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1초

플렉시블 무선통신소자 응용을 위한 PES 박막상의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에 대한 RF 특성연구 (A study on RF characteristics of fishbone-type transmission line on PES substrate for application to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윤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소형화된 투명 플렉시블 무선통신소자 구현을 위해, 주기적 구조를 가지는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를 PES (polyether sulfone) 박막상에 제작하였으며, 이에 관한 RF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PES 박막상에 제작된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종래의 코프레너선로에 비해 단파장특성을 보여주었으며, 구체적으로 50 GHz에서 선로파장은 2.23 mm으로, 종래의 코프레너 선로의 56.6%이다. 삽입손실 측정결과에 의하면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50 GHz 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1.31 dB보다 낮은 저손실특성을 보여주었다. 대역폭 추출결과에 의하면, PES 박막상의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는 통과대역이 608 GHz인 광대역 특성을 보였다. PES 박막상의 fishbone 형태의 전송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기존의 주기적 구조와는 달리 매우 적은 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해 광대역의 전송선로 및 광대역 분포형 수동소자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RF Transmission Line Structures on PES Substrate for Application to Flexible MMIC

  • Yun, Young;Kim, Hong Seung;Jang, Nakwon
    • ETRI Journal
    • /
    • 제36권1호
    • /
    • pp.106-115
    • /
    • 2014
  • In this work, the coplanar waveguide is fabricated on a PES (poly[ether sulfone]) substrate for application to a flexible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and its RF characteristic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The quality factor of the coplanar waveguide on PES is 40.3 at a resonance frequency of 46.7 GHz. A fishbone-type transmission line (FTTL) structure is also fabricated on the PES substrate, and its RF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The wavelength of the FTTL on PES is 5.11 mm at 20 GHz, which is 55% of the conventional coplanar waveguide on PES. Using the FTTL, an impedance transformer is fabricated on PES. The size of the impedance transformer is $0.318mm{\times}0.318mm$, which is 69.2% of the size of the transformer fabricated by the conventional coplanar waveguide on PES. The impedance transformer showed return loss values better than -12.9 dB from 5 GHz to 50 GHz and an insertion loss better than -1.13 dB in the same frequency range.

HIGH-TPI HDD 구현을 위한 PES ESTIMA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S Estimation for Developing High-TPI HDD)

  • 고정석;강성우;한윤식;김영훈;황태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2-127
    • /
    • 2002
  • A frequency-domain PES estimation and its prediction method are proposed for the tightly-coupled servo/mechanical design of high-TPI HDD system above 100 kTPI. The major two disturbance energies which are related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side of HDD are used to predict the drive-level PES, while considering closed-loop servo dynamics. One is the torque disturbance which mainly comes from aerodynamic excitation of HSA system and the other is the displacement disturbance from disk-spindle dynamics. In order to obtain the accurate error transfer function of closed-loop servo control, the plant model is measured by accurate experiment. The measured PES is compared with predicted one in terms of frequency-domain PES spectrum and its standard variation value. It is proved that the proposed frequency-domain PES estimation/prediction method is capable of predicting drive-level PES of high-TPI hard disk drive.

  • PDF

초등학교 5학년 어린이의 족부 건강에 대한 조사 연구 (The survey on foot health of a primary school child)

  • 임호용;임진택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4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static foot pressure distribution of children between forefoot and rearfoot, and the percentage of static pressure were measured from 1256 normal children in a primary school by the TPScan(Triple Pod Scan) systemCommercial system). The measurement were performed while standing with their comfortable state using the TPScan system. The static pressure distribution between forefoot and rearfoot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s cavus and Pes planus of students was 4.936%. 2. The Pes cavus were 42 children(3.343%) and Pes planus was 20 children(1.592%). 3. The Pes planus were seen in 42 of 1256 children with Grade I in 11 feet (26.2%), Grade II in 24(57.1%), Grade III in 6(57.1%), Grade IV in zero. 4. Pes planus and Pes cav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oot pressure between forefoot and rearfoot(P<0.05). The future study needs detailed research and comparison with various variance between theses before and after correction.

  • PDF

폴리에테르술폰 정밀여과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ethersulfone Microfiltration Membranes)

  • 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17권4호
    • /
    • pp.329-33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p-toluenesulfonic acid (TSA)와 polyvinylpyrrolidone (PVP)를 함유한 polyethersulfone (PES)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PES 멤브레인 내에 최소 공경을 갖는 내부 분리층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팽윤제로 사용된 PVP와 응고제로 사용된 TSA를 함유한 평막형 PES 멤브레인의 제조 및 구조적인 특성 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상업용 막에 대등할 만한 투과 성능과 좁은 pore size distribution을 가지는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VP의 첨가는 멤브레인의 단면구조와 투과 성능에, TSA는 투과 성능보다는 pore size distribution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FE-SEM 결과와 TSA를 첨가한 멤브레인의 단면 사진에서 내부 최소 기공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 조사에 의한 아민화 Poly(ethersulfone) 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minated Poly(ethersulfone) Ion-Exchange Membrane by UV Irradiation Method)

