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3초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OLIPASE $A_2$ IN OAT CELLS

  • Min, Youn-Mi;Choi, Eui-Chang;Chae, Quae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2권1호
    • /
    • pp.1-5
    • /
    • 1995
  • The activity of phospholipase A$_2$ (PLA$_2$)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from cytosolic and membrane fractions of oat cells, respectively. PLA$_2$ activity was determined fluorometrically in the presence of serum albumin using phospholipids labeled at sn-2-acyl position with 10-pyrenyldecanoic acid. When the cell-free extracts of oat tissues were fractionated by ultracentrifugation at 100,000 x g and the PLA$_2$ activity was assayed, we found that most of the PLA$_2$ activity was revealed from the cytoplasmic fraction rather than from the membrane fraction. The activity of cytosolic PLA$_2$ was dependent on Ca$^{2+}$ concentration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a$^{2+}$ was found to be 100 $\mu$M. It was also found that PLA$_2$ could be translocated toward the membrane site from the cytosol upon increasing Ca$^{2+}$ concentration.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an increased [Ca$^{2+}$]$_i$ by phytochrome action could promote the translocation of the cytosolic PLA$_2$ toward the membrane site.

  • PDF

Systematic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PLA)/liquid polybutadiene rubber (LPB) reactive blends

  • Lim, Sung-Wook;Choi, Myeon-Cheon;Jeong, Jae-Hoon;Park, Eun-Young;Ha, Chang-Sik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49-162
    • /
    • 2018
  • Following our previous work, we have conducted further systematic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ctive blending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s of poly(lactic acid) (PLA) and a liquid rubber, polybutadiene (LPB). The toughened PLAs were prepared by melt-blending the PLA with various contents (0-9 wt.%) of the LPB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dicumyl peroxide (DCP), a radical initiator. It was found that the rubber domains were homogeneously dispersed at the nanoscale in the PLA matrix up to 9 wt.% of LPB thanks to the reactive blending in the presence of DCP. Owing to the compatibilization of PLA with LPB through reactive blending, the elongation and toughness of PLA was enhanced, while the hydrolytic degradation of PLA was reduced.

Role and Action Mechanism of Secretory phospholipase $A_2$ in Macrophage Activation

  • Baek, Suk-Hwa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179-180
    • /
    • 2002
  • The phospholipase $A_2$($PLA_2$) family represents a diverse group of enzymes that hydrolyze sn-2 fatty acid from the cell membrane. Several mammalian cytosolic $PLA_2$ and secretory $PLA_2$(s$PLA_2$) have been characterized and classified into different families. At present, 12 distinct sPLA$_2$s have been identified in mammals and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depending on their primary structures as characterized by the number and position of cysteine residues. (omitted)

  • PDF

NNNMU로 유도된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흰쥐 폐장에서의 dexamethasone에 의한 $PLA_2$, GGT의 활성도 및 형태학적인 변화 (Effects of high dose of dexamethasone on $PLA_2$, GGT activity and lung morphology in NNNMU-induced ARDS rats)

  • 이영만;박윤엽;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25-935
    • /
    • 1996
  • 연구목적: ARDS 발병기전의 일단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에서 ARDS와 같은 병변을 유도하는 N-nitroso-N-methylurethane(NNNMU)로 흰쥐에서 급성 폐손상을 유도하였다. ARDS에서의 제 II형 폐포세포의 기능 및 형태학적인 변화가 폐포강 내로의 단백질 이동과 관계 있다고 생각되므로 surfactant를 정량하고 동시에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GG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백혈구와 연관된 free radical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phospholipase $A_2$ ($PLA_2$)의 활성도도 측정하였다. 이때 $PLA_2$의 inhibitor인 dexamethasone을 이용하여 $PLA_2$가 ARDS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방법: NNNMU에 의해 나타나는 폐부종의 확인을 위해 체중에 대한 폐장의 무게의 비를 계산하였고, 제 II형 폐포세포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surfactant의 양 및 GG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염증세포의 침윤 및 제 II형 폐포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으며 $PLA_2$의 활성도도 측정 하였다. 또한 이 모든 실험을 dexamethasone을 투여한 군에서도 시행하여 $PLA_2$의 억제로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NNNMU로 유도된 ARDS와 유사한 급성폐손상시 dexarnethasone은 폐부종을 감소시키고 GGT 및 $PLA_2$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 형태학적으로는 염증세포 침윤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병리학적인 소견도 호전시켰다. 결론: ARDS의 병인 중 $PLA_2$의 활성화가 염증세포의 침윤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resprratory burst에 의한 free radical의 생성과 그 작용이 급성 폐손상의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된다. 특히 $PLA_2$는 백혈구 세포막의 NADPH oxidase의 활성화에 따른 free radical의 생성뿐만 아니라 lipid medialor의 생성에도 관여하여 폐부종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과량의 dexamethasone 은 $PLA_2$를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3D 프린터를 이용한 바륨혼합형 차폐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arium Mixed Radiation Shield using 3D Printer)

