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GF-BB$TGF-{bet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PDGF-BB에 의한 치주인대세포활성에 대한 TGF-{\beta}의 효과 (The Effect of TGF-{\beta}_1 on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ctivated by PDGF-BB)

  • 백상철;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57-473
    • /
    • 2002
  • 이 연구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과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를 농도별로 혼합 주입해서 세포의 증식능, 단백질 및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해 봄으로서 TGF-${\beta}_1$ 이 치주인대세포의 중식과 활성에 대한 PDGF-BB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은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 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률 분리, 배양하여 TGF-${\beta}_1$과 PDGF-BB를 동시에 주입한 군과 TGF-${\beta}_1$를 4, 24시간 전처리 배양한 군과 나누어 실험하였다. TGF-${\beta}_1$, PDGF-BB를 주입하지 않은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DNA 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DNA 합성능의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병용 투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5ng/ml TGF-${\beta}_1$과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TGF-${\beta}_1$ 4시간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 양군 공히 lng/ml PDGF-BB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전 처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 였으며 5ng/ml TGF-${\beta}_1$ 전 처리 후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총단백질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칠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총단백질 합성양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TGF-${\beta}_1$ 전처리 배양군이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111과 PDGF-BB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원성단백질의 합성능은 1, 10ng/ml PDGF-BB 단독투여군을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 비율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정향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그 정도는 TGF-${\beta}_1$의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비율은 TGF-${\beta}_1$ 4,24시간전처리 배양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주인대세포에서 TGF-${\beta}_1$은 PDGF-BB의 기능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두 성장인자 주입시 동시주입시보다 TGF-${\beta}_1$을 전처리 해 줌으로써 PDGF-BB의 반응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호의 사구체 메산지움 세포 증식억제 효능 및 작용기전 연구 (The Anti-Proliferation Effects and Its Mechanism of Bupleurum falcatum on Human Mesangial Cell)

  • 이병철;안영민;두호경;안세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17
    • /
    • 2004
  • Objective :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and excessiv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ins is the common pathologic feature of glomerulosclerosis,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BB-chain,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l $(TGF-{\beta}1)$, cyclin dependent kinases (CDK) and CDK inhibitors mediated in thes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Bupleurum falcatum which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mponent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s, has multiple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pyretic, analgesic, immune modulating,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ti-thrombotic, anti-atherosclerotic, and antitussive effects. Methods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Bupleurum falcatum on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DNA synthesis and expression of PDGF-BB chain, $TGF-{\beta}1$, CDKI, CDK2, CDK4, p21 and p27 in fetal bovine serum (FBS)-activated human mesangial cell. Results : Bupleurum falcatum reduced the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more than control and captopril. And in the ELISA analysis of $TGF-{\beta}1$, and RT-PCR of PDGF-BB chain, CDK1, CDK2, CDK4, p21, and p27, Bupleurum falcatum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GF-{\beta}1$ protein and PDGF-BB, CDK1, CDK2 gene and promoted that of p21 gen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mparing with control and captopri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pleurum falcatum may inhibit the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by regulation of PDGF-BB and $TGF-{\beta}1$ expressions, and by modulation of CDK1, CDK2 and p21 expression.

