 염증상태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COX-2 단백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CoCl_2$에 의해 PLD 효소 활성이 증가됨으로써 COX-2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COX-2의 발현에 대하여 COX-2 promoter의 활성도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전사수준에서의 결과도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었다.

Enhancement of ATP-induced Currents by Phospholipase D1 Overexpressed in PC12 Cells

  • Park, Jin-Bong;Kim, Young-Rae;Jeon, Byeong-Hwa;Park, Seung-Kiel;Oh, Sae-Ock;Kim, Young-Geun;Lee, Sang-Do;Kim, Kwa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4호
    • /
    • pp.223-229
    • /
    • 2003
  • Using phospholipase D1 (PLD1)-overexpressing PC12 (PLD1-PC12) cells, the regulatory roles of PLD1 on ATP-induced currents were investigated. In control and PLD1-PC12 cells, ATP increased PLD activity in an external $Ca^{2+}$ dependent manner. PLD activity stimulated by ATP was substantially larger in PLD1-PC12 cells than in control cells. In whole-cell voltage-clamp mode, ATP induced transient inward and outward currents. The outward currents inhibited by TEA or charybdotoxin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PLD1-PC12 cells than in control cells. The inward currents known as $Ca^{2+}$ permeable nonselective cation currents were also larger in PLD1-PC12 cells than in control cell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cells disappeared in $Ca^{2+}$-free external solution, where ATP did not activate PLD. Finally, ATP-induced $^{45}Ca$ uptakes were also larger in PLD1-PC12 cells than in contro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D enhances ATP-induced $Ca^{2+}$ influx via $Ca^{2+}$ permeable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and increases subsequent $Ca^{2+}$-activated $K^+$ currents in PC12 cells.

DAP(Dose Area Product)를 이용한 TLD와 PLD의 선량 측정 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PLD by Dose Area Product)

  • 최재호;강구준;장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44-250
    • /
    • 2012
  • 본 연구는 현재 법령 개인선량계인 PLD와 TLD의 선량 분석을 통해 성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동판독장치를 이용해 PLD와 TLD의 적산선량을 판독 후 선량 교정 과정을 거친 두 소자의 값은 70kVp, 200mA, 0.012sec와 42kVp, 100mA, 0.012sec의 각각의 촬영조건에서 TLD는 PLD 측정 시와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다(각각 p<0.001, p<0.001). DAP와 두 소자의 측정값 차이는 70kVp, 2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 TLD는 DAP 평균값보다 $44.2mGy{\cdot}cm^2$이 낮은 값이 나타났고, PLD는 DAP 평균값에 $15.5mGy{\cdot}cm^2$이 낮은 $246.8mGy{\cdot}cm^2$으로 나타났다. 42kVp, 100mA, 0.012sec 촬영조건에서는 TLD는 DAP 평균 값의 $17.9mGy{\cdot}cm^2$이 낮은 값을 보였으며, PLD는 DAP 평균값에 $7.6mGy{\cdot}cm^2$이 낮은 $82.6mGy{\cdot}cm^2$으로 나타나 PLD가 DAP에 더 근접한 값을 보였다. 또한 PLD에 비해 TLD는 10개의 각 소자마다 측정된 선량 값에서 소자 상호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1개의 소자를 반복 측정한 재현성 실험에서 PLD는 ${\pm}1%$ 이내로 TLD ${\pm}2%$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LD가 TLD에 비해 선량 측정 능력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고, 진단용 방사선영역에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 관리에 PLD가 더욱 적합하고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