  • 강헌효;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27-634
    • /
    • 2020
  • 본 연구는 기존의 납을 대신해 친환경 물질인 황산바륨과 3D 프린터 소재인 PLA 필라멘트를 혼합하여 형태학적 구현을 위한 차폐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환경 물질인 황산바륨 분말 가루와 3D프린터 소재인 PLA 필라멘트를 사용하였으며, 황산바륨 분말 가루와 PLA를 혼합하기 위하여 압출기로 융합 후 3D 프린터로 차폐체를 제작하였다. 황산바륨 파우더 분말 가루와 PLA 필라멘트 혼합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입도를 분석하였으며, 혼합된 차폐체의 차폐능을 확인하기 위해 황산바륨 함유량에 따른 두께별 흡수선량을 구하여 선량을 평가한 후 차폐능을 분석했다.황산바륨 분말 입자와 PLA 필라멘트 혼합 입도 평가 시 외관상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사진에서 함유량이 30%일 때 가장 적정비율로 혼합된 것을 확인하였다. 황산바륨 함유량에 따른 두께별 흡수선량 결과에서 함유량이 0%일 때와 각 % 별 함유량을 비교했을 때 두께 0.5 cm에서 흡수선량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바륨함유량이 30%일 때 두께 3 cm에서 가장 낮은 선량값을 나타냈다. 또한 바륨함유량이 30%를 기점으로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흡수 선량값은 다시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기존의 납 대신 친환경 물질인 황산바륨을 필라멘트 소재인 PLA와 혼합하여 형태학적인 차폐체를 만들 수 있었다. 혼합물에 대한 바륨의 혼합비율은 30%가 가장 적절하며, 본 연구를 토대로 진단 방사선 분야 내 3D 프린터를 이용한 형태학적 차폐체 구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yogenic Liver Abscess as a Warning Sign for Primary Liver Cancer: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 Huang, Wen-Kuan;Lin, Yung-Chang;Chiou, Meng-Jiun;Yang, Tsai-Sheng;Chang, John Wen-Cheng;Yu, Kuang-Hui;Kuo, Chang-Fu;See, Lai-C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727-4731
    • /
    • 2013
  • Background: There have been no large-scale population-based studies to estimate the subsequent risk of primary liver cancer (PLC) among patients with pyogenic liver abscess (PLA). This study aimed to provide relevant data. Materials and Methods: The Taiwan Longitudi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for the years 2000 and 2005 was used. The PLA group were adult in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PLA from 2000 to 2008. The control group was randomly selected and matched with the PLA group in terms of age, sex, and date in which medical treatment was sought other than for PLA. Results: There were 1,987 patients each in the PLA and control groups. In total, 56 had PLC, 48 (2.4%, 601.5 per 100,000 person-years) from the PLA group, and 8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variates, the hazard ratio of PLC for the PLA group was 3.4 times that of the control group (95% confidence interval = 1.6-7.3, p <0.001). The PLC risk for the PL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in the first year after PLA diagnosis (hazard ratio: 35.4)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became insignificant (hazard ratio: 2.0, 95% confidence interval = 0.8-4.9) more than one year after PLA diagnosis. Conclusions: Patients with PLA have a higher rate of PLC than matched controls, especially within the first year after the diagnosis of PLA, suggesting PLA is a warning sign for PLC.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2))

  • 이수;박명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polylactic acid)의 기계적 열적 물성 향상을 위해 목재에서 얻은 펄프분말을 블랜딩하여 펄프분말의 함량에 따른 PLA/펄프 복합필름의 기계적, 열적 물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 복합필름에 가교제로 TDI(toluene diisocyanate)를 첨가하여 복합필름의 물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수한 PLA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가 $565.25kg_f/cm^2$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펄프분말의 함량이 0.25 wt% 일 때의 인장강도가 $624.20kg_f/cm^2$로 약 9.1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신율의 경우 전 복합필름이 순수 PLA 필름에 비해 약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교제로 TDI를 첨가한 PLA/펄프분말의 경우도 TDI의 함량에 관계없이 0.25 wt%의 펄프분말만을 첨가한 복합필름에 비해 연신율이 낮았으며, 인장강도의 경우 500% TDI를 첨가한 경우 $640.43kg_f/cm^2$로 증가하였다. 또한, PLA/펄프 복합필름에서 TDI를 가교시킨 PLA/펄프 복합필름은 가교시키지 않은 PLA/펄프 복합필름에 비해 $300^{\circ}C$ 이하에서의 열적 안정성은 우레탄기의 형성에 의해 TDI의 함량이 높은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소성 처리된 굴 패각을 활용한 PLA/PBAT 복합필름의 항균 포장재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PLA/PBAT Composite Films Containing Calcined Oyster Shell Powder for Antimicrobial Packaging)

  • 오예나;박기태;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9-86
    • /
    • 2023
  • 최근 플라스틱 포장 폐기물 및 굴 패각이 야기하는 환경문제와 장기간 식품의 품질 보존을 위한 액티브 패키징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PLA/PBAT 복합필름에 OSP의 함량을 서로 달리하여 이축 압출기로 PLA/PBAT-OSP 복합필름을 제조하였고 항균 포장재로써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화학적 특성, 표면 특성, 열적 특성, 기계적 특성 및 항균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PLA/PBAT-OSP 복합필름의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OSP의 물리적 분산을 확인하였으며, OSP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OSP 5%, OSP 10% 필름에서는 99% 이상의 항균성을 나타내어 제조된 필름이 우수한 항균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OSP의 함량의 증가는 PLA/PBAT-OSP 매트릭스 내의 OSP 응집을 일으켜 기계적 물성의 저하 및 표면의 거칠기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는 필름의 표면 에너지 증가로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PLA/PBAT-OSP 복합필름은 미생물로 인한 식품의 부패를 막기 위한 포장재로 적용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 OSP의 분산성과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