  • PDF

($IL-1{\beta}$), PDGF-BB 그리고 $TGF-{\beta}$가 사람 배양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PDLs17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leukin $1-{\beta}$,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on the expression of PDLs17 mRNA in the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임기정;한경윤;김병옥;임창엽;박주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787-801
    • /
    • 2001
  • The molecular mechanisms control the function of PDL(periodonta1 ligament) cells and/or fibroblasts remain unclear. PDLsl7, PDL-specific gene, had previousely identified the cDNA for a novel protein from cultured PDL fibroblasts using subtraction hybridization between gingival fibroblasts and PDL fibrobl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gulation by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on PDLsl7 gene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observe the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PDLsl7 protein in various tissues of mouse. Primary PDL fibroblasts isolated by scraping the root of the extracted human mandibular third molars.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human recombinant $IL-1{\beta}$, PDGF-BB and TGF\;${\beta}$ for 48h nd 2 weeks. At each time point total RNA was extracted and the levels of transcription ere assess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polyclonal antiserum raised against PDLsl7 peptides, CLSVSYNRSYQINE and SEAVHETDLHDGC, were made, and stained the tooth, periodontium, developing bone, bone marrow and mid-palatal suture of the mou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DLsl7 mRNA levels were increased in response to PDGF (10ng/ml) and $TGF\;{\beta}$(20ng/ml) after treatment of the $IL-1{\beta}$, PDGF-BB and $TGF{\beta}$for 48 h. 2. PDLsl7 was up-regulated only by $TGF{\beta}$(20 ng/ml) after treatment of the $IL-1{\beta}$, PDGF-BB and $TGF\;{\beta}$ for 2 weeks and unchanged by the other stimulants. 3. PDLsl7 was a novel protein coding the 142 amino acid peptides in the ORF an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obtained cDNA from RT-PCR was exactly same as the nucleotides of the database. 4.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PDLsl7 i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the PDL, differentiating osteoblast-like cells and stromal cells of the bone marrow in the adult mouse. 5. The expression of PDLsl7 protein was barely detectable in gingival fibroblasts, hematopoetic cells of the bone marrow and mature osteocytes of the alveolar b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DLsl7 might upregulated by PDGF-BB or $TGF{\beta}$ and acts at the initial stage of differentiation when the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in the bone marrow and PDL differentiate into multiple cell types. However, more research needs to be performe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act function of PDLsl7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and PDL cells.

  • PDF

Human Gingival Fibroblasts의 분화와 증식에서 CGFs의 생물학적 효과 (The Biological Effects of Concentrated Growth Factors on the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 박성일;배현숙;홍기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89-695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concentrated growth factors (CGF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vitro. Blood was collected from three male volunteers (average age 27 years). CGFs were prepared using standard protocols. The CGF exudates were collected at the following culture time points: 1, 7, 14, and 21 days. The levels o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BB (PDGF-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TGF-${\beta}1$) in CGFs were quantified. The CGF exudates were then used to culture human gingival fibroblasts. The biologic characteristics of these fibroblasts were analyzed in vitro for 21 days. Platelet-rich plasma released the highest amounts of TGF-${\beta}1$ and PDGF-BB on the first day. The level of TGF-${\beta}1$ had decreased slightly by day 7, although the difference compared to levels at day 1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by days 14 and 21, levels of TGF-${\beta}1$ had dropp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ay 1 levels. The levels of PDGF-BB at days 7, 14, and 21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measured on day 1. CGFs maintained the release of autologous growth factors for a reasonable period of time (7 days for TGF-${\beta}1$ and 21 days for PDGF-BB). Gingival fibroblasts treated with CGF exudates collected at day 14 reached peak viability and synthesized type I collagen. Furthermore, the CGF exudates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at days 1, 7, 14, and 2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with CGFs represents a promising method of enhancing mucosal healing following surgical procedures.

인간 폐섬유아세포에서 TGF-β 자극에 의한 VEGF 분비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promot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lease by human lung fibroblasts)

