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 Index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2초

Relationships between MMPI Scales under Defensive Attitude and Safety and Health Indices

  • Kim, Jong Hwan;Jeong, Byung Yong;Park, Myoung 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11-619
    • /
    • 2016
  • Objective: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factors measured by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scales and the indices of safety and health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Background: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me MMPI subscales and traffic and industrial accidents. Method: This study analyzes 230 male workers in shipyard for their MMPI scores gathered during recruitment process and their safety and health indices from the performance record during their working period. ${\chi}^2-test$ and one-way ANOVA are used for find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personality factors. The conventional grouping rule for MMPI scales and other grouping criteria considering the attitude of positive answer for the MMPI test during recruitment process a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Hypomania (Ma) and Psychopathic Deviate (Pd) scales of the MMPI are the main factors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related indices for most grouping rules. Depression (D), Psychasthenia (Pt), Hypochondriasis (Hs), Schizophrenia (Sc), an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f) scales are also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indices. Conclusion and Application: The results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in human behaviors and safety and can help professional personnel take the necessary steps in improving safety on the job and also in providing the effective teaching of safe work methods.

노후 경사주거지 쇠퇴지표로서의 유휴공간 발생패턴 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s the Decline Index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 정인아;우신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93-104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s a urban decline indicator to consider a decline of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rom spatial structure perspective. For investigation based upon vacant space and the street structure, this study selects Ami Chojang-dong in Seo-gu, Busan, of which 79.7% of total area is over a gradient of $10^{\circ}$. Focused on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nd 'vertical alleys(link)' serving as main movement path of local residents in hillside residential area, the length, numbers, slopes, and use characteristic of vertical alleys were analyzed using Arc GIS 9.3 program to classify characteristic zone types of spacial structure in hillside residential area. After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are interpreted in relation with building density, vertical alleys' number length slope, the social and economic issues have been considered as well. After analyzing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is rather affected by street structure system consisting of vertical alleys than the impacts of social economical issues.

준 만삭 이상아에서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의 성적 (The outcome of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in above nearterm neonates with severe pulmonary disease)

  • 손수민;이보영;김천수;이상락;권태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2호
    • /
    • pp.1200-1205
    • /
    • 2007
  • 목 적 : SRT는 주로 RDS이 있는 미숙아에서 시행되어 왔다. 저자들은 폐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이 필요했던 재태 주령 36주 이상의 신생아에서 폐표면 활성제를 이용한 보충요법의 투여 성적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후 폐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을 받았던 재태 주령 36주 이상의 환아 중 SRT를 시행 받았던 4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원인 질환에 따라 MAP군과 RDS군 그리고 PN군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 환아들에서 SRT를 시행하였으며 폐표면 활성제(Newfacten: 유한양행, Seoul, Korea)는 120 mg을 생리식염수 2-4 mL에 용해하여 평균 120 mg/kg 용량으로 투여하였는데, RDS 군에서는 투여 6시간 후에도 임상적 호전이 미약할 때는 1회 더 투여하였다. 각 군에서 폐표면 활성제 사용 전 후의 임상지표(흡입 산소 농도 및 산소화 지수)와 폐표면 활성제 투여 시점으로부터의 총 인공 환기기 사용 및 산소 투여 기간을 알아보았으며 성적(합병증 및 생존율)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48례의 환아 중 MAP 군: 15명, RDS 군: 27명, PN 군: 6명 이었다. 폐표면 활성제 투여 전의 산소화 지수는 MAP 군이 $21.8{\pm}3.2$, RDS 군에서 $18.3{\pm}4.5$, PD 군에서 $18.6{\pm}6.0$였고, SRT 후 12시간째의 산소화 지수는 MAP 군이 $8.61{\pm}6.75$, RDS 군에서 $4.98{\pm}0.69$, PD 군에서 $5.8{\pm}1.1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총 인공 환기기 사용기간은 MAP 군이 $4.9{\pm}1.2$일, RDS 군이 $5.5{\pm}2.8$일, PN 군이 $7.2{\pm}4.8$일 이었고 산소 투여기간은 MAP 군이$9.4{\pm}1.7$일, RDS 군이 $8.8{\pm}3.5$일, PN 군이 $10.3{\pm}5.6$일 이었다. 기흉, 신생아 폐 고혈압 지속증 등의 합병증 발생은 MAP 군에서 20%, RDS 군에서 25.9%, PD 군에서 50%로 나타났으며, 이중 RDS 군에서 SRT를 처음 시행한 시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정도는 생후 12시간 전에 시행한 경우의 발생률이 15례 중 2례(13.3%)로 12시간 이후에 시행한 경우의 12례 중 7례(58.3%)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생존율은 MAP 군이 86.7%, RDS군과 PN 군이 모두 100%로 모든 군에서 양호한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중증 폐 질환을 주소로 인공 환기 요법이 필요한 임신기간 36주 이상의 준 만삭 이상아에서의 폐표면 활성제 보충요법은 좋은 임상경과를 가지며 특히 RDS인 경우 생후 12시간 내 투여가 합병증을 줄여서 치료성적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도파민운반체 영상의 파킨슨증 감별진단 성능: $^{123}I-FP-CIT$ SPECT 연구 (The Discriminating Nature of Dopamine Transporter Image in Parkinsonism: The Competency of Dopaminergic Transporter Imaging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Parkinsonism: $^{123}I-FP-CIT$ SPECT Study)