  • 최국종;황의환;이영우;황택성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70-76
    • /
    • 2008
  • UV 조사방법으로 poly(ethersulfone) PES 막에 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BTCA)를 그래프트 공중합하고, 이를 아민화시켜 PES 음이온교환막을 합성하였으며, 이들의 구조 및 특성을 확인하였다. PES 음이온교환막의 그래프트율과 아민화율은 반응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80분에서 최대 134%, 1.20 mmol/g이었다. PES 음이온교환막의 초기 열분해온도는 $400^{\circ}C$로 표면개질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PES 음이온교환막의 접촉각은 아민화율이 증가함에 따라 $68.1^{\circ}{\sim}40.2^{\circ}$로 감소하였으며,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은 UV 조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80분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막의 평균 기공의 크기와 비표면적은 PES 막, PES-g-BTCA 공중합체막, PES 음이온교환막의 순이었으며, 평균기공 크기값은 624.8, 359.7, 138.5 ${\AA}$, 비표면적은 10.1, 9.7, 1.7 $m^2/g$이었다.

최소 기공층 구조가 PES계 정밀여과막 투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ucture of the Smallest Poresize Layer on the Permeability of PES Microfiltration Membranes)

  • 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19권1호
    • /
    • pp.25-33
    • /
    • 2009
  • PES/DMF/TSA/PVP 고분자용액을 물에 침지시 시키는 상전이 공정을 통하여 비대칭성이 향상된 PES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PES (polyethersulfone) 용액에 응고제 (p-toluenesulfonic acid, TSA)와 습윤제 고분자 (polyvinylpyrrolidone, PVP)의 첨가와 습윤 상태에 노출 시간으로 일어나는 멤브레인 표면의 pre-coagulation 현상은 멤브레인의 구조적 특성과 투과량 특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ES 용액은 폴리에스터 필름에 코팅된 후 약 $72{\sim}144$초 동안 80%의 습도하에서 공기에 노출된 후 응고조에 침지되었다. Capillary flow porometer, FE-SEM과 수투과 평가장치를 통하여 멤브레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TSA 20 wt%와 PVP 10 wt%가 첨가된 11 wt%의 PES 용액에서 멤브레인 구조의 비대칭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최소 기공충의 두께도 얇아짐을 볼 수 있었다. 그 결과로 수투과량에 큰 증가를 가져옴을 볼 수 있었다.

페즈(PES)를 이용한 하천의 토사 이동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Sediment Transport in a River System Using Particle Entrainment Simulator)

  • Lee, Young-Soo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4
    • /
    • 2004
  • A feasibility of using Particle Entrainment Simulator (PES) to evaluate model variables describing sediment entrainment in a river system was investigated. PES in a laboratory was utiliz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suspension phenomenon in the river and the subsequent relationship between shear rate and sediment entrainment was developed. The total suspended solids (TSS) data from PES was incorporated into statistical models in an effort to describe behaviors of net particle movement in the river. PES was found to be adequate for simulating particle entrainment phenomenon in a river system.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ssess propriety of PES data for predictive purposes. The results showed good relationships between PES results and system variables, such as average stream velocity and net particle movement.

편평족의 환자 맞춤형 인솔 보조기가 양발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tient-customized Insole on Both Feet Velocity in Pes Planus)

  • 민경기;박광용;박승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9-25
    • /
    • 2009
  • 편평족은 발의 족궁이 무너지거나 지면에 닿는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 맞춤형 인솔 보조기의 착용 전과 후가 편평족 환자의 양발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편평족 환자의 양발의 속도변화를 향후 편평족의 재활을 평가하기 위한 인자로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13명의 편평족 환자의 인솔 착용 전과 후에 대하여 보행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 양발의 평균속도 추이는 왼발이 2.96%, 오른발이 1.09%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 맞춤형 인솔이 편평족의 양발속도에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양발속도를 편평족의 재활을 평가하기 위한 인자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폴리에테르설폰이 도입된 에폭시 복합재의 열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y and Thermal Stability of Epoxy Composites Containing Poly(ether sulfone))

  • 이시은;박미선;정의경;이만영;이민경;이영석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26-432
    • /
    • 2015
  • Poly(ether sulfone) (PES)가 첨가된 비스페놀-A 에폭시 복합재가 그 기계적 특성 및 열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제조되었다. 인장강도, 굽힘강도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PES 함량에 따라 의미있게 변화하였다. 특히 그 파괴인성 값은 약 24%의 정도 크게 향상되었다. 적분 열분해 진행온도를 통하여 계산된 PES/에폭시 복합재의 열 안정성은 PES 미첨가 에폭시와 비교하여 12%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DSC 분석 결과 PE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화온도와 경화열이 점점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에폭시 수지와 선형 PES가 가교구조(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semi-IPNs)를 형성하고 잘 분산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