  • 박상욱;신주화;심재원;김덕수;정혜림;박문수;심정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8호
    • /
    • pp.879-885
    • /
    • 2008
  • 목 적 : 폐섬유아세포는 예전에는 기도의 구조적 세포로만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천식에서 기관지 운동의 톤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기도의 면역조절과 기도 개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VEGF는 혈관 내피세포에서 강력한 작용을 하는 다기능적 사이토카인으로서, 상피내 세포의 세포분열을 유도하고, 상피세포의 투과도를 증가시키며, 상피세포의 이동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RC는 Th2 세포의 선택적 이동을 유도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GF와 TGF-${\beta}$로 자극시킨 인간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와 TARC가 생성되는지와 dexamethasone이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의 분비를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폐섬유아세포와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함께 배양했을 때 VEGF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단독배양 시와 비교하였다. 방 법 : 폐섬유아세포와 인간 기관지 평활근세포를 각각 혹은 함께 배양한 뒤 48시간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성장을 정지시킨 후 TGF-${\beta}$ (10 ng/mL)와 PDGF (20 ng/mL)로 자극하였다. 자극 후의 세포 증식 반응과 배양액 상층액의 VEGF, TARC 농도를 측정하여 dexamethasone ($10^{-6}M$)으로 전처치 후 자극한 것과 비교하였다. 결 과 : PDGF와 TGF-${\beta}$로 자극하였을 경우 폐섬유아세포에서 VEGF 분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특히 PDGF와 TGF-${\beta}$로 함께 자극하였을 경우 더욱 의미있는 상승을 보였다. Dexamethasone은 폐섬유아세포의 VEGF 분비를 PDGF로 자극한 경우와 PDGF, TGF-${\beta}$ 같이 자극한 경우 모두에서 억제하였다. 인간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폐섬유아세포를 혼합 배양했을 때 VEGF 분비에는 상승적인 효과가 없었다. Dexamethasone은 폐섬유아세포 증식을 억제시키지 않았다. 폐섬유아세포를 PDGF와 TGF-${\beta}$로 자극했을 때 TARC는 분비되지 않았다. 결 론 : 폐섬유아세포는 VEGF 분비를 통해 기도 개형에 관여하며, 기관지 평활근 세포와 함께 배양해도 VEGF 분비에 상승 효과는 없다. Dexamethasone은 VEGF 분비를 억제하였으나 폐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Gynura procumbens on Human Mesangial Cell Proliferation

  • Lee, Hee-Jae;Lee, Byung-Cheol;Chung, Joo-Ho;Wiryowidagdo, Sumali;Chun, Wan-Joo;Kim, Sung-Soo;Kim, Hyun-Sook;Choe, Mye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4호
    • /
    • pp.145-148
    • /
    • 2007
  • Gynura procumbens (Lour.) Merr. has been used in some parts of Southeast Asia as a folk medicine to treat kidney diseases, diabetes mellitus, and hyperlipidemia.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prove the mechanisms of G. procumbens in the management of glomerular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 aqueous extract of G. procumbens on cell proliferation, DNA synthesis, and the expressions of $TGF-{\beta}1$, PDGF-BB, CDK1, CDK2, and CDK4 in fetal bovine serum-activated human mesangial cells (MCs). The G. procumbens extract inhibited proliferation, DNA synthesis, expressions of PDGF-BB, CDK1, and CDK2 mRNA, and expression of $TGF-{\beta}1$ protein in MCs. The inhibitory effect of G. procumbens on MC proliferation may be mediated by suppression of PDGF-BB and $TGF-{\beta}1$ expressions and the modulation of CDK1 and CDK2 expression. Therefore, G. procumbens shows promise as an adjunct therapy in preventing progressive renal diseases.

실험적 치아이동시 glycosaminoglycan의 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Glycosaminoglycans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of Rat and in Cultur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이경환;이종진;강경화;김은철;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7-458
    • /
    • 2001
  • 치아이동시 골대사에 있어 glycosaminoglycan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glycosaminoglycan의 주요 구성 성분인 chondroitin 4-sulfate(CH-4S)의 치주조직 내에서의 면역반응 정도 및 분포 양상을 백서 치아의 실험적 이동 과정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사람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하여 여러 종류의 cytokine을 투여한 후 CH-4S의 발현 양상의 변화를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확인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이동에 반응하는 치수, 치주인대, 골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 부위에서의 CH-4S 발현이 대조군보다 많았으나 상아질, 백악질에서의 CH-4S의 발현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2. 치수에서 CH-4S의 발현은 교정력을 가한 1일째에 크게 증가하였다가 7일째부터 감소되었으며 14일째에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3. 치주인대에서 CH-4S의 발현은 주로 치조골 면을 따라 견인측에서 나타났는데 교정력을 가한 1일째에 가장 많은 발현을 보인 후 4일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4. 골모세포와 파골세포 및 골세포에서 CH-4S의 발현은 4일째에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고 7일째 이후에는 크게 감소하였다. 3. 치주인대세포에 PDGF-BB를 투여한 경우 3일째에 가장 많은 CH-4S의 발현을 보였다. 6. 치주인대세포에 $TNF-\alpha$ 처리 시 배양 1일째에 CH-4S의 발현 감소를 보였다. 7. 치주인대세포에 PDGF-BB와 $TGF-\beta$를 혼합 투여 한 경우가 PDGF-BB 및 $TGF-\beta$를 단독 투여한 경우 보다 배양3일째에 CH-4S의 발현이 많았고 LPS나 $TNF-\alpha$ 투여군은 유사한 발현 감소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교정적 치아이동시 시기 및 부위에 따라 glycosaminoglycan의 발현이 차이를 보이며, 치주인대세포에서도 cytokine의 자극에 따라 glycosaminoglycan의 발현이 변화하는 것으로 보아, glycosaminoglycan이 골대사에 있어 중요한 조절 인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혈소판 농축혈장이 조골세포의 초기부착과 증식 및 활성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Biological Effect of Platelet Rich Plasma on the Initial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Cellular Activity of Osteoblast)

