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1/PD-L1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3초

An engineered PD-1-based and MMP-2/9-oriented fusion protein exerts potent antitumor effects against melanoma

  • Wei, Mulan;Liu, Xujie;Cao, Chunyu;Yang, Jianlin;Lv, Yafeng;Huang, Jiaojiao;Wang, Yanlin;Qin, Ye
    • BMB Reports
    • /
    • 제51권11호
    • /
    • pp.572-577
    • /
    • 2018
  •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PD-1/PD-L1 checkpoint blockade is a dramatic therapy for melanoma by enhancing antitumor immune activity. Currently, major strategies for the PD-1/PD-L1 blockade have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antibodies and compounds. Seeking an alternative approach, others employ endogenous proteins as blocking agents. The extracellular domain of PD-1 (ePD1) includes the binding site with PD-L1. Accordingly, we constructed a PD-1-based recombinantly tailored fusion protein (dFv-ePD1) that consists of bivalent variable fragments (dFv) of an MMP-2/9-targeted antibody and ePD1. The melanoma-binding intensity and antitumor activity were also investigated. We found the intense and selective binding capability of the protein dFv-ePD1 to human melanoma specimens was confirmed by a tissue microarray. In addition, dFv-ePD1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mouse melanoma B16-F1 cells, and displayed cytotoxicity to cancer cells in vitro. Notably, dFv-ePD1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mouse melanoma B16-F1 tumor cells in mice and in vivo fluorescence imaging showed that dFv-ePD was gradually accumulated into the B16-F1 tumor. Also the B16-F1 tumor fluorescence intensity at the tumor site was stronger than that of dFv.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combinant protein dFv-ePD1 has an intensive melanoma-binding capability and exerts potent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melanoma. The novel format of the PD-L1-blocked agent may play an active role in antitumor immunotherapy.

Baseline Serum Interleukin-6 Levels Predict the Response of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o PD-1/PD-L1 Inhibitors

  • Da Hyun Kang;Cheol-Kyu Park;Chaeuk Chung;In-Jae Oh;Young-Chul Kim;Dongil Park;Jinhyun Kim;Gye Cheol Kwon;Insun Kwon;Pureum Sun;Eui-Cheol Shin;Jeong Eun Lee
    • IMMUNE NETWORK
    • /
    • 제20권3호
    • /
    • pp.27.1-27.11
    • /
    • 2020
  • Although various studies on predictive markers in the use of PD-1/PD-L1 inhibitors are in progress, only PD-L1 expression levels in tumor tissues are currently us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aseline serum levels of IL-6 can predict the treatment response of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reated with PD-1/PD-L1 inhibitors. In our cohort of 125 NSCLC patients, the objective response rate (ORR) and disease control rate (DC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low IL-6 (<13.1 pg/ml) than those with high IL-6 (ORR 33.9% vs. 11.1%, p=0.003; DCR 80.6% vs. 34.9%, p<0.001).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6.3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CI], 3.9-8.7) in the low IL-6 group,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high IL-6 group (1.9 months, 95% CI, 1.6-2.2, p<0.001). The median overall survival in the low IL-6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high IL-6 group (not reached vs. 7.4 months, 95% CI, 4.8-10.0). Thus, baseline serum IL-6 levels could be a potential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efficacy and survival benefit of PD-1/PD-L1 inhibitors in NSCLC.