  • 김범산;장성준;어재선;박은경;김유경;김종민;이원우;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4호
    • /
    • pp.272-279
    • /
    • 2007
  • 목적: 본 연구는 $^{123}I-FP-CIT$ SPECT을 사용하여 파킨슨증을 구성하는 각 질환군별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태성진전(64.9$\pm$8.4세, 남:녀 =20:59), 알츠하이머병(69.2$\pm$10.0세, 남:녀=4.4), 파킨슨병(66.4$\pm$9.5세, 남:녀=45:82), 레이소체치매(74.6$\pm$8.4세, 남:녀 =1:8), 그리고 다계통위축증(59.7$\pm$6.7세, 남:녀 = 8:6)을 진단받은 환자 237명과 정상군 18명(60.4$\pm$10.2세, 남:녀=9:9)의 $^{123}I-FP-CIT$ SPECT 영상을 분석하였다. 도파민운반체의 표준뇌지도로 검사자의 영상을 공간정규화한 후, 관심영역을 이용하여 미상핵, 피각의 특이영역 계수와 후두엽의 비특이 영역계수를 측정하여 결합잠재능(binding potential; BP)를 계산하였다. 선조체의 특이영역 계수 및 BP는 미상핵과 피각의계수를 가중평균(weighted mean)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피각과 미상핵의 BP간 비(BP ratio of putamen to caudate;PCR)와 선조체, 미상핵, 그리고 피각의 좌우 비대칭 비(asymmetric index; ASI)를 구하였다. 경과 영상을 시행한 파킨슨병(59.3$\pm$11.2세, 남 녀 = 2:3)에서는 연간 BP 감소를 구하였다. 결과 정상군의 BP는 본태성진전이나 알츠하이머병과는 차이가 없었고, 파킨슨병, 다계통위축증, 그리고 레이소체치매보다는 유의하게 높은 값이었다(p<0.005). 정상군의 PCR은 파킨슨병보다는 통계적으로 높았고, ASI는 낮았다(p<0.005), 파킨슨병은 다경색위축증보다 유의하게 PCR값과 피각 및 선조체의 BP는 낮았으며, ASI는 높았다(p<0.05). 그러나 본태성진전과 알츠하이머병 그리고 파킨슨병과 레이소체치매 간에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도파민 운반체 방사성추적자인 $^{123}I-FP-CIT$와 SPECT 영상을 이용하여 파킨슨증에서 질환군에 따른 차이를 평가 할 수 있었다. $^{123}I-FP-CIT$ SPECT를 이용한 도파민 운반체 영상은 파킨슨증의 감별에 유용할 것이다.

건조스트레스가 수리취의 광합성 및 수분관련 특성에 미치는 영향 (Drought Stress Influences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Synurus deltoides)

