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2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8초

Inhibitory effects of antithrombin on the expression of secretory group IIA phospholipase A2 in endothelial cells

  • Kim, Tae-Hoon;Bae, Jong-Sup
    • BMB Reports
    • /
    • 제43권9호
    • /
    • pp.604-608
    • /
    • 2010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mediates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primary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and it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secretory group IIA phospholipase $A_2$ ($sPLA_2$-IIA). $sPLA_2$-IIA plays a pivotal role in inflammation, and antithrombin (AT) possesses properties that are beneficial to endothelial cell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T on the expression of $sPLA_2$-IIA in TNF-$\alpha$-stimulated HUVECs. TNF-$\alpha$ potently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sPLA_2$-IIA, and prior treatment of cells with A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sPLA_2$-IIA in HUVECs. Also, antibodies or siRNA for syndecan-4 blocked the protective effect of AT. Furthermore, PI3-kinase and the AKT pathway are significantly involved in the AT-mediated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sPLA_2$-IIA. These results show that AT effectively suppresses the upregulated $sPLA_2$-IIA expression, which might contribute to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AT in the treatment of severe inflammatory diseases.

Glutamine Inhibits TNF-α-induced Cytosolic Phospholipase A2 Activation via Upregulation of MAPK Phosphatase-1

  • Yoon, So Young;Jeong, Soo-Yeon;Im, Suhn-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23-230
    • /
    • 2021
  •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s a principal regulator of inflammation and immunity. The proinflammatory properties of TNF-α can be attributed to its ability to activate the enzyme cytosolic phospholipase A2 (cPLA2), which generates potent inflammatory lipid mediators, eicosanoids. L-glutamine (Gln) plays physiologically important roles in various metabolic processes. We have reported that Gln has a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rapid upregu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phosphatase (MKP)-1, which preferentially dephosphorylates the key proinflammatory enzymes, p38 MAPK and cytosolic phospholipase A2 (cPLA2).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Gln could inhibit TNF-α-induced cPLA2 activation. Gln inhibited TNF-α-induced increases in cPLA2 phosphorylation in the lungs and blood levels of the cPLA2 metabolites, leukotrine B4 (LTB4) (lipoxygenase metabolite) and prostaglandin E2 (PGE2) (cyclooxygenase metabolite). TNF-α increased p38 and cPLA2 phosphorylation and blood levels of LTB4 and PGE2, which were blocked by the p38 inhibitor SB202190. Gln inhibited TNF-α-induced p38 and cPLA2 phosphorylation and production of the cPLA2 metabolites. Such inhibitory activity of Gln was no longer observed in MKP-1 small interfering RNA-pretreated animals. Our data indicate that Gln inhibited TNF-α-induced cPLA2 phosphorylation through MKP-1 induction/p38 inhibition, and suggest that the utility of Gln in inflammatory diseases in which TNF-α plays a major role in their pathogenesis.

NNNMU로 유도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흰쥐 폐장에서의 dexamethasone에 의한 $PLA_2$, GGT의 활성도 및 형태학적인 변화 (Effects of high dose of dexamethasone on $PLA_2$, GGT activity and lung morphology in NNNMU-induced ARDS rats)

  • 이영만;박윤엽;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25-935
    • /
    • 1996
  • 연구목적: ARDS 발병기전의 일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에서 ARDS와 같은 병변을 유도하는 N-nitroso-N-methylurethane(NNNMU)로 흰쥐에서 급성 폐손상을 유도하였다. ARDS에서의 제 II형 폐포세포의 기능 및 형태학적인 변화가 폐포강 내로의 단백질 이동과 관계 있다고 생각되므로 surfactant를 정량하고 동시에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GG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백혈구와 연관된 free radical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phospholipase $A_2$ ($PLA_2$)의 활성도도 측정하였다. 이때 $PLA_2$의 inhibitor인 dexamethasone을 이용하여 $PLA_2$가 ARDS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NNNMU에 의해 나타나는 폐부종의 확인을 위해 체중에 대한 폐장의 무게의 비를 계산하였고, 제 II형 폐포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surfactant의 양 및 GG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염증세포의 침윤 및 제 II형 폐포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으며 $PLA_2$의 활성도도 측정 하였다. 또한 이 모든 실험을 dexamethasone을 투여한 군에서도 시행하여 $PLA_2$의 억제로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NNNMU로 유도된 ARDS와 유사한 급성폐손상시 dexarnethasone은 폐부종을 감소시키고 GGT 및 $PLA_2$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 형태학적으로는 염증세포 침윤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병리학적인 소견도 호전시켰다. 결론: ARDS의 병인 중 $PLA_2$의 활성화가 염증세포의 침윤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resprratory burst에 의한 free radical의 생성과 그 작용이 급성 폐손상의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된다. 특히 $PLA_2$는 백혈구 세포막의 NADPH oxidase의 활성화에 따른 free radical의 생성뿐만 아니라 lipid medialor의 생성에도 관여하여 폐부종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과량의 dexamethasone 은 $PLA_2$를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iO2 나노입자를 함유한 PLA 필름의 탈취성과 항균성 (The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LA Films Embedded with TiO2 Nanoparticles)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7
    • /
    • 2008
  • The effects of $TiO_2$ contents and UV irradi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PLA films embedded with $TiO_2$ nanoparticle were investigated. Whereas UV irradiation decreased reflectance of the treated PLA films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UV energy, the reflectance of PLA/$TiO_2$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UV energy. The UV irradiation treatment caused PLA/$TiO_2$ blend films more polar as indicated in the generation of new carbonyl group and decrease in zeta potentials, which was more pronounced with the introduction of $TiO_2$. Upon UV irradiation, $TiO_2$ particles appeared on the film surface as observed in SEM images. The PLA/$TiO_2$ blend films showed photocatalytic properties such as photobleaching of methylene blue, deodorization of ammonia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comparison with pure PLA films.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Novel Forms of A Cytosolic Phospholipase $A_2$-Activating Factor in Bovine Brain