편평세포폐암에서 CT 영상 소견을 이용한 PD-L1 발현 예측 (Predictions of PD-L1 Expression Based on CT Imaging Features in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 여성희;윤현정;김인중;김여진;이영;차윤기;박소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94-408
    • /
    • 2024
  • 목적 CT 영상 소견을 이용하여 편평세포폐암에서 programmed death ligand 1 (이하 PD-L1)의 발현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PD-L1 발현검사 결과를 포함하고 있는 97명의 편평세포폐암 환자를 포함하였고 종양 치료 전 시행한 CT 영상 소견을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군과 40명의 진행성(≥ stage IIIB) 병기 환자군에 대하여 PD-L1 발현 예측을 위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모델 구축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환자군에 대하여 곡선 아래 면적(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이하 AUCs)을 분석하여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군에서 '전체 유의인자 모델'(종양병기, 종양크기, 흉막결절, 폐전이)의 AUC 값은 0.652이며, '선택 유의인자 모델'(흉막결절)은 0.556이었다. 진행성 병기 환자군에서 '선택 유의인자 모델'(종양크기, 흉막결절, 폐소수전이, 간질성폐렴의 부재)의 AUC 값은 0.897이었다. 이러한 인자들 중 흉막결절과 폐소수전이는 높은 오즈비를 보였다(각각, 8.78과 16.35). 결론 본 연구에서의 모델은 편평세포폐암의 PD-L1 발현예측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흉막결절과 폐소수전이는 PD-L1 발현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CT 예측인자였다.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Atomic Charge Variations of Pd(II) Complexes [Pd(L)Cl2] with an Axial (Pd·O) Interaction

  • Park, Jong-Keun;Cho, Yong-Guk;Lee, Shim-Sung;Kim, Bo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1호
    • /
    • pp.85-89
    • /
    • 2004
  • Geometrical structures of [Pd(L)$Cl_2$] with oxathia macrocycles have been calculated using ab initio secondorder Moller-Plesset (MP2)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methods with triple zeta plus polarization (TZP) basis set level. In optimized Pd(L)$Cl_2$ complexes, Pd(II) locates at the center surrounded by a square planar array of two sulfurs on an oxathia macrocycle and two chlorides. The endo-Pd(II) complexes with an axial (Pd${\cdots}$O) interaction are more stable than the exo-Pd(II) complexes without the interaction. In the endo-Pd(II) complexes, the atomic charge of the oxygen atom moves to Pd(II) via the axial ($Pd{\cdots}$O) interaction and then, the charge transfer from Pd(II) to the S-atoms occurs stepwise via ${\pi}$-acceptors of the empty d-orbitals.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을 이용한 생물학적 1,3-propanediol 생산 (Biological production of 1,3-propanediol using crude glycerol derived from biodiesel process)

  • 전선애;강철희;공성욱;상병인;엄영순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413-4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통성 혐기성 세균인 K. pneumoniae DSM2026 K. pneumoniae DSM4799를 이용하여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발생된 폐글리세롤로부터 1,3-PD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폐글리세롤은 전처리 없이 이용하여 폐글리세롤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회분식 발효에서 폐글리세롤을 사용한 경우 순수 글리세롤에 비해 $1.1{\sim}2.5$배 향상된 1,3-PD 증가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은 순수 글리세롤보다 효과적인 1,3-PD 생산 기질로의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배양액에서 글루코스 첨가 유무에 따른 1,3-PD의 생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글루코스에 의해 미생물의 성장이 30% 증가된 반면, 1,3-PD의 생산량은 글루코스가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 $1.3{\sim}2.9$배 정도 증가되었다. 또한 1,3-PD 발효 부산물인 2,3-BD 생산량은 글루코스 첨가시 $6{\sim}9\;g/L$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회분식 배양에서는 글루코스 미첨가시 폐글리세롤로부터 26 g/L의 1,3-PD가 생성되었으며, 이는 순수글리세롤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 $2{\sim}3$배 높은 생성량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폐글리세롤이 효과적으로 1,3-PD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가격경쟁력이 있는 생물학적 1,3-PD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침샘관암에서 PD-L1의 발현율 분석과 종양 표지자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PD-L1 expression in salivary duct carcinoma with its efficacy as a tumor marker)