  • 이경철;이학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288-299
    • /
    • 2017
  • 이 연구는 건조스트레스가 수리취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건조스트레스는 25일 간의 단수처리를 통해 유도하였다. 건조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새벽 녘 수분포텐셜(${\Psi}_{pd}$)과 정오의 수분포텐셜(${\Psi}_{mid}$)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수분불포화도(WSD)는 약 7배 증가하였다. 특히 일중 수분포텐셜차(${\Psi}_{pd}-{\Psi}_{mid}$)는 처리 후 10일까지 0.22~0.18 MPa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나 이후에는 차이가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리취는 건조스트레스 처리 후 15일부터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의 감소가 두드러졌고, 처리 20일 이후에는 최대광합성 속도와 순양자수율 역시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수분이용효율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기공을 통한 $CO_2$와 수분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해 광합성량의 감소가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JIP 분석을 통해 단수처리 15일 이후에 기능지수($PI_{ABS}$) 및 에너지전달 효율의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계 2의 활성이 감소한 것을 보여준다. 엽의 원형질 분리시 삼투포텐셜 ${\Psi}_o{^{tlp}}$은 -0.4 MPa,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 ${\Psi}_o{^{sat}}$은 -0.35 MPa의 삼투적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최대탄성계수($E_{max}$)의 탄성적 적응은 9.4 MPa로 나타나 수리취는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삼투적 적응과 탄성적 적응이 모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o/DW, Vt/DW와 같은 수분특성인자는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리취는 새벽녘 엽수분포텐셜이 -0.93 MPa 이하로 저하되면 광합성 활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삼투적 적응과 탄성적 적응이 나타나 이것이 이 식물의 중요한 적응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수고-직경 상대생장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ree Height-Diameter Allometry for Major Tree Species in South Korea)

  • 김문일;박태진;고영진;최고미;손순철;강예준;유재희;김민경;박현지;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71-82
    • /
    • 2023
  • 산림 바이오매스는 임목의 크기와 산림의 성숙도, 임지의 생산성(Productivity)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로 활용된다. 따라서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산림경영과 수확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흡수를 포함한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의 평가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상대생장식(Allometric equation)은 식물의 상대생장관계(Relative growth rate)를 통해 각 부분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폭 넓게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최근 대기중의 CO2 농도증가와 이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수목의 상대생장관계가 바뀌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도출되면서, 기존에 개발된 상대생장식과 계수들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NFI)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주요 4개 수종[소나무(Pinus densiflora; PD), 낙엽송(Larix kaempferi; LK),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 QV),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QM)]의 수고-DBH 상대생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 수확표 정보와 비교하여 지난 10년간 상대생장의 변화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수종에서 NFI 차수가 증가할수록, 동일 DBH에 대한 기대 수고값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모형 분석결과 PD, LK, QV, QM의 DBH 25 cm에 대한 수고의 기댓값은 5차 NFI 자료에서는 12.48, 19.17, 14.47, 13.19 m로, 7차 NFI 자료에서는 13.61(+9.1%), 21.58(+12.7%), 15.76(+8.9%), 13.93 m (+5.6%) 로 추정되어 수종별로 5~13%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주요 수종들의 임목 생장은, 과거 조사자료를 통해 파악된 수종별 수고-DBH 발달경향과 비교 했을 때, 직경생장보다 수고생장을 더 활발하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ydroxycitrate를 이용한 비만 여성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I) (The Effect of (-)-Hydroxycitrate on Weight Control Program in Obese Women -I : Effect on Anthropometric Parameters-)

  • 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2호
    • /
    • pp.155-169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eight control by using the commercial appetite suppressant ((-)-hydroxycitric acid(HCA) formula) and nutrition education on 72 obese women over a period of 8 weeks. During the study it conducted nutritional education for women to control their weight, thus analyzed their changes in anthropometric variables. All obese women were randomized in a double-blind method to consume either HCA(HCA group : experimental group) or placebo(placebo group : control group). Two groups were also divided randomly into 2 groups combined with commercial formula diet in 1 meal a day(HD group and PD group : HCA + gormula diet and placebo + formula diet) or not(HO group and conducted with 4 groups(HD, HO, PD, and PO group).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consume 800-1500kcal/d balanced diet which is 500kcal less than their usual energy require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weight, percent of body fat,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and 5 skinfold thickness were measured up to 5 times in all obese women. The mean weight of the subjects at the onset of the study was 76.5$\pm$10.6kg. The mean body mass index(BMI) wa 30.1$\pm$3.8 and it was in the upper 5 percentile of mean BMI of Korean women. At the end of the program, mean weight loss was 3.5kg after 2 weeks(p<0.001), and 5.8kg after 4 weeks(p<0.001). The waist, hip ratio(WHR) and skinfold thickness measurements of biceps, triceps, subscapular, suprailiac and abdominum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ver the entire study period(p<0.05). These outcome were evaluated by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counselling. The reduction of % of body f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4 groups. Women who administrated HCA demonstrated more change in weight, BMI than the placebo group. There was also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composition (% of body fat, WHR, and skinfold thickness) than the other groups. The HD group which was administrated HCA combined with formula diet was more decreased than other groups. It showed that this program using commercial HCA and formula diet induced not only a change in weight but also a change in body composition. The outcom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HCA has a more effctive change on weight control which is carried out with nutritional education and counselling.