  • 박상일;임성빈;김정근;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513-529
    • /
    • 2001
  • For reconstruction of the bony defect, various artificial substitutes were developed. Among them, there has been a study of calcium phosphate coated bone substitutes for increasing attachment of osteoblasts in viv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rum and platelet-rich plasma (PRP) on calcium phosphate coated culture plate for the initial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s. After sampling the blood from white rats and concentrating by centrifugation, the amount of attachment of PDGF-BB and $TGF-{\beta}$ on the calcium phosphate coated culture plate was measured. Cultured HOS and ROS 17/2.8 cell was measured on attachment level and proliferation rate of osteoblast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HOS and ROS 17/2.8 cell was measured for studying on the activating rate of osteoblast. 1. Counting the amount of platelets of seperated plasma and PRP, the average number of platelets was 177,003 $cell/{\mu}l$ in plasma, and 1,656,062 $cell/{\mu}l$ in PRP, which was about 9 times as high as in plasma. 2. Amount of PDGF-BB deposited at calcium phosphate coated plate had increased by the total amount of plasma and PRP on the culture plate, whereas $TGF-{\beta}$had been deposited on the plate only when treated by $50{\mu}{\ell}$ of PRP(p<0.01). 3. After plating serum and PRP for 3 hours, we attached with HOS and ROS17/2.8 cell for 1 hour and 4 hou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ttachment between serum and control group,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of the attachment between depositioning of PRP and control group. 4. After attaching plasma and PRP for 3 hours, cell number has much increased when HOS and ROS17/2.8 cell had been cultured for 48 hours(p<0.05). 5. After attaching plasma and PRP for 3 hours, concentration of alkaline-phosphatase has increased when HOS and ROS17/2.8 cell had been cultured for 48 hours(p<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P affected on initial cell attachment rather than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of osteoblasts at calcium phosphate coated plate.

  • PDF

혈소판 농축 섬유소가 골모세포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telet-Rich Fibrin on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Effects of Platelet-Rich Fibrin on Osteoblasts)

  • 정해수;배현숙;홍기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8-164
    • /
    • 2013
  • 임플란트 식립 시 가장 빈번하게 맞게 되는 문제점으로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서의 불충분한 골량과 해부학적 구조에 의한 접근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장 인자들은 치유 과정이나 조직 형성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필수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골 이식 재료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성장 인자들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혈소판 내 granules에는 높은 농도의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platelet-rich fibrin (PRF)는 2세대 혈소판 농축 인자로 항응고제가 들어있지 않은 상태로 얻을 수가 있고, 혈소판과 많은 성장 인자들이 풍부한 섬유소 막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in vitro 상에서 골아 세포에 대한 PR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치유와 재생에 연관된 주요 기능으로써 증식과 분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PRF 내에서 방출되는 성장 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subunit B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의 농도, 세포의 생존능력,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type 1 collagen 합성, 골아 세포의 분화 지표로써 ALP와 Runx2의 발현 정도와 골 기질 단백질로써 type 1 collagen의 발현 정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PRF는 치유 시 필요한 타당한 기간 동안에 충분히 자가 성장 인자의 방출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골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대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였다. 제한적인 실험이지만, 골재생을 위한 PRF의 사용은 골 치유와 골 개조에 있어서 증진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촉망되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