  • 이용주;고윤우;윤선옥;류향주;김혜련;신향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2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Despite multiple approaches of treatments for salivary duct carcinoma, there has been a need for more successful treatment methods because of its poor prognosis. Treatment options like immunotherapy using new technologies have been attempted. Based on recent study results indicating that targeting programmed death receptors are effective in treating various cance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requency of PD-L1 expression and its impact on survival rate in salivary duct carcinoma. Materials & Methods: We studied 33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cancer who were available for histologic specimen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PD-L1 in the tissues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survival rate and the association with various clinical parameter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and review of similar studies, we discovered that the expression of PD-L1 in salivary duct carcinoma was lower than other types of cancers. The impact of PD-L1 on survival rate also showed inconsistency in salivary duct carcinoma. Conclusion: Immunotherapy by PD-1/PD-L1 checkpoint blockade in salivary duct carcinoma needs further evalu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글리세롤로부터 1,3-propanediol 생산을 위한 Klebsiella pneumoniae 배양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1,3-propanediol Production from Glycerol Using Klebsiella pneumoniae)

  • 전선애;공성욱;상병인;엄영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68-774
    • /
    • 2009
  • 본 연구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인 K. pneumoniae DSM4799을 이용하여 순수 글리세롤과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공정에서 발생된 폐글리세롤로부터 1,3-PD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로서, 혐기 및 호기 조건, 배양온도, 글리세롤 농도, pH에 따른 1,3-PD 생산성 비교를 통해 최적 배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K. pneumoniae DSM4799를 혐기조건과 호기/혐기 2단계 배양을 한 결과, 혐기조건에서 더 효율적인 1,3-PD 생산이 이루어졌다. 배양 온도를 $26{\sim}37^{\circ}C$로 변화시키면서 배양한 결과, $30{\sim}33^{\circ}C$에서 높은 1,3-PD 생산성을 나타내었고, 글리세롤 농도는 글리세롤의 종류에 상관없이 60 g/L 이상에서 균주의 성장 및 1,3-PD 생산이 저해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폐글리세롤 사용시 순수 글리세롤에 비해 초기 1,3-PD 생산은 감소하였으나, 48시간 후에는 오히려 더 높은 농도의 1,3-PD를 생산하였다. 유가식 배양으로 글리세롤 농도를 40 g/L 이하로 조절하면서 pH 조절유무에 따른 1,3-PD 및 부산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를 7.0으로 유지시켰을 때 pH 조절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25% 향상된 1,3-PD 수율을 나타내었다(0.56 g/g vs. 0.45 g/g). 본 연구를 통해 K. pneumoniae DSM4799를 이용하여 1,3-PD 생산시 혐기조건, 온도 $30^{\circ}C$, 순수 또는 폐글리세롤 40 g/L 이하, pH 조절 등의 배양조건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화된 배양조건을 통해 보다 가격경쟁력이 있는 생물학적 1,3-PD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g-25wt% Pd-15wt% Cu 3원합금(元合金) 및 Au 첨가합금(添加合金)의 시효경화특성(時效京華特性) (The Effect of Au Addition on the Hardening Mechanism in Ag-25wt% Pd-15wt% Cu)