  • PDF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강수 처리에 따른 소나무와 낙엽송 유묘의 초기 생장 특성 (The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eedlings Under Open-field Experimental Warming and Precipitation Manipulation)

  • 권보람;조민석;양아람;장한나;안지애;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31-40
    • /
    • 2020
  •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양묘과정에서 온도와 강수 변화에 따른 주요 침엽수의 생존 및 생장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소나무와 낙엽송 노지묘(1-0)를 대상으로 대조구 기준 3℃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40%의 강수를 조절한 6처리 생육환경[온도 2처리(대조: TC, 증가: TW) × 강수 3처리(대조: PC, 감소: PD, 증가: PI)] 실외 실험구를 조성하였으며, 생존율, 근원경, 묘고, 물질생산량 및 묘목품질지수 변화를 조사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소나무는 온도와 강수 처리에 따른 생존율 차이가 없었지만, 강수가 증가할수록 묘목품질지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낙엽송은 온도 상승과 강수 감소에 따라 고사율이 증가하였으며, 묘목품질지수는 두 요인 간 상호작용을 보이면서 온도대조-강수증가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양묘과정에서 소나무는 강수 증가, 낙엽송은 온도 증가 또는 강수 감소에서 낮은 묘목 생산량과 품질이 예상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두 수종의 특이적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지구온난화와 가뭄·폭우 등의 강수 변화에 의해 수종별 묘목 생존과 품질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각 수종의 생육 반응 특성에 따른 적합한 양묘시업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Ground Corn Cob Replacement for Cassava Chip on Feed Intake, Rumen Fermentation and Urinary Derivatives in Swamp Buffaloes

  • Wanapat, M.;Pilajun, R.;Kang, S.;Setyaningsih, K.;Setyawan, A.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1124-1131
    • /
    • 2012
  • Four Thai - rumen fistulated male swamp buffaloes (Bubalus bubalis), about four years old with $400{\pm}20kg$ liveweight,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receive dietary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ground corn cob (GCC) replacement for cassava chip (CC) in concentrate at 0% (T1); GCC replacement at 33% (T2); GCC replacement at 67% (T3); and GCC replacement at 100% (T4),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 concentrate was offered at 0.5% BW while 5% urea-treated rice straw was given at ad libitu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no effect of GCC replacement on DMI among treatments. In addition, digestibilities of DM, OM and CP were not different while aNDF linearly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level of GCC replacement. However, GCC replacement did not affect rumen fermentation such as ruminal pH, $NH_3$-N and VFA concentration; except C3 proportion which was the highest at 33% replacement while the lowest was at 100% replacement. All replacements of GCC resulted in similar protozoal and bacterial populations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MPS). Purine derivatives (PD) concentration in urine and PD to creatinine (PDC) index were varied with time of urination and among treatments at 0 to 8 and 8 to 16 h post feeding and higher values were shown among the GCC replacement groups. However at 16 to 24 h-post feeding, it was untraceable. In addition, creatinine concentration was similar among all treatments at every sampling time. Based on the above results, GCC can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swamp buffalo fed with rice straw. Spot sampling of urine can be used for purine derivatives determination.

황칠나무 분포(分布) 임지(林地)의 식생구조(植生構造) 및 입지환경(立地環境)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Natural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Zone of Korea)

  • 김세현;신창호;정남철;나천수;김영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93-104
    • /
    • 2000
  • 천연도료 황칠자원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계획의 일환으로 황칠나무 천연임분의 생육환경, 군집구조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상대중요치(MIV)의 수치가 높은 수종은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나무, 서어나무,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등이며, 전 조사지역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수종은 동백나무와 사스레피나무 2종이었다. 층위별 황칠나무의 상대중요치는 상층에서 17.2%, 중층 12.9%, 하층 10.3%로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분포형은 상층, 중층, 하층에서 확률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임분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에서 붉가시나무, 모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으로 진행되는 천이단계에 있으며, 황칠나무는 이들 임분에서 주로 상층의 아우점종이거나 중층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종간의 상관분석에서 황칠나무와 같은 생태적 지위를 갖는 종은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서어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작살나무, 구실잣밤나무, 가시나무, 보리장나무 등이었다. PD를 이용한 집단간 cluster분석에서 남 서해안지역과 제주지역이 서로 구분되어 이들 집단간 종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ordination분석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 PDF