  • Park, Jae-Sin;Jung, Kwang-Mook;Jung, Sung-Yun;Na, Doe-Sun;Kim, Dae-Kyo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7-187
    • /
    • 1996
  • 세포질에 존재하는 100 kDa Phospholipase $A_2$(cPLA$_2$)는 인지질의 sn-2 위치의 에스테르결합을 가수분해함으로서 Prostaglandin과 Leukotriene등 Eicosanoids 생합성의 전구체인 아라키돈산과 Platelet activating factor(PAF)를 생합성하는 전구체를 동시에 생성시키는 효소로 염증과 세포손상등에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효소의 활성화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불명확한 점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세포를 자극하였을 때 유리되는 아라키돈산의 증가율과 세포를 파괴한 후 조제한 가용성분획에서 측정한 활성의 증가율과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부터 cPLA$_2$ 효소 자체를 활성화시키는 어떤 인자를 가정하였다. 최근, PLA$_2$의 또다른 형태인 14 kDa의 분비성 PLA$_2$의 in vitro 활성을 증가시키는 인자가 동정되어 그 생화학적 특성이 규명되고 있으나 이 인자는 cPLA$_2$의 활성에는 아무런 증가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자들은 소의 뇌조직에서 cPLA$_2$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인자를 발견하고 그의 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였다. 돼지 비장에서 정제한 cPLA$_2$를 사용하였으며 소의 뇌 조직의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본 활성화 인자를 동정하였으며 그 활성분획을 양이온 크로마토그라피로서 Mono S EPLC와 Superose 12 Sepharose gel filtration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더욱 분리한 결과 약 70 kDa과 25 kDa에서 각각 용출되었다. 이렇게 부분정제한 활성은 췌장에서 분리한 group I과 흰주의 group I과 흰주의 혈소판에서 분리한 group II PLA$_2$에 대해서는 아무런 증가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cPLA$_2$의 활성만을 약 5배 증가시켰다. 본 활성은 cPLA$_2$ 효소량의 증가에 따라 활성의 증가효과가 정차 감소하므로 화학량적인 반응(Stoichiometric reaction)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Lemongrass Oil-Containing Polylactic Acid Films to the Packaging of Pork Sausages

  • Yang, Hyun-Ju;Song, Kyung B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1-426
    • /
    • 2016
  • Polylactic acid (PLA) is a biodegradable and renewable polymer, which represents a valuable alternative to plastic packaging films, often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suitability of PLA as a biodegradable packaging film and assess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emongrass oil (LO), incorporated into the PLA film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o obtain the optimal physical properties for PLA film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t break,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were measured under different preparati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O contained in the PLA film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was investigated by disc diffusion and viable cell count. Among all concentrations tested, 2% LO was the most suitable in terms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LA film. Based on these results, we used the PLA film containing 2% LO to pack pork sausages; after 12 d of storage at 4℃, the population of inoculated L. monocytogenes in the sausage samples wrapped with the PLA film containing 2% LO was reduced by 1.47 Log CFU/g compared with the control samples. Our data indicate that PLA films containing 2% LO represent a valuable means for antimicrobial sausage packaging.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형태학 및 기계적 특성 연구 (A Study 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 Nanocomposites)