  • 배봉진;이화식;이기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9
    • /
    • 1998
  • 실용치과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Ag-Pd-Cu 3 원계 합금의 시효석출과정을 Pd 및 Cu의 용질 농도의 조성비가 약 1.7인 합금과 이 합금에서 2wt%Au의 첨가합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Ag-25Pd-15Cu 3원 합금은 ${\alpha}$의 단일상에서 ${\alpha}_1$ (Cu-rich), ${\alpha}_2$(Ag-rich) 및 PdCu 규칙상에 의해서 경화반응이 진행되며 연속승온시효에 의하면 $100{\sim}300^{\circ}C$의 저항증가와 $300{\sim}500^{\circ}C$의 저항감소라고 하는 2단계 변화에 의해서 경화곡선이 얻어졌다. 또한 본 합금의 시효과정은 ${\alpha}{\to}{\alpha}+{\alpha}_2+PdCu{\to}{\alpha}_1+{\alpha}_2+PdCu$이고 2상분리 반응에 경화되며 최고경화는 ${\alpha}_1,\;{\alpha}_2$ 및 PdCu 규칙상의 혼합영역에서 나타났다. 이들 석출반응은 입계반응이고 반응의 진행과 함께 경도값은 상승하고 경화촉진에 기여하였다. 또한 Nodule은 미세한 lamella조직을 나타내고 이들 ${\alpha}_2$와 PdCu상과의 미세한 혼합상의형성이 시효경화에 기여하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과시효는 lamella의 조대화와 PdCu상의 ${\alpha}2$상으로의 용해에 따른 정량적 감소에 대응하였다. 석출상은 thin lamella구조의 잘 방위된 미세한 판상석출물로서 이들 미세 판상석출물은 AuCu($L1_0$)type의 face-centered tetragonal(fct)의 초격자구조였다. 규칙화된 미세한 판상석출물은 stair-step mode로서 twinning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시효에 의해 $L1_0$ type의 PdCu 규칙상과 같은 초격자 형성시 정방비틀림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들 twinning lamella는 귀금속원소에 의해 형성된 $L1_0$ type의 PdCu 규칙상과 같기 때문에 이들 합금의 부식저항에도 기여하였다. Ag-25Pd-15Cu합금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내식성을 나타내며 Pd.Cu=1인 합금에서보다도 Pd함량이 높은 Pd/Cu=1.7에서 내식성이 보다 우수한 것은 Pd 함량이 내식성에 기여하였고 2%Au의 첨가에 의해서 부식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Change in Proteomic Profiles of Genetically Modified 1,3-Propanediol-Producing Recombinant E. coli

  • Jin, Li-Hua;Lee, Jung-H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439-1444
    • /
    • 2008
  • The recombinant E. coli $\Delta$6 mutant (galR, glpK, gldA, IdhA, lacI, tpiA) was used to produce 1,3-propanediol (PD) from glucose. The 1,3-PD production increased with feedback control of the glucose concentration using fed-batch fermentation. The maximum 1,3-PD concentration produced was 43 g/l after 60 h of fermentation. Glycerol production was minimized when controll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at less than 1 g/l. The expression levels of seven enzymes related to the 1,3-PD production metabolism were compared during the cell growth phase and 1,3-PD production phase, and their expression levels all increased during 1,3-PD production, with the excep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Huh7.5 간암 세포주의 HCV 항원제시에 의한 HCV 특이 T 림프구의 활성에 관한 연구 (The Activation of HCV-specific CD8 T Cells by HCV Peptide Pulsed Huh7.5 Cells)

  • 조효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2-347
    • /
    • 2011
  • 인체의 바이러스 감염 방어기전에서 T 림프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만성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일차적 복제장소인 간염 환자의 간에서 분리된 HCV 특이 T 림프구는 심각한 기능결핍을 보인다. 이러한 T 림프구 기능결핍의 이유로는 PD-1, CTLA-4 등 면역억제 물질의 발현, 또는 간에서 특이적으로 유도되는 면역내성(immune tolerance)이 있으나, 간세포(hepatocytes)와 HCV 특이 T 림프구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LA(human leukocyte antigen) A2+ 간암세포주(human hepatoma cell line; huh7.5)가 항원제시(antigen presentation)를 통해 효과적으로 HCV 특이 T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며 간암세포주(huh7.5) 표면의 PD-L (program death ligand) 1 발현은 T림프구의 활성을 감소시켜 면역조절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HCV 특이 tetramer 반응은 T 림프구의 과도한 활성으로 자기사멸(apoptosis)의 경로에 있음을 caspase 3 활성으로 확인하였고, 역시 PD-L1의 발현이 T 림프구를 자기사멸(apoptosis)로부터 구제하여 caspase 3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PD-L1과 간성(liver) T 림프구 표면의 PD-1 결합이 T 림프구의 자기사멸을 막고, 또한 그 기능을 회복시켜 만성 C형 간염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