  • 장상희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401-409
    • /
    • 2013
  • 폐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증가로 생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 L-락타이드(polylactic acid, PLA)와 폴리 L-락타이드(polylactic acid, PLA)/폴리 부틸렌 숙신산(polybutylene succinate, PBS)(90/10)수지를 기지재료로 하고 유기 크로사이트(cloisite ) 20을 나노 클레이(clay) 20으로 사용하여 이축압출기에서 Clay-20 함량별 로 압출시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사출성형기로 사출성형시편을 제조하여 나노복합체의 열적, 기계적, 형태학적 및 라만 분광학 특성을 시차열량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인장시험기,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copy, SEM), 라만-현미경 분광광도계로 조사하였고, 또한 가수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차열량분석기와 주사전자현미경 시험 결과에서 PLA/Clay-20과 PLA/PBS/Clay-20 나노복합체의 결정화도가 Clay-2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Clay-20과 PLA 및 PLA/PBS 수지가 서로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lay-2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두 나노복합체의 인장강도는 감소하지만 신도, 충격강도, 인장탄성률 및 굴곡탄성률이 증가하였다. 특히 Clay-20이 5 wt% 첨가된 PLA/Clay-20과 PLA/PBS/Clay-20 나노복합체의 충격강도는 순수 PLA와 PLA/PBS (90/10) 보다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Clay-20 3 wt% 첨가된 PLA/Clay-20 나노복합체의 가수분해속도는 순수 PLA 가수분해속도보다 두 배 정도 빨랐다. 이는 유기화 처리된 Clay-20 나노입자 표면의 친수성으로 계면에서 가수분해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적당량의 Clay-20 첨가로 PLA의 기계적특성 개선과 생분해 특성 조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2))

  • 이수;박명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polylactic acid)의 기계적 열적 물성 향상을 위해 목재에서 얻은 펄프분말을 블랜딩하여 펄프분말의 함량에 따른 PLA/펄프 복합필름의 기계적, 열적 물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 복합필름에 가교제로 TDI(toluene diisocyanate)를 첨가하여 복합필름의 물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수한 PLA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가 $565.25kg_f/cm^2$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펄프분말의 함량이 0.25 wt% 일 때의 인장강도가 $624.20kg_f/cm^2$로 약 9.1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신율의 경우 전 복합필름이 순수 PLA 필름에 비해 약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교제로 TDI를 첨가한 PLA/펄프분말의 경우도 TDI의 함량에 관계없이 0.25 wt%의 펄프분말만을 첨가한 복합필름에 비해 연신율이 낮았으며, 인장강도의 경우 500% TDI를 첨가한 경우 $640.43kg_f/cm^2$로 증가하였다. 또한, PLA/펄프 복합필름에서 TDI를 가교시킨 PLA/펄프 복합필름은 가교시키지 않은 PLA/펄프 복합필름에 비해 $300^{\circ}C$ 이하에서의 열적 안정성은 우레탄기의 형성에 의해 TDI의 함량이 높은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 및 지오폴리머 내의 PLA 섬유의 용해성 평가 (Evaluation of PLA Fiber Dissolution in Cement Paste and Geopolymer)

  • 김주형;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04-211
    • /
    • 2020
  • PLA(Poly-Lactic Acid)섬유는 친환경소재이며 자연분해가 되므로 건설재료에 사용할 경우 내부 공극연결구조를 가진 다공성 재료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PLA 섬유(직경 0.5mm, 1.0mm, 길이 10mm)를 대상으로 강알칼리와 고온에서의 용해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FA기반 지오폴리머에 활용하였다. 고온양생과 강알칼리 용액을 통하여 강도는 확보하였으나, 완전한 PLA 섬유의 용해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기존의 연구인 0.003mm의 직경에서는 완전히 용해하였으나 0.5mm는 약 42.5%, 1.0mm는 약 33.3%의 용해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섬유의 체적이 커짐에 따라 양생시 부유하는 섬유가 발생하여 작업성과 용해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PLA 특성은 생산하는 원재료와 생산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다공성 건설 자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0.1mm 내외의 PLA 섬유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Biodegradable PLA-based Biocomposites with Spent Coffee Grounds as Degradation Accelerator: Hydrolytic Degradation and Characterization Research

  • Kim, Youngsan;Lim, Daekyu;Kwon, Sangwoo;Jang, Hyunho;Park, Su-il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9-95
    • /
    • 2022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pent coffee grounds (SCG) biofiller on the morphological, thermal, mechanical and hydrolytic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oly(lactic acid) (PLA) based biocomposites. The PLA-based biocomposite films were fabricated by using a high-viscosity kneading and hot-pressing machine. The PLA/SCG biocomposites were analyzed with SEM, DSC, TGA, UTM and hydrolytic degradation test. Aggregation in the PLA matrix is a result of increasing SCG concentrations. In the thermal properties, it was described that the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c) decreased as SCG was added to PLA. When SCG was incorporated to PLA, the degradation onset temperature (Tonset) revealed a diminish. The elastic modulus increased while tensile strength of PLA diminished as SCG was applied. Through hydrolysis analysis, the decomposition of PLA was accelerated with the addition of SCG. This research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devloping an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with high degradability as SCG hasten the breakdown of 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